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식가능성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7초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식성 테스트 평가 모델 설계 (Design of Portability Test Model for Evaluating Mobile Application on various Mobile Platform)

  • 박해윤;김성철;최병하;최종무;유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120-125
    • /
    • 2010
  •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폰의 유행에 힘입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품질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플랫폼이나 모바일폰의 제약사항에 따라 호환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다른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재사용시 해당 플랫폼이나 모바일폰의 제약사항에 따라 다시 개발해야하는 제약을 가지게 한다. 이런 재개발은 플랫폼의 특성이 플랫폼 별로 상이함에 따라 개발에 어려움을 겪게 하고,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서, 플랫폼에 비종속적인 범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이식성 척도들과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이식성 품질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을 확인하고, ISO/IEC 9126에서 정의한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모델을 참조하는 이식성 척도를 도출함으로써 기존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식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설계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타 플랫폼 이식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다른 플랫폼에서의 재개발 필요성과 노력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타 플랫폼 이식 시, 수정되어야 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이식성 테스팅 툴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전뇌 허혈성 뇌졸중 (Global Ischemia) 동물 모델 Mongolian Gerbil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효과

  • 김광수;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9-269
    • /
    • 2004
  • 배아줄기 세포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수단으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풍 동물모델에서 수중미로 학습을 이용하여 중풍 치료제로서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인지 및 기억력 장애에 대한 기능 회복의 효능을 검토하였고,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해마내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으며, 인지 및 기억증진의 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모터 구동형 인공심장의 설계 및 해석(II)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Motor-Driven Artificial Heart ( II );Analysis)

  • 천길정;한동철;민병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855-868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은 제반사항들에 대해 이론적인 해석을 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설계된 모델이 생체내에 이식될 수 있는 가능성의 여부를 판단하며 생체내에 이식 되었을 때의 성능과 생체에 미치는 영향등을 예측하고자 한다.

연어류에서의 종간교배 및 Isozyme Pattern에 관한 연구 (Isozyme Patterns at Five Loci Salmonids and Their Hybrid(I))

  • 홍경표;명정구;김병기;손진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39
    • /
    • 1992
  • 연어류의 종간교배 실험과 LDH, MDH, IDH, $\alpha$GODH, ME 등 다섯가지 isozyme에 대한 genetic marker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1차적으로 연어, 산천어 및 무지개송어를 이용하여 종간교배를 실시하였고 이들 세종의 isozyme pattern을 비교하였다. 교배실험은 종간교배, 및 allotriploid 구간 등 12구간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연어 암컷과 산천어 수컷의 교배결과가 초기성장 단계적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이들의 allotriploid도 부활율이 28.1%로 가장 우수하였다. Genetic identification을 위한 isozyme loci 분석결과 연어와 산천어는 대부분의 loci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무지개송어는 MDH-B와 IDH에서 다형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DH-B loci는 b 유전자의 출현 빈도에서 세 종간의 식별이 가능하였으며, IDH pattern을 산천어와 무지개송어의 비교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loci는 hybrid의 genotype 분석시 유용한 marker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고, 앞으로의 어류 육종에 좋은 기초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석탄회 조립물을 이용한 잘피군락 조성에 관한 연구 (Creating Eelgrass Beds Using Granulated Coal Ash)

  • 김경회;현예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14-820
    • /
    • 2016
  • 산업부산물인 석탄회을 이용하여 잘피군락의 조성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된 점토질 해저면에 석탄회 조립물을 이용하여 인공지반을 조성하고 잘피를 이식한 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식된 잘피는 조성된 지반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였으며, 이식 후 24개월 이후부터는 이식된 잘피의 개체길이의 증가 및 영양번식을 통한 잘피의 밀도의 빠른 증가가 확인 되었다. 또한 조성된 잘피군락 및 그 주변에서 저서생물 및 미세조류의 종수가 증가하여 자연잘피군락과 동일하게 연안역의 생물다양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석탄회 조립물은 잘피군락 조성에 적합한 재료임을 확인하였다.

