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식환자

Search Result 90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according tn the Stages of Autologous and Allogene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자가 및 동종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이식단계에 따른 불안과 우울)

  • Choi, So-Eun;Lee, So-Young;Park, Hae-Ryung;Park, Ho-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8 no.2
    • /
    • pp.190-199
    • /
    • 2005
  • Purpos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autologous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t would be provide the basis for effective psycho-emotional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We report on 52 patients, including 19 with autologous HSCT, and 33 with allogeneic HSCT from August 2002 to August 2003, at a university hospital.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Jung's Depression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at admission time, the day before HSCT, and discharge tim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program that include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all stages of HSCT, the level of anxiety of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HS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utologous HSCT (P=0.047). The depression at the day before HS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admission. The major variable affecting anxiety in autologous HSCT was depression. Specially depression and gen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anxiety in allogeneic HSCT at admission time (61%). Experience of relapse and gen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anxiety in allogeneic HSCT at discharge time (36%).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the anxiety and depression be researched during the stages of allogeneic HSCT, specifically in the day before HS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sycho-emotional nurs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HSCT.

  • PDF

Lung Transplantation in ABO Compatible but Nonidentical Patients (이형 혈액형에서 시행한 폐이식술)

  • 류송현;김해균;이두연;백효채;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1
    • /
    • pp.94-96
    • /
    • 2001
  • 말기 폐기종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폐이식술은 최근 5년 생존율의 향상으로 점점 확대외어 가는 추세이다. 또한 이식폐의 부족으로 일측 폐이식술이나 이형 혈액형에서의 폐이식술의 시행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형 혈액형에서의 폐이식은 술후 적절한 면역 억제제의 투여로 동형 혈액형에서의 폐이식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저자들은 말기 폐기종으로 호흡 곤란이 심해져 가는 35세 A형 여자 환자에 O형 남자 환자의 좌측 폐를 이식하였다. 술후 면역 억제를 위해 3제 치료(싸이클로스포린, 아자씨오프린, 프레드니졸론)를 실행하였고 수술 중에 항CD3항체(OKT3)를 1회 투여하여 이식 거부 반응을 억제할 수 있었다. 환자는 술후 특별한 문제 없이 18일째에 퇴원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Tacrolimus versus Cyclosporine on Acute Graft Rejection Episode and Acute Renal Dysfunction Following Pancreas Transplantation (췌장이식환자에서 Tacrolimus와 Cyclosporine이 급성거부반응과 신장장애에 미치는 영향)

  • Oh, Jung Mi;Klassen, David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9 no.2
    • /
    • pp.81-87
    • /
    • 1999
  • 췌장이식의 성공률은 지난 10년 동안 상당히 상승되었다. International Pancreas Transplant Registry에 따르면 1995년 이래 미국에서만 매년 1,000건 이상의 췌장이식이 실시되고 있다. 장기이식후 나타나는 급성 거부반응은 이식 후 6개월 이내에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난다. 췌장이식환자에서는 신장을 이식한 것보다 두배나 높은 거부반응을 나타나며 이로 인한 입원율의 증가 항림프제(antilyinphocyte) 사용과 감염의 증가로 이환율이 높다. 더구나 Cyclosporine (CsA)을 기초로 한 면역억제제요법의 사용은 높은 급성 거부반응률(acute graft rejection)을 초래하여 이식한 장기의 조직손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면역억제제인 Tacrolimus (FK506)의 사용은 이식환자에서의 거부반응을 감소시켜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crolimus는 neutral macrolide로 cyclic peptide인 CsA과는 화학 구조는 매우 다르나 비슷한 면역억제 효과를 보인다. 하지만 Tacrolimus의 사용시 신경독성, 신독성, 특히 고혈당증의 발생률이 높아 일부 이식센터에서는 장기 이식 후에 사용하기를 꺼리기도 한다. 하지만 여러 연구논문에서 간과 신장 이식 후 급성 거부반응 예방에 Tacrolimus는 CsA에 비해 이점이 있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췌장이식 후 Tacrolimus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4-1996년 사이에 Tacrolimus 또는 CsA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요법을 투여 받은 췌장이식환자 10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Tacrolimus (n=54)와 CsA(n=57)의 급성 거부반응 예방 효과와 신부전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는 항림프구 약물, Azathioprine, Prednisone을 이식 후 면역억제제로 투여 받았다 기준선으로부터 $20\%$ 이상의 혈청 creatinine의 상승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신부전으로 정의하였고 신장생검법으로 거부반응을 진단하였다 Matched-pair analysis에 따르면 췌장이식환자의 6개월 생존율은 CsA군에서 $97\%$, Tacrolimus군에서 $96\%$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p=0.57), 6개월간의 이식한 췌장의 보존율은 CsA군에서는 $88\%, Tacrolimus에서 $91\%$.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 췌장이식 후 6개월 동안 Tacrolimus의 사용은 생검으로 증명되는(biopsy-proven)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빈도는 CsA보다 유의하게 낮았을 뿐만 아니라 (p<0.05) 거부반응 증상의 심각도 또한 감소시켰다 (p=0.03). 급성거부반응 발생빈도의 감소로 Tacrolimus군에서 antilymphocyte 치료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01). CsA군에서 Tacrolimus보다 신부전의 발생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췌장이식후의 최적의 면역억제요법의 결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Tacrolimus와 CsA을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clinical study on the alveolar crest height after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 in the cleft alveolus patients : Preliminary Study (치조 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성 골이식술 후의 치조정 높이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 예비적 연구)

