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자중심

Search Result 1,9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Users' Relevance Criteria in Universal Search in Korea : An Exploratory Study (통합 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ark, Jung-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2
    • /
    • pp.113-133
    • /
    • 2012
  •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user relevance criteria in Korean search service environments that provide integrated search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articipants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The participants conducted a web search using integrated search services, such as Naver or Daum on a self-selected topic. They were asked to judge the relevance of retrieved documents and to report their relevance criteria. As a result, the research indicated 8 user-defined relevance and non-relevance criteria. The research shows that specificity and richness are the two most important criteria yet, the user's relevance criteria have not changed much despite the change in search environment.

The Concept of the Context-Aware Compu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 Lee, Jeong-M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1
    • /
    • pp.179-194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context-aware compu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Context-aware computing represents mobile computing techniques which gather, analyze user's contextual information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specific user. The idea was proposed in the late 90's but it was not widely available to the public because of the technology limitation. Recent technology development made context-aware computing possible to apply to our everyday-life information seeking using smart phone and showed the usefulness of its application.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context-aware computing with some examples of it, and finally tried to propose some of its applications to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An Evaluation on the Quality of OPAC User Interface: The Case of the SNU's SOLARS (OPAC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평가: SOLARS를 중심으로)

  • Lee Jae-Whoan;Lee Hyun-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1
    • /
    • pp.69-9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OPAC user interface in academic library setting,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the user group's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Both survey and experimental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or the survey, 52 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academic background were selected, and 8 out of 52 were chosen for the retrieval experiments using the SOLAR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unction and design of the SOLARS user interface should be improved to become a more user-friendly OPAC system.

  • PDF

The Study on the User Interface in the Internet Newspapers (인터넷 전자신문의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Kim Su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1 no.4
    • /
    • pp.319-348
    • /
    • 1997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user interface of the Korean internet newspapers. To investigate the user interfaces, the home pages of the 6 internet newspaper were selected as the samples. Then, the information procedures, designs. information presentations, and searching routines of that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home-page design of the internet newspaper and the education of the article search by the journalist-librarian with the press or the librarian in common. the results of the paper will be helpful.

  • PDF

A Study on the Barriers of Users’Information Seeking Satisfaction with Evaluation of Reference Services - with a focus at research libraries - (참고봉사 평가를 통한 이용자 정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요인 분석 -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 정진식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9 no.1
    • /
    • pp.5-38
    • /
    • 1998
  •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qualitative evaluation of information supplied by reference librarian in response to researchers' questions. Information users' satisfaction on the appropriateness of librarians' answers was evaluated, and at the same time, negative factors affecting users' satisfaction were examined, so that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appropriateness can be sought by analyzing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 PDF

Systematic Bibliographic Study on Uigwe Banchado Digitization and Modern Application (의궤 반차도 디지털화의 체계서지학적 연구와 현대적 활용)

  • Kim, D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33-37
    • /
    • 2018
  • 본 연구는 반차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반차도란 의궤 안에 담긴 그림으로 왕실의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하나의 본보기로 삼아 기록해놓고 예법에 맞게 이를 따르고자 왕실의 각종의식과 행사의 전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왕조의궤는 세계기록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록유산들의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이 여러 곳이고 각각 세부 분류 방식이나 열람 형식 등이 달라 이용자들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기록유산들 중 의궤 반차도를 주제로 디지털화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반차도 디지털화의 장점은 일반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문화 콘텐츠의 개발, 재생산을 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료를 보존하는 것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활발한 접근과 활용을 유도하여 또 다른 가치를 창조해낼 수 있고 동시에 역사를 후대에 잘 전승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반차도의 주요 소장처들이 진행한 반차도 디지털화의 현황을 알아보고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이용자 중심의 비교를 통해 현황과 개선할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Prototype Chatbot based on Messenger App for Archival Reference Service with Focus on the Archives & Records Center of Myongji University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

  • 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105-108
    • /
    • 2018
  • 기록 관리는 기록을 선별하고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에서 이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록관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 이용자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적용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선정하고 이용자 요구 및 질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어 IBM Watson Conversation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챗봇을 구축한 뒤, 시험 실행(Pilot run) 과정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이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 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했다.