패각을 활용한 증양식장 조성의 가능성에 대하여

  • 이토야스시;즈미다노리히코
    • 어항어장
    • /
    • 통권80호
    • /
    • pp.38-42
    • /
    • 2007
  • 아오모리현에서는 천연해초 조장 및 이식 해초 조장에 해삼 치자 착저를 기대할 수 있는 가리비 패각을 살포해 해삼 유생의 착저효과나 살포 후의 생물 모습의 변화 등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PDF

Mongolian 수란우에 한우 동결수정란의 이식 후 산자 생산 (Production of Korean Native Cow from Mongolian Cow following Transfer of Vitrified Blastocyst)

  • Kong, I.K.;Sanjjav, G.;Yang, C.J.;Cho, S.G.;Bae, I.H.;Oh, D.H.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본 연구는 체내, 체외 소 배반포기 배의 GMP vitrification 후 활력도의 비교와 한우 수정란을 몽골 소에 수정란이식 후 산자생산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수정란은 체외수정란 또는 과배란처리에 의한 체내수정란을 생산하여 GMP vitrification 방법으로 동결 후 몽고로 수송하였다. 수란우는 CIDR과 $PGF_2\alpha$ 처리에 의하여 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체내수정란생산을 위하여 7두를 과배란처리하였다. 총 64개의 배반포기를 회수하였다. ($9.1\pm2.94$per cow). 체외수정란생산은 80.1% 분할율(174/217)과 40.8% 배반포기 발달율(71/174)을 얻었다. 체내수정란(93.7%; 45/48)의 동결융해 후 생존율은 체외수정란(82.5%; 52/63)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8두의 몽골 소에 2개의 수정란을 이식하여 5두가 이식 후 60일째 임신이 확인되었으나, 그 중 1두는 240째 유산을 확인하였다. 그 중 2두의 수란우에서 2두의 산자를 275일째 생산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MP vitrification 방법은 체내, 체외수정란의 동결보존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결융해란의 몽골 소에 이식 후 한우를 생산할 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 박태준;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09
  • 간 이식은 진행성 간병변의 말기에 있는 환자나 간 대사 질환, 간암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행해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간 이식 전후에는 타 장기의 이식수술 시와 마찬가지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면역억제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되어 전신 감염에 이환되기 쉬운 상태에 처하게 된다. 간 이식수술 전 치과적 처치의 일차적 목표는 간을 이식한 후 전신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감염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술전 치과적 처치는 이식 후 감염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이식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므로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구강검진을 비롯한 계속적인 치과적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예정으로 수술 전 구강검진을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9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구강위생의 정도, 전신질환 병력과 치과치료 요구도, 치과치료 요구도의 충족 정도, 치과병원 내원일과 간이식 수술 예정일과의 시간 간격 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이식 환자들의 DT는 2.68개, MT는 4.02개, FT는 3.42개, 그리고 DMFT index는 10.12개로 나타났다. 2. 환자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중등도 이상의 식편 압입이 20.0%로 나타났고, 중등도 이상의 치석을 가진 환자는 42.2%였으며 부종을 동반한 치은염증은 37.8%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 3. 환자군에게 필요한 치과치료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주치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보존치료, 구강악안면외과적 치료의 순서였다. 4. 90명의 환자 중 간이식 예정일이 확정된 상태로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39명이었고 간이식 예정일과 치과병원에서의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을 조사한 결과 간이식 예정일과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이 2주 이하가 32.2%, 1주 이하가 20.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 이식수술 전 구강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잠재적 감염원의 제거를 위해 해결이 필요한 뚜렷한 치과치료 요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간 이식수술 전 치과치료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못하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포괄적인 치과관리를 받지 못한 채 이식수술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간 이식수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구강건진과 포괄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협진 체계가 마련된다면 잠재적인 구강 감염원의 충분한 제거로 간 이식수술의 예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배아기간세포 (ES cell)의 체외에서의 분화능;embryoid body형성과 실제 적용 (Differentiative potential of embryonic stem (ES) cells in vitro; formation of embryoid body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 박종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5
    • /
    • 1999
  • ES cell의 수립으로 특히 mouse를 중심으로 한 발생학, 유전학 연구의 획기적 발전과 형질변환 동물의 생산 및 동물 체내에서 유전자 기능의 탐구에 매우 큰 변혁을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ES cell과 embryoid body는 체외 분화능의 연구에 있어 새로운 cytokine의 발견 및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기능 해석의 강력한 연구수단으로서 폭 넓게 이용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ES cell line이 지닌 두 가지 장점, 즉, 유전자 조작의 용이함과, 거의 모든 종류의 성체 구성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성질 때문이다. 이러한 ES cell technology를 실제로 제반 학문과 특히, 인간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ES cell을 대상으로 하는 형질변환 방법의 편의성 및 효율개선이 이루어 wu야 하며, 두 번째로 인간의 유전자 및 세포 이식 치료 등을 비롯한 제반 연구에 직접 적용 가능한 ES cell line의 수립과 체외에서 목적으로 하는 분화 세포를 얻기 위한 배양조건이 확립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ES cell의 발생, 분화과정에 있어서의 분자조절기구, 세포 특이적 promotor, 유도 signal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