  • Choi, Jin-Young;Kim, Myung-Jin;Kim, Su-Gon;Eune, Jung-Ju;Choung, Pill-Hoo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3 no.1
    • /
    • pp.1-9
    • /
    • 2000
  • 목적 : 치조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와 수술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를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각각 측정함으로써 치조정의 높이가 과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지와 치조골 이식술의 성공률이 치조열의 너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환자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자가장골 채취 후 분쇄피질망사골 형태 또는 block 피질망상골 형태로 이식한 편측성 치조열을 가진 환자 중 최소한 6개월이 경과한 환자 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두 술자에 의해 시술되었다.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의 높이와 치조열의 너비 및 수술후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은 치과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치조열의 너비는 모델이나 환자의 골결손부 근심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리고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을 1995년 Long이 제시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술전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치조열의 너비는 평균 6.9mm(1.9mm-12.1mm) 였다. 근심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중절치가 52개(92.9%), 측절치가 4개(7.1%)였고, 49명의 환자에서 완전맹출을, 6명의 환자에서 부분맹출(측절치 2개, 중절치 4개)을 보였다. 원심측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측절치가 25개(44.6%), 견치가 29개(51.8%), 소구치가 2개(3.6%)였고, 완전 맹출이 32.1%, 부분 맹출이 57.2%, 미맹출이 10.7%로서 완전히 맹출하기 전에 골이식한 경우가 67.9%였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bony bridge가 나타났고, 절흔이 인접치 아래로 연장되지 않았으며, 치조골 이식술 후 oronasal fistula를 보인 환자는 한 명도 없었으므로 성공률은 100%였다. 술후 근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근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79%(평균), 원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원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87%(평균)로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치조정의 높이는 골결손부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근심측에서보다 원심측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치조열의 너비와 절흔의 양, 치조정의 높이 및 치조골이식 성공률과는 유의성 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 PDF

THE BONE GRAFT DECLINED. IS THERE STILL A ROLE FOR IMPLANT SURGERY? (골 이식술이 환자에 의해 거부되는 경우 : 임프란트 술식이 여전히 치료방법으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에 관한 고찰)

  • Yang, Yun-Seok;Worthington, Philip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9 no.4
    • /
    • pp.362-366
    • /
    • 1997
  • 골의 퇴축 혹은 수술시의 절제로 인해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엔 불충분한 악골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골 이식술의 필요성은 오랫동안 논의 되어왔다. 골이식술은 악골의 전체 두께(full thickness)결손시 연결성(continuity)의 수복, 혹은 표면(surface)에서의 골상실시 보강(augmentation)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 따라서 술자들은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불충분한 악골을 가진 환자에 있어 골 이식술에 권유하게된다. 그러나, 골 이식술은 donor site 의 morbidity혹은 수술에 대한 두려운, 추가되는 비용에 대한 염려등으로 인해 환자에 의해 거부될 때가 종종 있다. 악골 결손으로 인해 골이식없이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도 임플란트 술식이 여전히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다음의 두가지 증례를 통해 저자등은 골이식술 없이는 임플란트르 식립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도 임플란트 술식이 여전히 치료방법으로서 의미가 있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거골의 골연골 병변)

  • Lee, K.B.
    •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Sports Medicine
    • /
    • v.6 no.1
    • /
    • pp.19-26
    • /
    • 2007
  • 최근에 스포츠 손상이 증가하고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가 발전하면서 조기에 더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추세이다. 또한 방사선 소견에 비하여 관절경하에서는 연골이 불안정하거나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존의 수술 적응증보다는 좀 더 광범위하게 관절경 검사 및 수술적 치료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치료 방법을 하면 $1.5cm^2$ 이하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변연 절제술, 연골하 천공, 연마, 미세 골절술, 소파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50세 이상의 $3cm^2$ 이하의 병변을 가진 환자 중 mosaicplasty와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적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시도해볼 수 있다. $1.5\sim3cm^2$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 그전의 관절경적 치료로 실패한 경우에는 자가골 연골 이식 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해야 한다. $3cm^2$ 이상의 병변을 가진 50세 이하의 환자는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이나 동종 골 연골 이식을 이용하여 치료하며, 50세 이상의 환자는 관절 고정술이나 족근 관절 인공치환술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Free Jejunal Transfer for Benign and Malignant Esophageal Disease -7 Cases Reports (유리 공장이식 술을 이용한 식도 질환의 외과적 치료)

  • 신호승;옥창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12
    • /
    • pp.1392-1397
    • /
    • 1996
  • Over the past two years the free jejunal transfer have been used in 7 consecutive patients to restore alimentary tract continuity artier the resection of esophagus. Six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one had esophageal stricture . The patients underwent partial esophagectomy with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or mediastinal Iymph node dissection. The microvascular anastomosis was performed to the neck vessels in 4 patients and to the in ercostal vessels in 3 patient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graft necrosis in one patient, and a temporary anastomotic leakage with spontaneous closure in one patient. Reconstruction of the esophagus was successful in 6 of 7 patients. We emphasize that esophagectomy followed by transplantation of a free jejunal transfer is suitable for esophageal carcinoma or intractable esophageal stricture, and involvement of the midesophagus is not a contraindication to the use of the free Jejunal transfer.

