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식가능성

Search Result 28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한국 재래산양의 체세포 핵이식에 있어서 이종 (caprine ↔ bovine, porcine) 수핵란이 융합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이명열;홍승표;박준규;진종인;정장용;박희성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42-42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재래산양의 핵이식에 있어서 공여핵은 귀세포를, 수핵난자는 소 및 돼지의 난포란을 이용하여 핵이식을 실시하여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율과 이종간의 핵이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여핵은 재래산양의 귀세포를 채취하여 10% FBS 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으로 체외 배양을 실시하여 monolayar Confluent 형성후 0.25% Trypsin-EDTA을 처리하여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Demecolcine 처리 및 난자의 세포주기가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 백진주;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53-253
    • /
    • 2004
  • 본 연구는 소를 이용한 체세포 핵이식에 있어서 탈핵전 demecolcine 처리 및 난자의 세포주기가 재구축배의 생산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축장에서 회수한 난소로부터 채취한 미성숙란을 각 실험에 따라 성숙배양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난구세포 제거 후 일부 난자를 0.4 ㎍/㎖의 demecolcine이 함유된 배양액으로 40분간 처리하여 핵이식에 이용하였으며, 극체 미방출란 및 MI기 난자에 demecolcine을 처리하여 미성숙난자의 핵이식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The Factors Affecting Cloning Bovine Embryo (소 수정란 핵 이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임홍순;박노형;김흥률;김덕임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9 no.1
    • /
    • pp.31-41
    • /
    • 1994
  • 핵 이식 기술을 이용한 cloning 송아지 생산이 처음 보고(Prather et al., 1987) 된 후, 소 수정란 Cloning에 대한 많은 연구가 분자 생물학 등 여러 분야에서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이 기술은 빈우의 번식 능력을 향상시켜 유전적 개량량을 증대할 수 있는 번식과 육종을 위한 도구로써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최근 핵 이식 기술을 이용하여 유전적으로 우수한 빈우로부터 수천개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이들 수정란에게 생산된 송아지가 번식 축군으로 공시되어 있으므로, 그 결과가 주목되나 아직까지는 비용이 많이 들고 송아지 생산 효율이 저조하므로, 가까운 장래에 일반 양축가에 이용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이 기술의 실용화를 위하여 선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 중,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연구기관에서 수행된 활발한 연구의 결실로써, 난포란 제핵, cell fusion 과 oocyte activation의 방법등 주요 장애 요인들이 점차 극복되면서 실용화를 위한 접근이 예견되어지며, 구미의 일부 개량 기관에서는 이를 상업화 하기 위한 여건을 다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Review에서는 fllicular dynamics, 난포란의 성숙, cell cycle, 난포란 제핵, cell fusion과 oocyte activation, 이식후 핵의 remodeling과 reprogramming에 대한 현재까지의 보고된 자료를 기초로 그 기본 원리를 재고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 PDF

Application Possibility of Folding Pre-fabricated Rebar Cage in Domestic Construction Fields (접이식 철근 선조립 공법의 적용 가능성 검토에 관한 연구)

  • Jung, Young-Chul;Lee, Byung-Yun;Kim, Gwa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2
    • /
    • pp.125-132
    • /
    • 2010
  • Recently, construction companies have had difficulty in managing their business due to economic hardship domestically and abroad, decreased orders, and low profitability due to intensified competition. To address these issues, construction companies need to develop or introduce construction methods that improve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re-bar construction method that reduces the high expenses of transport by folding a pre-fabricated re-bar cage. It was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of rebar pre-fabrication would be activated and th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sites improved by adopting the folding rebar pre-fabrication method.

Development of Germline Chimera Production System by Spermatogoni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cken

  • Lee, Young-Mok;Kim, Jin-Nam;Park, Tae-Sub;Kim, Duk-Kyung;Hong, Yeong-Ho;Lim, Jeong-Mook;Han,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71-72
    • /
    • 2003
  • 최근 생쥐에서 정원세포를 이용한 생식선 카이메라의 생산이 보고되었다. 정원세포의 경우 성축으로부터 세포를 다량으로 얻기가 쉬우며, 수용체 정소 내로 이식될 경우 생식선 카이메라의 생산능력이 있어서 이전의 배아줄기 세포를 이용할 때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가 도입된 정원세포의 이식에 의한 수용체 정소 내에서의 정자형성의 보고는 정원세포를 이용한 형질전환 동물의 생산 시스템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실험에서는 닭에서 기존에 이용되어 왔던 형질전환 동물 생산 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주령별 정원세포의 분리 및 이식을 통하여 조류에서 정원세포의 이식방법을 확립하고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불임제인 부설판 등을 이용한 불임화 기술을 확립하여, 결국 조류에서의 형질전환 조류 생산 시스템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Transplanting Trees in the Forest Reserve Areas Designated for Future Development (훼손예정지의 지형 및 수목 형태를 고려한 이식목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 Lee, Soo-Dong;Choi, So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6
    • /
    • pp.535-54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trees to be transplanted in the forest reserves which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 main task in this endeavor was to access the transplantability of the trees focused on their featur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soil feature, etc. The selection of the trees for transplantation consisted of two stages. The first stage was to select trees on the basis of their indigenousness and forest successional stage. The second was to select trees on the basis of their type, D.B.H., the layers of soil, etc. At the first stage, the trees which are not indigenous or expected not to survive were eliminated from the selection list, and the result showed that approximately 5.9% (about 3,841 trees) of the trees proved to be inadequate for transplanting. At the second stage, the investigation of the trees based on the criteria of tree type, D.B.H., the layers of soil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 showed that approximately 33.7% (1,218) out of 3,613 trees turned out to adequate for transplanting however, 23.0% of the trees, which are 829 trees, were found to be impossible to transplant.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in the case of approximately 43.3%(1,566 trees) of the tre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ransplanting cost and planting cost of new tree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it is more advisable to transplant trees to preserve the ecological environment. However,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other elements to be considered, such as tree feature and soil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tree transplantation, and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the managing personnel who are in charge of the forest.

