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종연료유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활성탄을 활용한 정제연료유의 물리화학적 변화 연구 (A Study of physicochemical changes for refined fuel using activated carbon)

  • 김신;강형규;임태윤;이종은;김지현;최대성;정충섭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9.1-159.1
    • /
    • 2010
  • 활성탄은 입자내 공극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로써 흡착성 및 촉매성이 뛰어나 폐유를 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 회분, 중금속 및 기타 이물질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활용하여 이온정제유, 감압정제유, 재생연료유를 대상으로 흡착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물리적 및 화학적 성분 변화를 통해 활성탄이 정제연료유에 미치는 영향 및 분자체 작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GC/MS를 이용한 선박연료유에 대한 초음파조사 효과 분석 (Effect of Ultrasonic Irradiation on On-board Fuel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최정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0-897
    • /
    • 2021
  • 최근 선박용 연료유에 대한 황 함유량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저유황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저유황유를 공급하는 시기, 지역, 회사 별로 그 품질이 상이함에 따라 선내 연료유 저장탱크에서는 과도한 슬러지가 발생하는 등 혼합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음파의 캐비테이션 현상을 이용하여 저유황유의 품질 향상을 하고자 하였다. 선내 저장 탱크에서 이종의 연료유가 혼합되는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두 가지 종류의 저유황유(황 함유량 0.5 % 이하 MGO, MDO)를 혼합하여 시료유로 사용하였다. 원료유와 50 wt.% 씩 혼합한 시료유를 12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으며, 40분 주기로 채취된 샘플은 GC/MS 분석을 수행하여 초음파 조사 시간에 따른 시료유의 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음파의 캐비테이션 효과로 인하여 화학결합이 깨지면서 MGO 내 존재하는 고분자량 화합물의 감소와 저분자량의 화합물 증가가 관찰되었다. MDO와 혼합유의 경우, 초음파 조사 후 저분자 화합물에 대한 상대 존재비의 부분적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시간과 상대 존재비 사이의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화정제연료유의 안정성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ing method for storage stability of emulsions used recycling waste oil)

  • 강형규;김신;이종은;임태윤;최대성;정충섭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8.2-158.2
    • /
    • 2010
  • 본 논문은 정부의 연구 지원에 의해 폐유를 유화 방법으로 재활용한 유화정제연료유의 저장안정성 측정방법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내외 유화정제연료유 저장안정성 시험방법이 마련되지 않아 ASTM D 3707, 지식경제부 '석유대체연료의 성능평가기준과 품질시험방법 등에 관한 고시' 별표4 유화연료유 저장안정성 평가방법(습식법) 등 유화연료유의 저장안정성 시험방법을 근간으로 하여 $40^{\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용기에 저장하면서 매 10일 마다 상 하층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내용을 언급하였다.

  • PDF

정량적 유동가시화 기술을 이용한 이종연료유 과도 혼합 농도분포 측정 (Measurements on Transient Mixing Concentrations of Two Fuel Oils using a Quantitative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 염주호;도덕희;조경래;민성기;김명호;유경원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364-372
    • /
    • 2012
  • Transient mixing states of two different fuel oils, dimethylformamide (DMF) oil and JetA1 oil,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color image processing and a neural network. A tank ($D{\times}H$, $310{\times}370mm$) was filled with JetA1 oil. The DMF oil was filled at a top tank, and was mixed with the JetA1 oil in the tank mixing tank via a sudden opening which was performed by nitrogen gas with 1.9 bar. An impeller was rotated with 700 rpm for mixing enhancements of the two fuel oils. To visualize the mixing state of the DMF oil with the JetA1 oil, the DMF oil was coated with Rhodamine B whose color was red. A LCD monitor was used for uniform illumination. The color changes of the DMF oil were captured by a camcoder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a host computer for quantifying the information of color changes. The color images of two mixed oils were captured with the camcoder. The R, G, B color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s was used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of the DMF oil.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of the DMF oil in the JetA1 oil, a calibration of color-to-concentration was carried out before the main experiment was done. Transient mixing states of DMF oil with the JetA1 oil since after the sudden infiltration were quantified and characterized with the constructed visualization technique.

폐유를 재활용한 연료특성 연구 (A Study for Fuel Characteristic by the Recycling of Waste Oil)

  • 이종은;강형규;이정민;정충섭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9.2-139.2
    • /
    • 2011
  • 산업혁명 이후 계속된 산업화로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대기 중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화석연료 고갈 및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대체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특히, 폐유 재생과 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시험은 폐유를 정제한 정제연료유와 유화정제연료유의 물성을 석유제품인 중유와 비교 분석하였다. 유화정제연료유는 폐유 중 중금속, 회분 및 슬러지 등을 제거한 후 유화제 등을 넣어 생산된 제품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언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