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원진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1초

범랑모세포종과 치성각화낭의 감별 진단시 방사선사진과 판독자에 따른 진단능의 비교 (Diagnostic ability of differential diagnosis in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keratocyst by imaging modalities and observers)

  • 강태인;허경회;이원진;허민석;이삼선;김정화;문제운;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4호
    • /
    • pp.177-182
    • /
    • 2006
  •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bility in differentiating between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keratocyst according to the imaging modalities and observers.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irty-six cases of ameloblastomas and forty-seven cases of odontogenic keratocysts all histologically confirmed. Six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s diagnosed the lesions by 3 methods: using panoramic radiograph, using computed tomograph (CT), and using panoramic radiograph and CT. The observers were classified by 3 groups: group 1 had experienced over 10 years i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c field, group 2 had experienced for 3-4 years, and group 3 was in the process of residentship. After over 2 weeks, the observers diagnosed them by the same methods. Results: The ROC curve areas except for group 3 were the highest with interpreta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 and CT, followed by interpretation using CT only, and the lowest with interpreta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 only. The overall difference was not found in diagnostic ability among groups in using panoramic radiograph only, but there was difference in diagnostic ability of group 1 and 2 vs 3 in using CT only, and combination panoramic radiograph and CT. Conclusions: To differentiate between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keratocyst more accurately, the experienced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 should diagnose with combination of panoramic radiograph and CT.

  • PDF

구강악안면영역의 3차원 CT 영상 재형성시 역치 및 불투명도에 대한 연구 (Study of threshold and opacity in three-dimensional CT volume rendering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 최문경;이삼선;허경회;이원진;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1호
    • /
    • pp.13-18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a proper threshold value and opacity in three-dimensional CT volume rendering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Materials and Methods: Three-dimensional CT data obtained from 50 persons who were done orthognatic surgery i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retrospectively. 12 volume rendering post-processing protocols of combination of threshold(100HU, 150HU, 221HU, 270HU) and opacity (58%, 80%, 90%) were applied. Five observers independently evaluated image quality using a five-point range scal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NOVA and Kappa value. And three oromaxillofacial surgeons chose the all images that they thought proper clinically in the all of images. Results: Analysis using ROC curves revealed the area under each curve which indicated a diagnostic accuracy. The highest diagnostic accuracy appear with 100HU and 58% opacity. and the lowest diagnostic accuracy appear with 221HU and 58% opacity that are being used protocol i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any of the protocols. And the number of proper images clinically that chosen by three oromaxillofacial surgeons is the largest in the cases of protocol 8 (221HU, opacity 80%) and protocol 11 (270HU, opacity 80%) in one after the other. Conclusion: Threshold and opacity in volume rendering can be controled easily and these can be causes of making an diagnostic accuracy. So we need to select proper values of these factors.

  • PDF

구강질환과 사회경제적요인 및 보건의식행태와의 관련성 -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 (Prevalence of Oral Disease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

  • 박현정;차은실;공경애;이원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1-1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ole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on the prevalence of oral diseases(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analyzed for adults aged over 19 years (n=25,215). Oral disease was defined as disease diagnosed by a dentist for the previous 12 month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The population withou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ere used as the reference category for all analysis. The overall prevalence of annual dentist-diagnosed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ere 23.5% and 10.6% respectively. The relative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for graduates of middle school and lower were 1.53 times (95% CI: 1.24-1.89) more likely to develop dental caries comparing to college graduates. Low income earners were 1.23 times(95% CI: 1.01-1.49) more likely to develop dental caries than high income earners. Persons covered by national medical insurance were 1.45 times(95% CI: 1.08-1.95) more likely to develop dental caries comparing to persons covered by employee medical insurance. Compared with persons not eating snacks, the risk of developing caries in persons eating snacks once a day was 1.16(95% CI: 1.01-1.32), while those who snacked twice or more a day were 1.19(95% CI: 1.01-1.41). The relative risk of developing periodontal disease was 3.71(95% CI: 2.38-5.80) higher in older individuals than younger. In terms of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graduates and lower were 1.54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periodontal disease than college graduates. Low income earners were 1.47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periodontal diseases than high income earners. Using data from a larg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populations, we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prevalence of oral diseases is relat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More intensive intervention effort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dental diseases are warranted in Korea.

