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유체중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stimation of Combining Abilities for Traits of Mice from Diallel Crosses -II. Estimation of Combining Abilities for Baby Weights at Weaning and at the Age of 60 Days (양면교잡(兩面交雜)에 의(依)한 Mouse 주요(主要) 형질(形質)의 결합능력(結合能力) 추정(推定) -II. 이유시(離乳時) 체중(體重)과 60일령(日齡) 체중(體重)에 대한 결합능력(結合能力) 추정(推定))

  • Hyun, Byung Hwa;Choi, Kwang So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4
    • /
    • pp.119-123
    • /
    • 1986
  •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 effects on body weights at weaning and at the age of 60 days in mice, with 343 progenies from full-dialell crosses of four lines of BALB/c, CBA, C3H and C57BL. The progenies were reared at the Experimental Animal Farm, College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from November, 1984 to February, 1985, and data collected from the progenies were analyzed into general combining ability, maternal effects, specific combining 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with Harvey's model. General combining ability effects estimated in line-crosses were -0.6033~0.5298 for weaning weights and -0.5086~1.0012 for body weights at the age of 60 days. General combining ability for BALB/c and C57BL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general combining ability for CBA and C3H for both traits (P<0.05). Maternal effects for C3H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maternal effects of BALB/c for both traits (P<0.05). The estimates of maternal effects were -0.9678~0.4609 for weaning weights and -1.1886~0.0729 for body weights at the age of 60 days. Specific combining ability effects were estimated to be significant (P<0.05), and the estimates were -0.1999~0.3380 for weaning weights and -0.4056~0.3317 for body weights at the age of 60 days. Reciprocal effects were found to be largest in BALB/c${\times}$C57BL and BALB/c${\times}$C3H. The estimates were -0.5049 from BALB/c${\times}$C57BL and 0.4972 from BALB/c${\times}$C3H form weaning weights, and -1.0336 from BALB/c${\times}$C57BL and 1.2793 from BALB/c${\times}$C3H for body weights at the age of 60 days.

  • PDF

축산물등급소식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 Magazine
    • /
    • no.2
    • /
    • pp.1-8
    • /
    • 1996
  • 소도 체 등급판정결과(96년6월) - 돼지도 체 등급판정결과(96년 6월) - 도 체중량에 따른 등급판정항목별 도체성적(`96.6 축협서울공판장) - 쇠고기가 냉장육으로 유통되어야 하는 이유

  • PDF

도시 지역 중년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비교 연구

  • 정인경;권성옥;이일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6-1076
    • /
    • 2003
  •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및 식생활 습관의 서구화로 비만 유병율이 증가하면서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신체적 매력 중에서 날씬함을 너무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의 영향으로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함으로써 이에 따른 신체에 대한 불만족은 무분별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도록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리한 체중조절은 신체적·심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체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경향을 파악하고 체중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중년여성 249명으로 일반사항,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이상식행동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였으며 평균 비만도(BMI)는 22.7로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비만도에 따른 체중군별 분포는 정상체중군이 72.9%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군이 6.7%, 과체중군이 20.4%이었다.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도를 체중군별로 비교해본 결과, 정상체중군의 40.1%만이 자신의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을 뿐, 8.1%는 ‘마른 체형’으로, 51.7%는 ‘살찐 체형’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37.5%는 자신의 체형이 ‘표준체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체형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80.9%가 ‘표준체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8.7%는 ‘마른 체형’을, 10.4%는 ‘살찐 체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체형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55.8%가 ‘불만족하다’ 고 응답한 반면 ‘만족하다’ 고 응답한 경우는 11.1%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는 체중군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과체중군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지난 1년 동안의 체중 감량 경험 여부를 조사해본 결과, 과체중군의 77.1%, 정상체중군의 65.3%, 저체중군의 62.5%가 체중감량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 이유를 묻는 문항에 과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의 경우 ‘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저체중군의 경우 ‘체중이 증가되었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체중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53.8%가 체중감량을 하는 중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감량에 따른 부작용 경험자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식행동을 측정한 결과, 과체중이나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이상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세부요인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체중조절에 대한 집착과 식이조절점수는 과체중군이 가장 높았으나, 섭식통제 관련 식행동 점수는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년여성들의 경우 대부분이 자신의 실제 체형에 대하여 그릇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경우 건강보다는 외모 때문에 무리한 체중감량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이상식습관과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여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에게 자신의 체형과 이상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표준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lation of Production Traits and Reproduction Traits in Swine (돼지에서 산육형질과 번식형질간의 관계)

  • Do, C.H.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3
    • /
    • pp.303-308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production traits and reproduction traits the data from Gyungnam heugdon(Berkshire) were analyz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reproductive traits including days to first farrowing, days to first breeding and no. of breeding for first litter with back fat thickness were ranged -.24 to -.26. Estimates of heritability and genetic correlation for the reproductive traits including days to first farrowing, days to first breeding and no. of breeding for first litter showed frequent and wide fluctuation due to lack of reproductive record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back fat with litter traits were low, but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high.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back fat with total litter size, pigs born alive, litter weight at birth and litter weight at weaning were .21, .24, .11 and .07 respectively. It suggests that thin back fat thickness deteriorates performance of litter traits.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ays to 90kg with total litter size, pigs born alive, litter weight at birth and litter weight at weaning were .14, .17, .09 and .00 respectively. This result imply that genetic improvement on the production traits reduce the litter trait performance.

