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악

Search Result 1,0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Usefulness of the Salivary Gland Scan Using $^{99m}Tc$-pertechnetate after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방사선 치료에 따른 $^{99m}Tc$-pertechnetate를 이용한 이하선과 악하선 기능 검사의 유용성)

  • Kim, Jong-Jin;Hong, In-Soo;Lee, Jong-Young;Kim, Myung-Soon;Sung, Ki-Joon;Park, Jin-Sook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0 no.3
    • /
    • pp.325-331
    • /
    • 1996
  • Purpose : To assess the functional change of salivary gland, recovery of salivary destruction, difference of susceptibility to irradiation between the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 correlation between the xerostomia and excretory rate by irradiation in salivary scan using $^{99m}Tc$-pertechnetate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19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who had taken $^{99m}Tc$-pertechnetate salivary gland scan before,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We measured the uptake of radioactivity every 5 minutes for 60 minutes after injection of $^{99m}Tc$-pertechnetate(370MBq). We also evaluated the first excretory function stimulated by 5% citric acid at 30 minutes after injection of $^{99m}Tc$-pertechnetate and then the second excretory function stimulated by 10% citric acid at 45 minutes. Results : The mean uptake curves showed a sharp increase at the 1st week of radiotherapy and then showed a gradual decrease afterwards during radiotherapy. And the mean uptake curves after radiotherapy Persistently decreased on follow up scans without being recovered. The excretory rates decreased gradually as radiation dose increased and were not recovered after radiotherapy. Our study was not satisfactory enough to show the difference of susceptibility to irradiation between the parotid and salivary glan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 of xerostomia and the change of the excretory rates. Conclusion : The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 scans using $^{99m}Tc$-pertechnetate are useful in the assessment of the functional change of the salivary gland by radiotherapy and predicted the functional change of the salivary gland until 1 year-follow up scan.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raniomandibular Index in the Assessment of Craniomandibular Disorders (두개하악장애의 평가에 이용되는 두개하악장애지수의 개선에 관한 연구)

  • Yun-Heon Song;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0 no.2
    • /
    • pp.347-360
    • /
    • 1995
  • 악관절장애환자의 임상 평가를 위해서 고안된 여러 지수 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두개하악장애지수와 평가방법을 새로 고안한 변형 두 개하악장애 지수, 혼합두개하악장애지수를 비교하여 환자의 증상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능력을 알아보고자 본연굴를 시행하였다. 두개하악장애지수의 기준에 따라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악관절장애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두개하악장애지수, 변형두개하악장애지수, 혼합 두 개하악장애 지수를 산출하였다. 치료전, 치료후 2주, 치료후 4주에 수집된 결과를 각 지수간에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악관절장애환자의 증상평가에서 변형두개하악장애지수가 환자의 증상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사용된 세가지 지수중 변형 두개하악장애지수가 악관절장애환자의 경과를 관찰할 때 증상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Bruxism의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법을 중심으로-

  • Lee, Gi-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1 no.4 s.167
    • /
    • pp.293-297
    • /
    • 1983
  • Bruxism이란, 일반적으로 기능이외의 목적으로 상하악 치아를 악물거나 갈음질 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동일한 상태를 서술하는 용어로 neuralgia traumatica, Karolyi effect, occlusal habit neurosis, parafunction 등이 있으며, 수면중의 이갈음질을 bruxism, 주간의 습관성 이갈음질을 bruxomania로 구분하기로 한다. 또한 centric bruxism과 eccentric bruxism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eccentric bruxism은 통상적 의미의 수면중의 bruxism이며, 하악의 측방운동중의 이갈음질이고 뽀드득하는 갈음질 소리를 냄, 저작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어 있으면서 등장성수축을 나타내고, 비중심위의(eccentric) 교합간섭이 주요 유발인자인 반면에 centric bruxism은 중심교합위에서 상하악 치아를 간헐적으로 악무는 것(clenching)은 의미하고 - 지속적으로 악무고 있는 것은 clamping이라고 함.- 주로 주간에 행하며 갈음질소리를 들을 수 없고, 역시 저자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어 있으며 등률성수축을 나타내고, 중심교합위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교두간섭이 유발인자이다. bruxism이나 clenching과 부정교합의 관계는 bruxism과 clenching은 부정교합을 야기할 수 있고, 부정교합도 역시 bruxism과 clenching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는 악순환적 관계이다. 현저한 부정교합을 가지고 있는 bruxism환자의 교정치료는 그 목적이 bruxism의 치료라기보다는 오히려 부정교합의 치료이며 부차적으로 bruxism의 치료를 기대하게 된다. 그러나 bruxism이 장기간 지속되어 치아 및 그 주위조직, 악관절과 신경근계에 심한 손상을 주었을때의 교정치료는 일반적으로 제한을 받을 뿐만아니라 bruxism의 처치에는 거의 무의미한 치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거자는 bruxism 환자의 교정치료라는 제목의 원고 청탁을 받았으나 편집위원의 양해아래 장치를 이용한 bruxism의 치료에 관하여 서술하려 한다.