  • PDF

기판후면 온도 모니터링을 이용한 CIGS박막 하향 증착시스템 개발 및 그 소자로서의 특성 연구

  • 김은도;차수영;문일권;황도원;조성진;김충기;김종필;윤재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43-443
    • /
    • 2014
  • CIS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셀렌화(selenization)방식, MOCVD방식, 동시진공증발(co-evaporation)방식, 전착(electrodeposition)방식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CuInSe2 박막을 제조하는 경우 어떤 방법으로든 다원화합물의 조성 및 결정성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기판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증발원을 가열하여 이에 내포된 물질(이원화합물 또는 단일원소)을 증발시켜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기판의 온도를 승온시키고 구리 이원화합물을 내포한 증발원을 가열해 물질을 증발시켜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기판에 박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기판의 대면적화로 인해 균일한 박막의 형성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중 15% 이상의 고효율을 보인 방법은 3-stage process를 이용한 동시진공증발방식으로, Cu, In, Ga, Se 등의 각 원소를 동시에 진공 증발시키면서 조성을 조절하여 태양전지에 적절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Cu(In,Ga)Se2 (CIGS)박막을 증착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연구되고 있는 장비의 구조는 증발원이 아래에 장착되어서 상향 증착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비는 하향 증발원이 측면에 장착되어서 하향 증착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증착되는 면방향으로, 적외선온도계(pyrometer)가 설치된 시창(viewport)의 오염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지기 힘든 점을 개선하여 증착기판의 후면에 적외선 온도계를 설치하여 기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공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식 진공 증발원, 기판후면 온도모니터링모듈 등을 개발 장착하여, CIGS 박막을 제조하였으며, 버퍼층은 moving 스퍼터링법으로 ZnS를 증착하였고, 투명전극층은 PLD(Pulsed Las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가장 높은 광변환효율을 보인 Al/ZnO/CdS/Mo/SLG박막시료는 유효면적 $0.45cm^2$에 광변환효율 15.65 %, Jsc : $33.59mA/cm^2$, Voc : 0.64 V, FF : 73.09 %를 얻을 수 있었으며, CdS를 ZnS로 대체한 Al/ZnO/ZnS/Mo/SLG박막시료는 유효면적 $0.45cm^2$에 광변환효율 12.45 %, Jsc : $33.62mA/cm^2$, Voc : 0.59 V, FF : 62.35 %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톨루엔 폭로근로자의 혈장중 마뇨산과 공기중 톨루엔과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ippuric Acid in Blood Plasma and Toluene Concentration in the Air of Workplace)

  • 황천현;이원진;장성훈;김형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1호
    • /
    • pp.45-50
    • /
    • 200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hippuric acid in blood plasma (HAP) and those of toluene concentration in the workplace air. Methods :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two groups; 21 workers who were occupationally exposed to toluene and 25 rural-area residents who were not exposed to any known occupational toluene source, as an exposed group and a reference group, respectively. Mean age and work duration of the exposed was 42 years and five years, respectively. Mean age of the reference was 42 years. To determine toluene concentrations in the workplace air, air sampling has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six hours using a personal sampler, and analyzed by a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Concentrations of hippuric acid in biological samples were determin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Results : Geometric mean(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HAP and hippuric acid in urine(HAU) for the exposed was 1.39(2.21) mg/L and 2.77(1.46) g/L,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eference [HAP, 9.45(2.94); HAU, 0.37(0.45)]. Teluene concentration in the workplace air was 86.92(range: $45.18\sim151.23$)ppm. The level of HAP or HAU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0.70 and r=0.63, respectively) with that of toluene in the workplace air. The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was logHAP(mg/L)=-3.60+1.93 log(toluene, ppm) or logHAU(g/L)=-0.85+0.67 log(toluene, ppm).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was further enhanced when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oluene concentrations lower than 100 ppm and its corresponding HAP levels. Conclusion : Overall, plasma hippuric acid levels were well correlated with toluene concentrations in the workplace air,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the samples with toluene concentration lower than 100 ppm.

