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자 수

Search Result 4,131,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f Two Paradigms in Information Retrieval: Centering on Newer Perspectives on Users (정보검색에 있어서 두 패러다임의 비교분석 : 이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중심으로)

  • Cho Myung-D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 /
    • pp.333-369
    • /
    • 1993
  • 정보검색 시스템을 대하는 대부분의 이용자의 대답은 '이용하기에 어렵다'라는 것이다. 기계적인 정보검색을 기본 철학으로 하는 기존의 matching paradigm은 정보 곡체를 여기 저기 내용을 옮길 수 있는 물건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기존의 정보시스템은 이용자가 시스템을 구성한 사람의 의도 (즉, indexing, cataloguing rule)를 완전히 이해한다면, 즉 완전하게 질문식(query)을 작성한다면, 효과적인 검색을 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이다. 그러나 어느 이용자가 그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정보검색을 할 수 있겠는가? 한마디로 시스템을 설계한 사람의 의도로 이용자가 적응해서 검색을 한다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용자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다면 보다 나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우리 인간은 아주 창조적이어서 자기가 처한 상황에서 이치에 맞게끔 자기 나름대로의 행동을 할 수 있다(sense-making approach). 이 사실을 인식한다면, 왜 이용자들의 행동양식에 시스템 설계자가 적응을 못하는 것인가? 하고 의문을 던질 수 있다. 앞으로의 시스템이 이용자들의 자연스러운 행동 패턴에 맞게 끔 설계된다면 기존의 시스템과 함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서관 및 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분류. 목록에 대한 연구와 이용자체에 대한연구(예를 들면, 몇 시에 이용자가 많은가? 어떤 종류의 책을 어떤 계충에서 많이 보는가? 도서 및 잡지가 어떻게 양적으로 성장해 왔는가? 등등의 use study)와 함께 여기서 제시한 제3의 요소인 이용자의 인식(cognition)을 시스템설계에 반드시 도입을 해야만 한다고 본다(user-centric approach). 즉 이용자를 중간 중간에서 도울 수 있는 facilitator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용자의 다양한 패턴의 정보요구(information needs)에 부응할 수 있고, 질문식(query)을 잘 만들 수 없는 이용자를 도울 수 있고(ASK hypothesis: Anomolous State of Knowledge), 어떤 질문식 없이도 자유스럽게 Browsing할 수 있는(예를 들면 hypertext)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이용자의 행동패턴(external behavior)도 중요하지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이용자의 심리상태를 이해한다면 훨씬 나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이용자가 '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정보를 검색하는지에 대해서 새로운 관심을 들려서 이용자들이 얼마나 우리 시스템 설계자들의 의도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식 해야한다. 이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paradigm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단지 'user-study'만으로는 부족하며 새로운 시각으로 이용자를 연구해야 한다. 가령 새롭게 설치된 computer-assisted system에서 이용자들이 어떻게, 그리핀 어떤 분야에서 왜 그렇게 오류 (error)를 범하는지 분석한다면 앞으로의 computer 시스템 선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실제로 많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면 시스템 설계자가 가졌던 이용자들이 이러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검색을 할 것이라는 예측과(즉, conceptual model) 실제 이용자들이 정보검색을 할 때 일어나는 행동패턴 사이에는(즉, mental model)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차이점을 줄이는 것이 시스템 설계자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Computer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함께 이용자들의 인식을 연구할 수 있는, 철학적이고 방법론적인 연구를 계속하나가면서, 이용자들의 행동패턴을 어떻게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해야 한다. 중요하게 인식해야할 사실은 구 Paradigm을 완전히 무시하라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이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그것이 진정한 User Study가 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하며, 컴퓨터와 이용자 사이의 '원활한 의사교환'이 필수불가결 한 지금 우리 학문이 가야 할 한 연구분야이다. (Human Interaction with Computers)

  • PDF

User - centered approach for information system design (정보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용자 중심 접근)

  • 노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35-39
    • /
    • 1998
  • 이용자 중심 연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기초들이 발달함으로써, 그것들은 이세 점점 더 시스템 중심의 접근에 도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정보 시스템 설계에 채용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 접근의 개념과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일곱 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시스템 설계는 이용자 중심의 접근을 추구하기 위한 가장 분명한 경우이다. 그러한 초점이 없이, 어떤 종류의 이용자를 위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어떤 이용자를 위하여 시스템을 디자인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은 이용자에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이용자가 성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 PDF

Multilingual Web-Page Providing system (언어별 웹 화면 제공 시스템)

  • Jin, Sung-Geun;Lee, J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545-1548
    • /
    • 2000
  • 본 고는 인터넷 이용자가 원하는 웹페이지 링크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중, 언어적인 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언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인터넷 이용자의 DNS 서버와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이용자의 언어 정보를 추정하고, 추정한 언어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인터넷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발생하는 언어적인 장벽 문제 해결, 웹페이지 상에서의 불필요한 클릭 수 감소, 웹페이지 링크 수 증가, 시간 절약 등의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Developing a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Tutorial System for Academic Library Users (WWW기반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시스템 개발)