  • PDF

Case Report of Maxilla/Mandible Simultaneous Distraction with Molina$^{(R)}$ Distractor (Molina distractor를 이용한 상/ 하악 동시 신장술 증례의 보고)

  • Baek, Kyung-Won;Kim, Keun-Woo;Choi, Jin-Yeong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9 no.2
    • /
    • pp.55-62
    • /
    • 2006
  • 1980년 일리자로프가 하지에서의 골 신장술을 발표한 이래 수많은 외과 의사들이 임상연구와 발표를 거듭해 현재의 골 신장술을 이루었다. 악골에서 골 신장술의 적용은 1992년 8명의 악골 기형 환아에게 하악지 신장술을 적용한 맥카시의 발표를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골 신장술의 장점은 부족한 골조직과 함께 주변 연조직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복합적 조직 결손을 보이는 선천성 악골 기형 환자들에게 특히 유리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반안모 왜소증은 안면 반측의 상/하악골 및 악관절, 연조직의 저성장 및 결손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악골 기형이다. 하악지 신장술의 활발한 연구로 이를 이용한 악관절 증상과 안면 비대칭의 해소가 일차적 치료기법으로 선택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악관절 증상과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성인 반안모 왜소증 환자에게 상악 및 하악의 동시 골 신장술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발표한다. 상악골의 Le Fort 제1형 골 절단술과 이환측의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 후에 Molina distractor를 하악지에 적용하고 악간 고정을 통해 동시 신장을 꾀하였다. 수술 기법 및 평가 기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Evaluation of Dental Terminology System Using GRAIL: A Pilot Study (GRAIL을 이용한 치의학 용어 체계의 평가)

  • Kim, Young-Jun;Lee, Jon-Ki;Kim, Myeng-Ki;Kho, Hong-Seo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189-204
    • /
    • 2001
  • 본 연구는, 기존의 나열식 분류체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GRAIL을 이용하여 두경부의 해부학적 구조물들 및 구강 악안면 영역의 주요 질병들과 관련된 치의학 개념들의 모델을 구축한 뒤, 완성된 치의학 개념 모델이 두경부의 해부학적 구조물들 및 구강 악안면 영역의 주요 질병들을 잘 표현할 수 있는지와 기존의 GRAIL 모델이 지닌 특징에 잘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내원 환자 중 포괄적인 치과 치료 병력을 지닌 환자 150명의 치과 의무기록을 내용별로 분석하고, 각종 치의학 교과서와 기존의 의학용어 분류체계에서도 모델 구축에 필요한 치의학 용어를 선택하였다.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GRAIL 모델 구축을 진행하고 구축된 모델을 평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KnoME'에서 치의학 개념 모델을 구축하고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 150명의 치과 의무기록을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우선적으로 모델 구축이 필요한 치의학 용어로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경우 치아, 치은, 악관절, 입술, 턱, 혀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구강악안면 영역의 병소에서는 치아 우식증, 치주염, 치은염, 악관절 장애, 매복 지치, 치경부 마모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 GRAIL을 이용하여 치아, 치주조직, 구강점막조직, 치아 우식증, 치수 및 치근단 병소, 치주질환, 구강점막질환의 모델 구축을 시행한 결과, 치의학 개념간의 다양한 관계가 대다수 잘 표현되었다. 그러나, 구강 악안면 영역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공간 정의의 한계성과 구강 악안면 질환의 진행 양상에 있어서 표현의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부분은 GRAIL을 치의학 분야에 적용할 때, 극복해야 할 한계로 나타났다. 3. 치의학 개념들에 관한 다양한 질의를 시행한 후 그 응답 내용을 평가한 결과, 완성된 모델 내에서 치의학 개념의 자동적인 분류가 이루어 졌으며, 다양한 목적의 검색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보아서, 완성된 모델은 기존의 GRAIL 모델의 특성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Re-restor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cquired after implant prosthetic restoration using T-Scan: A case report (임플란트 보철 수복 후 발생한 악관절 장애 환자의 T-Scan 분석을 이용한 재수복 증례)

