• 제목/요약/키워드: 이종 접합부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이종 접합부재의 두께 변화에 따른 초음파 산란 보정에 의한 계면균열 길이의 측정 (Measurement of Interfacial Crack Length by Ultrasonic Scattering Compensation Depending on Thickness Variations of Bonded Dissimilar Components)

  • 정남용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67-75
    • /
    • 2006
  • In this paper, the compensation of ultrasonic scattering on interface crack depending on thickness variations of A1/Epoxy bonded dissimilar components was applied to improve measuring accuracy by using ultrasonic attenuation coefficient.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oretical value and experimental measuring accuracy by the ultrasonic method in A1/Epoxy bonded dissimilar components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easurement method of interfacial crack lengths by using ultrasonic attenuation coefficient was proposed and discussed. After the ultrasonic scattering compensation depending on thickness variations of bonded dissimilar components was carried out, the measuring accuracy of interfacial crack length was improved by 5%.

이종 접합부재의 두께 변화에 따른 계면균열의 초음파 산란 보정 (Ultrasonic Scatter and Compensation of Interfacial Crack due to Thickness Variation of Dissimilar Bonded Components)

  • 박성일;정남용;진윤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30
    • /
    • 2004
  • In this paper, the compensation of interfacial scatter due to adhesive layer and adherend thickness ratio variation was applied to improve measuring precision by calculating ultrasonic attenuation coefficient in the Al/Epoxy dissimilar bonded components. The optimum condition of theoretical value and experimental measuring accuracy by the ultrasonic method in the Al/Epoxy dissimilar bonded components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proposed a measurement method of the interfacial crack lengths by the ultrasonic attenuation coefficient and discussed it.

  • PDF

혼합구조로 이루어진 보-기둥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 특성 (The Properties for Structural Behavior of Beam-Column Joint Consisting of Composite Structure)

  • 이승조;박정민;김화중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통권47호
    • /
    • pp.445-455
    • /
    • 2000
  • 본 연구는 최근의 건설 환경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제문제점들에 대한 구조적 측면에서의 대응책의 하나로서 새로운 구조 시스템 전개를 위해 이종구조부재로 구성된 보기둥 접합부 모델을 제안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스팬 S보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조의 단부를 RC조로 보강하여 강성 및 내력증대를 꾀하였으며, 이종구조 사이의 원활한 응력 전달을 목적으로 SRC조 단부의 보 주근은 U자형 갈고리 모양으로 정착하여 철골 플랜지에 용접 접합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접합부 강성 및 내력 특성을 고찰하였고 본 접합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전자기 성형에 의한 금속과 고분자재료의 접합강도 해석

  • 김남환;황운석;손희식;이종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6
    • /
    • 1991
  • 전자기 접합후의 접합체의 접합력은 압재와 모재사이의 잔류 탄성 변형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두 부재사이의 접합강도는 접합후의 잔류 탄성 변형량 및 사용재료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두 재료의 접합에서 전자기 접합법을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압재 둘레를 따라 거의 균일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접합체의 외관이 균일하다는 점과 여타의 집합법과 비교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비교적 높은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높은 접합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접합체 형상설계, 그리고 이에 따른 자속 집중기 형상의 적합한 설계와 더불어 제공정 인자의 영향 분석을 통한 최적 공정의 선택이 필수적이다.(중략)

  • PDF

MTS (Multi-tee slab) 시스템의 테두리보가 전단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andrel end beams on shear strength behavior in MTS systems)

  • 김민기;홍성걸;이종민;진언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189-192
    • /
    • 2008
  • 기존의 더블 티 슬래브 시스템은 단위 부재의 접합에 있어서 T형보 단면의 플랜지 부분이 접합되므로, 이 부분은 휨 및 전단에 취약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MTS(Multi-tee slab)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여러 개의 T형 보를 합성한 MTS(Multi-tee slab) 시스템은, 단위 부재에 대하여 테두리 보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테두리 보의 적용은 단위 부재 접합 시, 기존의 더블 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부재 단부에 테두리 보는 횡방향으로 T형보 단면의 리브를 지지하고, 이것은 부재에 대하여 전단강도 및 하중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하중이 작용할 때 테두리 보가 있는 MTS 시스템이, 테두리 보가 없는 부재에 비하여 더 높은 전단 강도를 나타낸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론식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MTS시스템의 전단강도에 대하여 해석 하였다. 또한 이것을 통하여 테두리보가 전단 강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이종 접합부재의 계면균열 파괴인성의 평가 (Evaluation of Fracture Toughness on Interface Cracks in Bonded Components of Dissimilar Materials)