  • 김성자;김성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77-8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도서관의 이용자가 편리한 웹 환경에서 스스로 이용자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개별학습 시스템을 개발한 후,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 시스템은 도서관 자료검색시스템의 이용절차 뿐 아니라 정보검색이나 자료조직에 대해 이용자가 더욱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protocol assuring user anonymity over wireless link in mobile communications (이동통신 무선접속공간에서 이용자 익명성을 보장하는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

  • Go, Jae-Seung;Kim, Kwa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89-792
    • /
    • 2000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용자와 네트워크간 이용자 익명성을 보장하고, 이용자와 네트워크가 상대 실체를 안전하게 상호 인증할 수 있는 공개키 암호 방식에 기반한 개선된 인증 및 키합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이용자와 네트워크는 이용자의 고유신분과 세션별로 변하는 랜덤수를 입력으로 하여 임시신분 정보를 생성 및 상호 공유하고, 네트워크는 초기에 이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며, 임시신분 정보는 이용자와 네트워크가 상호 선택한 랜덤 수에 따라 세션별로 갱신되므로 무선 접속 구간 상에 익명성을 보장하고 기존의 방식에 비교하여 보다 강화된 안전성을 보장한다.

  • PDF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for Songs Based on Co-Occurrence Analysis Method (동시출현정보분석을 이용한 음원 협력추천 서비스에 대한 연구)

  • Choi,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129-132
    • /
    • 2013
  • 협력추천은 이용자가 가지고 있던 지식과 경험 또는 정보를 활용하는데 사용하였던 지식을 토대로 다른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이 연구에서는 음원 서비스의 기존 이용자들이 구축해놓은 공개앨범에 나타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 동시인용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음원을 찾고자 하는 이용자들에게 선호할 만한 음악을 추천해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동시출현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된 가수 네트워크에서는 연관 가수 집단이 폭 넓게 표현될 수 있었고, 동시출현한 빈도가 높은 상위 곡은 이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유사정보를 추천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commending Potential Friends by Using Spatiotemporal Data (시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잠재적 친구 추천 설계 및 구현)

  • Yeo, Eunji;Choi, Young-Hwan;Lim,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29-1131
    • /
    • 2013
  • 온라인 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1990년대에 등장한 SNS는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로 인해 이용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SNS에서는 '친구 찾기' 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분석하여 이용하여 친구를 찾아주는 서비스이다. 기존의 '친구 찾기' 서비스는 이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만을 다른 이용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친구를 찾았다. 그러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비교할 수 있는 정보의 양도 한정되어 찾을 수 있는 친구의 수에도 한계가 생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개인정보 비교를 통한 친구를 찾는 방법이 아닌 이용자가 제공하는 시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론을 통해 친구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Strategies for Improving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for the Activat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자적 질의/응답 기능 개선방안 -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

  • Woo, Su-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6 no.1
    • /
    • pp.113-136
    • /
    • 2006
  • This study aims for the above mentioned. After all, through the analysis of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to understand a user's demand under online circumstances, groping for the method to provide an appropria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is, in this study, it researched the users interviews and the research related to users as a precedence study, and the studies having examined the state of demanding information by users through analyzing the e-mail actually. Additionally, by looking over the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t is activated in a field of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rather than Archival Science, as a matter of fact,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 standard for analyzing Electronic Question/Answering Function. And based on the precedence study, the instances for the National Archives from USA, England, Australia and Canada were analyzed, and the chance of activat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ere tried to grope for in the study. This study might be one of methodologies in examining the users study that is not activated yet in Archival Science. Therefore, the users study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ethods as well as Electronic Archives/Answering Service. This study might be the important information in providing far bette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t is desirable that based on this opportunity, the study related to the various users by examining not only Electronic Archives/Answering Function but also Question/Answering of the users and the Archivists in the filed to the larger extend will be activated for Archival Science.

A Study on User Participation in Facebook of the U.S. State Archives (미국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 Kim,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7 no.4
    • /
    • pp.63-84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hat users participated in Facebook of U.S. state archives and the types of user responses to posts on the Facebook. For the purpose, data created between August 1st and September 30th in 2016 were collected from Facebook continuously operated by 27 state archives. The extent of user participation was measured based on the number of user comments, the number of unique commenters, and the average number of comments per post. According to the measures, top 10 Facebook of state archives were selected. Out of these, Facebook of Ohio (1st), Florida (5th) and Arkansas (10th) state archives were chosen to collect 687 user comments and 132 posts. The analysis showed that comments regarding users' emotional opinion and judgement, adding explanations to a post, and sharing personal stories occupied a large portion. Interactions among users or between a user and an archivist were also identified. With regard to posts, those for sharing information/knowledge of records held in archives were identified as a high percentage. The study suggested that archives should collect and present historical information and related records connected to users' lives, examine method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users via social media and facilitate publicity and outreach services of archives based on shaping and maintaining online user community through social media.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Choi, Hee-K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4
    • /
    • pp.129-14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which kind of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number of users in the public librarie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such as personnel, collection, budget, event, influenced on the number of their users of 55 public librar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users in the public libraries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heir seat, librarian, the building size and the number of librarian. Beside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se regression models was revealed that the factor influenced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is only the number of se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actically use in establishing the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ir users in public libr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