  • Joo, Se-Jin;Kang, Dong-Wan;Lee, Ho-Sun;Jin, Soo-Yoon;Lee, Gyeong-J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4 no.4
    • /
    • pp.431-437
    • /
    • 2016
  • In cases of extensive prosthetic restoration, correction of occlusal contact is often needed, as it is the essential component for a successful restoration. If occlusal contact is given incorrectly, various symptoms of occlusal trauma can occur of whic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is one of them. As one of the common symptoms of TMD, patients may suffer with masticatory muscle disorder an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This case presents satisfactory results for the improvement of masticatory muscle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of a TMD patient, caused by incorrect occlusal contact of the restoration, by replacing the prosthesis after occlusion correction.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A Comparative Study (이하선과 악하선에 생긴 선양낭암의 비교)

  • Lee S.S.;Park J.S.;Luna Mario A.;El-Naggar Adel;Batsakis John 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7 no.2
    • /
    • pp.104-113
    • /
    • 1991
  • 선양낭암은 타액선종양중 비교적 드문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및 임상적으로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병리조직학상 종양세포가 신경주변으로 침범하여 수술당시 적절한 수술연을 얻기 어렵고 이에 따른 국소재발이 거듭되고 임파선전이 및 예측치 않는 원격전이가 생기기도 한다. 지금까지 선양낭암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워지고 있는데 그중 조직학적 분화도, 원발부위, 종양의 크기, 수술연의 상태와 임상적 병기들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60년부터 1980년 까지 텍사스대학 M.D. Anderson 암센터에서 치료받은 이하선 및 악하선 선양낭암 각각 13례와 26례를 대상으로 원발부위가 환자의 생존 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다른 예후인자로 알려진 조직병리학적 소견들과 함께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하선과 악하선에 생긴 선양낭암을 비교한 결과 이하선에 생긴 경우 조직학적 분화도가 더 낮았고 악하선 종양에서 수술연에 종양침범율이 더 적었다. 경부 임파절 전이는 악하선 종양에서 많았으나 반면 원격전이는 이하선 종양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 선경주위침범 유무, 국소재발과 환자의 생존율사이에는 의의있는 상관 관계는 없었다. 이하선과 악하선에 생긴 선양낭암의 여러 특성들과 생존률간의 univariate 분석결과 악하선에 생긴 선양낭암 환자에서 종양이 크거나 조직학상 분화가 나쁘거나(solid pattern), 경부임파절 전이와 원격전이가 생기면 예후에 나쁜 영향을 끼침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하선에 생긴 경우 분석례가 너무 적어 결론을 내리기에 불충분하였다. 원발부위에 따른 선양낭암 환자들의 특성을 chi-square 검정법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두군간에는 의의있는 통계학적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anterior open bite patients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설골 및 상기도의 변화)

  • Lee, Yoon-Seob;Baik, Hyoung-Seon;Lee, Kee-Joon;Yu, Hyung-Seog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9 no.2
    • /
    • pp.72-82
    • /
    • 200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anterior open bite patients, and make comparisons with normal occlusion. Methods: Pre- an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12 skeletal class III anterior open bit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Using the V-works $4.0^{TM}$ program, 3-dimensional images of the total skull, mandible, hyoid bone, and upper airway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Class III open bite group, the hyoid bone were all positioned anteriorly,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5). The angle between the hyoid plane and mandibular plane in the Class III openbite group before surgery was greater than in the Normal group (p < 0.05), and the difference increased after surgery (p < 0.01). In the Class III openbite group, the volume of the upper airway decreased after surgery (p < 0.001) and the volume of the upper airway was smaller than the Normal group before and after surgery (p < 0.001). Conclusions: The narrow upper airway space in skeletal Class III openbite patients decreased after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This may affect the post-surgical stability.

THE ANALYSIS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CONDYLOID PROCESS WITH MANDIBULAR FOSSA AND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CONDYLAR HEAD IN T.M.J. TROUBLE PATIENTS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에 있어서 관절돌기의 위치적 관계 및 그 형태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 Park Chang Si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11 no.1
    • /
    • pp.7-22
    • /
    • 1981
  • A morphological and positional classification was undertaken in the transcranial and transorbital views of 174 traceable films which had been selected from those of 274 patients and previous tracing was performed. For the positional analysis, the author adopted the method which is not influenced by TMJ remodelling, and for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made progress the general method by adding indefinite type to four basic types. The aims of this sutudy consists in performing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condylar head and in its morphological and positional variation in symptomatic patients. I want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Prof. Park, Tae W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resting me in this field researches and for his never failing interests. I would lide to thank Prof. Ahn, Hyung Kyu and Prof. You, Dong Soo for helpful discussion and critical readings. The author is also indebted to Prof. Fuchihate Hajime in Osaka University, Prof. Uemura, Shusaburo and the late Dr. Nishihara, Heihachi for fruitful discussion and encourg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