Effect of Dietary Lipid on Fatty acid Pattern in Developing Brain Mitochondria in Rats (식이 중 지방 함량이 성장기 쥐의 뇌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Yeo, Eui-Ju;Choi, Hay-Mi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18 no.4
    • /
    • pp.328-336
    • /
    • 1985
  • 식이 중 지방함량이 성장기 뇌의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옥수수기름을 각각 10, 2, 0.5% 포함한 3종류의 식이를 임신한 Sprague Dawley종의 흰쥐에게 임신말기부터 제공했다. 수유기간 중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대조군(10%옥수수기름 섭취)의 일부에 분만 후 0.5% 결핍식이를 섭취시켰고, 또 이유후부터 0.5% 결핍식이군의 일부에 10% 정상식이를 주어 회복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체중과 뇌 무게,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뇌에서의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여 지방산 조성을 관찰하였다. 출생후 수유기간 동안에는 대조군에 비해 지방결핍식이군에서 체중과 뇌의 무게가 다소 높았으나 이유 후 부터 점점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고 특히 0.5% 식이군의 체중은 생후 6주와 7주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체중에 대한 뇌무게와 뇌의 단백질 함량에 있어에는 대조군과 결핍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지방결핍이 뇌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영양소에 비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뇌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조성은 나이와 식이에 따라 변하였다. 나이를 먹음에 따라 단쇄 포화 지방산은 감소하고 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결핍식이군과 대조군 사이에 뇌 미토콘드리아 지방산조성을 살펴 본 결과 지방 결핍의 좋은 지표가 되고 불포화도, triene 과 tetraene의 비, 그리고 ${\omega}-6$ 계열과 ${\omega}-9$ 계열의 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들로 부터 성장초기에 지방함량을 조절한 식이에 의해 뇌 미토콘드리아 지질 조성이 크게 변하고 이에따라 미토콘드리아의 기능도 유의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 Association with Dietary Intake (한국성인의 체중조절 관련 행위와 식이 섭취 양상)

  • 김영옥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6
    • /
    • pp.1018-1025
    • /
    • 2002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their association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Korean adults. Study subjects were 7,340 Koreans aged 20 years and older in the 1998 Korean Health and Nutrient Survey. Cross-sectional data were collected o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die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by interview. Analysis of variance following after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three different weight control behavior groups(weight reducing attempt, weight gaining attempt, none). Current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reported by 32% of the study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control behaviors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weight reducing practices were 7 times greater than weight gaining practices among female subjects while it was only 1.5 times among male subjects.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not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male and female subjects. Moreover, greater food and nutrient intake were observed among those who trying to reducing weight than those who did not 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Korean adults that balanced food and nutrient intake with sustaind weight control effort is the ideal way to achieve healthy weight.

Challenge Zone_소중한 당신의 체중계_과식 줄이기 - 비만 식사습관에 달렸다

  • Son, Bo-Deu-Ri
    • 건강소식
    • /
    • v.36 no.2
    • /
    • pp.6-8
    • /
    • 2012
  • 비만이 되는 이유는 내분비질환이나 특정 약물 복용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대개는 섭취한 영양분(에너지원)이 다 사용되지 않고 지방으로 변해 체내에 남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에너지 섭취가 많은 경우, 즉 너무 많이 먹거나 살찌기 쉬운 음식(단 음식,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비만일 수밖에 없다.

  • PDF

농약사용 부작용 이유로 과거로 후퇴할 수 있나? 안전성은 공인됐다!

  • 양환승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3 no.5
    • /
    • pp.4-20
    • /
    • 1982
  • 동물실험 안전치에 100배의 안전계수가 가중된 것이 1일섭취허용량이며 이것에 평균체중을 감안, 농약잔류허용량이 설정된다. 더우기 기등록 농약도 등록갱신때는 그 안전성이 재점검되기 때문에 모든 농약의 안전성은 의심할 바 못된다.

  • PDF

Study on snack intakes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in Jeju city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간식 섭취 실태)

  • Ko, Yangsook;Lee, You-Yeong;Chae, Insook;Lee, Yunkyoung;Jekal, Yoonsuk;Park, Hyeung-Ke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1
    • /
    • pp.85-9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related to weight reduction and snack intake habits of $4^{th}$ to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located in Jeju-si, Jeju, South Korea. Methods: The $4^{th}$ and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tal n = 234, equally matched numbers of normal weight children and overweight/obese children (n = 117/group))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 24-hour dietary recall method in Oct 2015. Result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reduced food intake to control weight was 26.3% in the normal weight group (NG) and 77.6% in the obese group (OG). Most frequently answered meal for reduced intake was snacks in the NG and dinner in the OG. Percentages of daily calorie intake among subjects were 17.2% for breakfast, 33.8% for lunch, 29.7% for dinner, and 19.3% for snacks. Frequency of snack intake was 2.1 times a week in NG and 1.6 times a week in OG, which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dy weight groups. Types of snack foods were distinctly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children consumed them, although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NG and OG. In addition, snack intake level of low energy and nutrient-dense food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G compared to the NG, whereas snack intake level of energy dense and low-nutritive food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OG and NG. Conclusion: Taken together, snack intake level with consideration of frequency and amount of snack intake showed that children in the OG consumed significantly less low energy and nutrient-dense foods compared to the NG.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choosing healthy snack foods for children regardless of body weight status is crucial based on family-schoo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