  • PDF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연구 (Carpal Tunnel Syndrome among Packing Workers in A Rayon Manufacturing Factory)

  • 이원진;이은일;차철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1호
    • /
    • pp.26-33
    • /
    • 1992
  • 반복작업에 종사하는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 42명을 대상으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중상, 이학적 검사 및 근전도 검사를 1991년 11월부터 1992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양손 모두에서 근전도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4명, 오른쪽 손에만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4명 그리고 왼손이 1명 등 총 9명으로서 21.4%의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임상중상은 전체 42명중 66.7%에 해당되는 28명에서 나타났다. Tinel과 Phalen sign 등 이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14명으로 전체의 33.3%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키와 임신 횟수를 제외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다른 일반적 위험요인은 환자군과 비환자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전도 검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임상증상에 대한 민감도는 0.89, 특이도는 0.39이었고 Tinel sign에서는 각각 0.33, 0.88 그리고 Phalen sign에서는 0.56, 0.82 등이었다. 임상증상이 있고 Tinel과 Phalen sign에서 어느 하나 양성으로 나타나는 것을 선별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0.57, 0.76이었다.

  • PDF

멀티간섭기법에 기반한 이온왜곡 보정기법의 보완 (Enhancement of Ionospheric Correction Method Based on Multiple Aperture Interferometry)

  • 이원진;정형섭;채성호;백원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1-110
    • /
    • 2015
  • 레이더 간섭도는 대기오차, 위성 궤도 오차, 처리 오차 등 다양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온층에 의한 위상 지연오차는 파장과 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장파장을 사용하는 레이더 영상의 경우 이에 대한 오차 보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에 관한 연구로 최근 멀티간섭기법(Multiple Aperture SAR Interferometry, MAI)에 기반된 레이더 간섭도 위상 오차 보정 기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법에 대한 소개와 간섭도 생성이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서 방향 필터를 이용한 활용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제시된 방법을 서해 연안 지역을 포함하는 ALOS PALSAR 간섭쌍에 대해 적용하였다. 우선, 기법 비교를 위해 일반적으로 궤도 오차 보정에 많이 사용되는 2차원 다항식 보정 기법을 이용하여 레이더 간섭도의 위상 오차 보정을 수행했다. 그 결과 비행방향을 따라 초기 레이더 간섭도와 같이 저주파 싸인 곡선 형태의 위상 패턴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이는 이온층에 의한 오차 보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제시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간섭도 전체에서 특정 패턴이 없어졌으며 비행방향을 따라 ${\pm}1rad$ 내의 안정된 위상 값을 유지하며 이온층에 의한 레이더 간섭도의 위상 왜곡 보정 적용이 잘 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효과적으로 이온층에 의한 위상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L- 혹은 P-밴드 시스템의 레이더 간섭도 정확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 기술이 될 것이다.