Production of Homozygous Transgenic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I. pFV4CAT Transfer by Microinjection (외래 유전자가 이식된 동형접합성 미꾸라지 생산 II. pFV4CAT이 이식된 $F_0$ 생산)

  • 남윤권;김철근;김동수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0 no.1
    • /
    • pp.33-37
    • /
    • 1997
  • construct containing reporter gene(pFV4CAT) regulated by carp $\beta$-actin promoter was microinjected into the one-cell stage egg of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was successfully expressed, possibly by the integration into the genome. Both mean hatching success and early survival of the microinject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of control groups (P>0.05). The incidence of transgene was ranged from 7 to 48% based on the PCR and/or Southern blot analyses with the DNA prepared from fin or blood tissue.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expression of the pFV4CAT gene, measured by in situ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peroxidase-conjugated anti-CAT antibody, were variable among the experimental individu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p $\beta$-actin promoter is effective to express other transgene in mud loach, such that this promoter can be useful in the generation of valuable transgenic mud loach.

  • PDF

Possibility of Embryo Collection by Repeatable Superovulation in Hanwoo : Case Report (한우에서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수정란 채란 가능성 : 사례보고)

  • 공일근;정세환;손병훈;이정우;정수룡;오인석;정경일;황금영;배인휴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7 no.1
    • /
    • pp.1-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ntinued embryo collection by repeatable superovulation from a Hanwoo elite cow, who was already estimated to an elite cow by DNA analysis. The donor cow was superovulated with Folltropin-V and PG $F_2$$\alpha$ combination method for 5 times, 2 months interval during 10 months. The estrus cows were inseminated with frozen semen 3 times 12 hrs interval. Embryo collection from superovulated cows was flushed non-surgical method at 7 to 8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The superovulated cow was collected from 1 to 5$^{th}$ times as total (14, 4, 10, 6, 9 embryos; total 30 embryos) and transferable embryos (7, 4, 10, 3, 6; Mean$\pm$S.E : 6.0$\pm$2.7 embryos). Seventeen recipients were transferred 24 embryos and then detected to pregnant 10 recipients after embryo transfer (58.8%; 10/17 recipi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sibility of repeatable superovulation from elite donor cow for embryo transfer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although the replicated number was not enough.

Bone reaction to bovine hydroxyapatite grafted in the mandibular defects of beagle dogs. (성견의 하악 골 결손부에 이식한 생체 유래 골 이식재 (OCS-B)에 대한 치조골의 반응)

  • Byun, Yu-Kyung;Park, Jun-Beom;Kim, Tea-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Lee, Hye-Ja;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39-49
    • /
    • 2006
  • 1. 목 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견의 하악 골 결손부에 이식한 생체 유래 골 이식재에 대한 치조골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2. 연구방법 및 재료 생후 1년 이상 된 성견 4마리의 하악 제2소구치 및 제 4 소구치를 발거하고 발치와에 금원심 폭경 8mm, 협설 폭경 5mm, 치조정에서의 깊이 6mm인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4주간의 자연 치유 후 판막을 형성하여 결손부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손부 크기가 일정하도록 수정한 후 '이식재+차폐막'군에는 OCS-B을 이식하고 Bio-gide을 차단막으로 사용한 후 봉합하고 '이식재군'은 OCS-B 이식 후 차폐막 없이 봉합하였으며 '비이식'군은 아무런 처치없이 일차봉합하였다. 수술 4, 6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 실험부위를 적출하고 비탈회 연마 표본을 제작하여 골 치유 양성을 조직학적 및 조직계측학적으로 관찰하였다. 3. 연구결과 이식재 비이식군 및 이식군 모돼서 별다른 부작용없이 잘 치유되었다. 세 실험군 모두에서 술후 4주에 비교하여 술 후 6주에서의 결손부 산생골 형성량이 증가하였다. 술후 4주 소견에서 비이식군은 결손부 주변부위에서 골이 생성되어 나오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식군은 이식재 주변으로 골침착 시작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술후 6주 소견에서 비이식군은 결손부 경계부로부터의 지속적인 골 생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식군은 이식재 주변으로 침착된 골의 양이 많아지고 신생골이 가교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결 론 차폐막 유무와 상관없이 OCS-B는 염증반응을 전혀 일으키지 않았으며 우수한 골 전도성을 보였다. 또한 결손부의 형태를 잘 유지하여 골재생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OCS-B가 골이식재로서의 필요조건을 갖추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보다 장기적인 관찰에서 OCS-B의 흡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