  • PDF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Science Information Services (정보기술과 사회과학 정보봉사)

  • 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 /
    • pp.295-324
    • /
    • 1993
  • 최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 따라 사회 전반적인 체제의 정보화 현상으로 개인이나 조직의 활동이 정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이용자의 정보 수요에 적합한 정보원을 제공하는 매개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역할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이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모든 활동에 파급됨에 따라 정보를 수집, 가공, 분석. 저장 및 전달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 전문가는 종래의 문헌중심봉사(book-based service)에서 정보중심봉사(information-based service) 형태로 역할 변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제전문 봉사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나 정보전문가는 이러한 정보기술의 파급효과를 더욱 실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첫째, 정보기술의 발달이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봉사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살펴보고. 둘째로 사회과학 분야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특성 분석과 정보기술을 매체로 이용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정보기술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정보사회에서 다양한 정보제공을 담당할 사회과학 정보전문가의 새로운 역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학제적 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과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가능하다.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은 인간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의 전반적인 분야를 포괄하고 있어 많은 주제분야가 서로 중복되거나 상호 호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사회과학 정보시스템이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만족을 주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유형, 정보요구의 형태 및 그 해결방안에 일차적 관심을 가져야한다.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유통 체제를 살펴보면, 대부분 통계자료나 단편적인 데이타로 시작되는 원자료가 사회과학자나 연구자에 의해 "지적 변환(intellectual transformation)" 과정을 거쳐 논문이나 저서 등과 같은 정형화된 문헌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정형화된 문헌이 다른 이용자의 요구에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위하여 다시 "서지적 변형(bibliographic transformation)" 과정이 수반됨으로써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정보시스템에서 문헌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보급 이전에는 서지적 변형 단계에서 대부분 정보제공시스템의 역할이 종결되었으나, 최근 정보기술의 활용으로 서지적 변형 후 각종 정보자료의 색인과 초록 및 네트웍 화를 통한 자동화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최대의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효율적인 통제로 포괄적인 정보관리 차원으로 이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활용에 따른 정보전문가의 인지적 혹은 업무 적 변화가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기술을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서들은 정보기술이 그들의 정보봉사 업무를 쉽게,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처리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보기술 습득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보기술의 이용에 따른 추가적인 책임이나 의무가 수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기술이 정보전문가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로 위협을 느끼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종합적인 반응은 대부분의 사서들이 정보 봉사 업무에 정보기술의 활용을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용자 요구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관리에 필수불가결 한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과거의 유능한 사서나 정보전문가는 자관의 정보원에 대한 철저한 이해로 이용자의 요구에 봉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유능한 정보전문가는 자관은 물론 국가적 혹은 세계적인 정보원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원 관리 능력은 물론 정보기술의 활용과 이용자에 대한 교육적 능력을 동시에 지녀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제공을 담당하고 있는 정보전문가의 새로운 역할을 크게 이용자 보조 역할, 주제전문가 역할. 시스템 전문가 역할, 그리고 정보원 관리자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R Users' Attributes on AR Contents Adoption and Usage -Focusing on AR Contents Us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AR 초기 이용자들의 속성이 AR콘텐츠 채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AR콘텐츠 이용자들의 이용 인식과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 Kim, Kiy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38-48
    • /
    • 2020
  • Focusing on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many actual users of VR / AR,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y adoption and use, explores the adoption-and-use process of AR content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using smartphones. As a resul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cessity of AR contents were 'enjoyment' and 'satisfaction', and other factors, such as 'innovativeness', 'the experience of using similar media', and 'the number of AR usage',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necessity of AR cont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level differences in 'enjoyment', 'satisfaction' and 'necessity'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ing AR content, only the 'enjoyment' and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users in their 20s actively use AR content only when they expect to have fun and satisfaction. To sum up, this study can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early AR content users' perception and usage behavior.

Digita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What do Users Want? (디지털 도서관 평가기준: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 Xie, Iris;Joo, Soohyung;Matusiak, Krystyna 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5-18
    • /
    • 2014
  • Criteria for evaluating digital libraries have been suggested in prior studies, but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s of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investigates users' opinions of the importance of digita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Thirty user participants, including 10 faculty members and 20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five universities across the United States. They we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criteria in eight dimensions (e.g. collections, information organization, context, etc.).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users care about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the use and quality of collection and services rather than the operation of digital libra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relevant to the development of user-centered digital libraries and associated evaluation frameworks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unique users' needs and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