  • PDF

Successful Bilateral Lung Retransplantation in a Patient with Primary Graft Failure Following a Single Lung Transplantation (일측 폐 이식 후 발생한 이식편 부전으로 양측 폐 재이식을 시행한 1예 보고)

  • Hwang Jung-Joo;Joung Eun-Kyu;Kim Jae-Ho;Lee Doo-Yun;Paik Hyo-Ch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9 no.6 s.263
    • /
    • pp.490-494
    • /
    • 2006
  • Lung transplantation is the choice of treatment for selected patients with end-stage pulmonary disease. However, retransplantation of the lung due to primary graft failure carries a high risk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is a case of a 52 year old male with emphysema who continuously needed a ventilator care and a tracheostomy. He underwent a left single lung transplantation but were not able to wean from the ventilator due to primary graft failure, and therefore we decided to do a retransplantation. Bilateral sequential single lung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cardiopulmonary bypass. The patient recovered quite well and was discharged and fully active with his work. Retransplantation although it carries a high risk, is a very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imary graft failure.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 Park, Tae-Jun;Kho, Hong-Seo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1
    • /
    • pp.1-9
    • /
    • 2009
  • Liver transplantation is definitive treatment for the patients suffering from hepatitis, severe liver cirrhosis and liver cancer. In these patients, systemic infections under immunosuppression may occur easily. Therefore, primary object of dental treatments before liver transplantation is absolute removal of oral infection source. In addition, comprehensive dental management plan is essential for success of liver transplantation.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decayed,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DMFT index), degree of oral hygiene, past medical history, need of dental treatment, completion of dental treatment need and time interval between dental visit and operation date of liver transplantation in liver transplant candidates.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Decayed teeth of the patients were 2.68, missing teeth were 4.02 and filled teeth were 3.42. DMFT index was 10.12. 2. Twenty percents of patients showed moderate to severe food impactions, 42.2% of patients had moderate to heavy calculus and 37.8% of patients displayed gingival inflammation with swelling. 3. Patients needed periodontal treatments more than any other dental treatments. Periodontal treatments were needed for 88.9% of patients, operative & endodontic treatments were 46.7% of patients and 33.3% of patients needed for oral & maxillofacial surgical treatments. 4. Among 90 patients, time interval between scheduled operation date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dental visit was within 2 weeks for 32.2% of patients, within 1 week for 20.0% of patients. In conclusion, most liver transplant candidates needed dental treatments for removal of potential infection sources. However because of insufficient interval between dental visit and operation date, they had taken liver transplantation procedures without comprehensive dental management. Development of preventive and comprehensive dental management program is mandatory for these patients. Cooperative interdisciplinary management will play a positive role for successful liver transplantation.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atients with Old Age or Non-Pregnant in Fresh ET Cycles (고령 환자와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임신에 실패한 환자에서 동결-융해 배아이식의 효용성)

  • Choi, Su Jin;Lee, Sun Hee;Song, In Ok;Koong, Mi Kyoung;Kang, Inn Soo;Jun, Jin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3 no.4
    • /
    • pp.237-243
    • /
    • 200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oor prognosis patients such as the old age (38~44 years; OA group)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achieve clinical pregnancy with the first fresh ET cycle (non-pregnant patients; NP group). Methods: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fresh and frozen-thawed ET cycles of OA and NP group.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and conventional insemination or ICSI, in vitro culture and ET were performed by routine procedures. Supernumerary embryos were frozen by the slow freezing method, and frozen embryos were thawed by the rapid thawing method. Embryo development,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 t-test and chi square test Results: Mean ages were similar between fresh ET ($40.0{\pm}1.8$ years, n=206) and frozen-thawed ET ($39.9{\pm}1.9$ years, n=69) cycles in OA group. However,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 of subsequent frozen-thawed E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ET cycles (29.0% and 11.2% vs. 16.5% and 7.0%, p<0.05). In NP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etween fresh ET ($31.2{\pm}2.3$ years, n=40) and frozen-thawed ET ($31.9{\pm}3.1$ years, n=119) in subsequent cycles.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milar between the subsequent fresh ET (42.5% and 22.6%) and the frozen-thawed ET (40.3% and 18.8%). Conclusion: In old age patients, higher pregnancy rate of frozen-thawed ET compared to fresh ET cycles in this study. It may be related that better uterine environments for implantation in frozen-thawed ET cycles than that of non-physiological hormonal condition in uterus of fresh COH cy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