명품과 배경음악이 충동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ckground Music on Impulsive Decision Making: When People are Exposed to Luxury Items)

  • 장성진;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83-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상품과 배경음악이 사람들의 충동적인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연 할인의 쌍곡선 함수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상품과 배경음악에 따라 유의미한 이원 상호 작용이 존재했다. 명품 조건에서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콘체르토 5번 장조 음악을 들었을 때, 20번 단조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충동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하지만 실용 상품에 노출된 참가자들에게선 음악의 종류에 따라 충동성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 연구를 통해 음악을 더 세분화하여 빠르기를 조절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동시에 정서가 위와 같은 결과를 매개 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정서의 매개효과와 빠르기의 주효과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빠르기와 장단조 조건 간의 유의미한 이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알레그로(allegro) 빠르기에서는 장조음악일 때가 단조 조건일 때보다 충동성이 높은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안단테(andante) 빠르기에서는 장조 음악을 들었을 때가 단조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유의미하게 충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우울한 정서를 예측 변수로 하고 미래 시간 길이 지각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시간 길이 지각은 우울한 정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FM 신호 기반 PCL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s for an FM Based PCL System)

  • 박근호;김동규;김호재;박진오;이원진;고재헌;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819-830
    • /
    • 2017
  • FM 신호 기반 PCL 시스템은 FM 송신탑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를 추적하는 수동형 레이더 기술로서, 송신탑에서 수신기에 LOS (line-of-sight)로 입사되는 직접경로 신호와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표적반사 신호의 상호 상관 함수를 유도하여 표적의 위치를 추적한다. 하지만, 직접경로 신호와 지형 및 지표면 등에서 반사되는 간섭 신호가 표적반사 신호 획득을 위한 감시 채널에 동시에 측정되며, 이에 따라 표적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간섭 신호 제거에는 적응 필터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상호 상관 함수나 적응 필터 입출력 신호의 전력 비율로부터 간섭 신호의 제거 성능을 유도하기 때문에, 정확한 성능 분석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필터 계수의 각 성분이 특정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유도된다는 특징을 활용하여, 각 간섭 신호 제거 성능을 적응 필터 계수에 대한 함수로 정리한다. 제안한 성능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적응 필터 기법의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제안한 방법이 간섭 신호 제거 성능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CT 영상을 이용한 악골 골수염의 경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ard tissue changes in osteomyelitis of the jaws using CT image)

  • 안창현;최보람;허경회;이원진;이삼선;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9권3호
    • /
    • pp.163-168
    • /
    • 2009
  • Purpose : To assess the clinical findings and hard tissue changes of osteomyelitis of the jaws using computed tomographic (CT) imag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and interpreted the CT images of 163 patients (64 males and 99 females, age range from 10 to 87 years) who visi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April 23, 2006 to December 31, 2008 and were diagnosed as osteomyelitis of the jaws through clinical, radiologic,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Each CT findings was investigated for frequency, correlation with age and gender. Results : Of the 163 patients, 31 (19.0%) were affected on the maxilla, 135 (82.8%) were affected on the mandible, and 3 (1.8%) were affected on the both jaws simultaneously.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ho were affected on the maxilla was 61.0 years and that of the patients who were affected on the mandible was 56.2 years. On the maxilla, the most frequent site of disease was the posterior area (83.9%) and on the mandible, mandibular body (83.0%), followed by angle (48.1%), ramus (38.5%), condyle (13.3%), incisal area (9.6%), and coronoid process (3.0%). Among the 31 maxillary osteomyelitis, defect in the trabecular bone was observed in 28 (90.3%), osteosclerosis 20 (64.5%), defect in the cortical bone 27 (87.1%), sequestrum 17 (54.8%), and periosteal reaction 2 (6.5%). Among the 135 mandibular osteomyelitis, defect in the trabecular bone was observed in 100 (74.1%), osteosclerosis 104 (77.0%), defect in the cortical bone 116 (85.9%), sequestrum 36 (26.7%), and periosteal reaction 67 (49.6%). Conclusion : Of our cases, the maxillary osteomyelitis was visibly observed more frequently in females than males. The incidence is the highest in seventies (28.8%) and the lowest in teens (3.1%). The osteomyelitis of the jaws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males than females before the age of 50, and observed more frequently in females after the age of 50. The most noticeable point was that the sequestrum was observed more often on maxillary osteomyelitis and the periosteal reaction was observed more often on mandibular osteomyel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