  • 정남용;이명대;박철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6-351
    • /
    • 2003
  • In this paper, an evaluation method of fracture toughness on interface cracks has been investigated under various mixed-mode conditions of the bonded scarf joints. Two types of the bonded scarf joints with an interface crack were prepared to analyze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using boundary element method(BEM) and to perform the fracture toughness test. From the results of fracture toughness experiments and BEM analysis, an evaluation method of fracture toughness on interface cracks in the bonded components of dissimilar materials has been proposed and discussed.

  • PDF

이종강종을 사용한 고강도 CFT 합성부재의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Filled Steel Tube Steel Columns using Different Strength Steels)

  • 최인락;정경수;김진호;홍건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11-723
    • /
    • 2012
  • 플랜지와 웨브에 서로 강도가 다른 이종강재를 사용한 CFT 합성구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플랜지는 건축용 800MPa급 강재인 HSA800, 웨브에는 일반강도 강재인 SM490 강재를 사용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실험 변수는 강관의 강도 조합, 충전된 콘크리트의 강도, 콘크리트 충전효과이다. 이종강재간의 용접접합부는 낮은강도 강재에 적합한 용접부를 사용하여 접합부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체의 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편심압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현행 설계기준들에 따른 예측결과와 비교하였다. 플랜지에 고강도 강재를 적용함에 따라 단면의 축강도 및 휨모멘트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부재 강도를 충분히 발현한 이후 용접부에서 파괴가 일어났다. 실험결과 현행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합성단면의 축력-모멘트 상관관계 및 유효휨강성을 안전측으로 예측 가능하였다.

복합재료-탄소강 접착제 결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을 위한 이종 재료 접합 계면의 파괴 역학적 분석 (Fracture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Bi-material Interface for the Prediction of Load Bearing Capacity of Composite-Steel Bonded Joints)

  • 김원석;신금철;이정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5-22
    • /
    • 2006
  • 구조물 설계에 복합재료-금속 접착제 결합 조인트의 개발 및 사용을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은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을 위한 접착 계면의 강도 평가 방법의 부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탄소강의 접착 강도를 계면 모서리에서의 응력강도계수와 파괴 인성 값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시 경화 성형법으로 제작된 복합재료-탄소강 양면 겹치기 접착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을 파괴 역학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이종재료 계면 모서리 첨단의 응력 특이성과 그 지수를 제시하고 최종적으로 응력강도계수와 실험을 통한 계면의 파괴인성 값을 획득하였다. 서로 다른 접합 길이를 갖는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비교를 통하여 양면 겹치기 접착 조인트의 파괴 인성치와 혼합 모드에서의 균열 진전 기준을 $K_1-K_{11}$ 평면 내에 도시하였다.

RC-S 복합보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Mache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Beam Composed End Reinforced Concrete and Center Steel)

  • 김철환;채원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통권60호
    • /
    • pp.675-68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단부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중앙부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복합구조 보를 대상으로 내력 및 강성, 변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반복재하 실험을 행하였다. 주된 실험변수는 철근콘크리트와 철골보의 이종구조 이음부부의 응력전달을 위해 철골보에 접합되는 철근의 개수와 단부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강성을 상승시킬 목적으로 설치되는 부착판의 설치유무이다. 실험결과 모든 실험체가 방추형의 이력 거동을 나타내며 안정된 거동을 하였으며, 내력에 있어서는 부착판 설치 실험체의 경우가 기본형 실험체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강성에 있어서도 단부에 부착판을 설치한 실험체가 설치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하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체가 최대 내력시의 부재각이 0.03rad. 이상의 변형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Diagrid BRB의 실험적 구조성능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for Structural Performance of Diagrid BRB Structural System)

  • 이종혁;주영규;김영주;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61-269
    • /
    • 2010
  • 현재 보다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구조 시스템으로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이 있다.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은 접합부 설계 및 시공의 어려움과 가새 부재 좌굴에 의해 내진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안하기 위해 비좌굴 가새를 이용한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아그리드 시스템과 다이아그리드 BRB 시스템의 골조 실험을 통해 초기 강성, 연성 능력과 에너지 소산능력을 평가였다. 반복가력실험 결과 Diagrid BRB의 초기 강성과 연성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BRB 항복 이후에도 지속적인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