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시성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위암 환자에 발생한 동시성과 이시성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유영선;최은서;김성수;민영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256-261
    • /
    • 2009
  • 목적: 진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위암 환자에서 동시성과 이시성암이 발견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에서 발견된 동시성과 이시성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048명 위암 환자 중 38명(3.6%)에서 동시성과 이시성암이 있었다. 38명 중 16명(42.1%)은 동시성암이었고 22명(57.9%)은 이시성암이었다. 위암과 이차성 원발암 간의 평균 시간간격은 $27.08{\pm}31.25$개월이었다. 가장 흔한 중복암은 폐암(8/38, 21.1%)과 대장암(8/38, 21.1%)이었다. 27명의 환자가 위암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였으며 이 중 5명(18.5%)은 동시성암, 22명(81.5%)은 이시성암이었다. 평균 생존 기간은 49.8개월이었으며 동시성암의 경우는 24.6개월 이시성암의 경우는 68.1개월이었고 이들의 3년 생존율은 동시성암, 이시성암 각각 33.3%, 81.1%였다. 결론: 위암에서의 이차성 원발암 진단에 대한 진단에 있어 충분한 수술 전 검사를 통한 동시성암의 발견과 지속적인 추적검사를 통한 이시성암의 발견을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PDF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 후 이시성 재발의 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체계적 문헌분석 및 메타분석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nd Risks of Metachronous Recurrence after Endoscopic Resection of Gastric Ade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지현;남수연;천재영;윤영훈;박효진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91-96
    • /
    • 2020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멸이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이시성 재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잘 정의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헬리코박터 박멸이 이시성 재발 예방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Ovid-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KoreaMed 및 KMBAS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체계적인 문헌 검토 및 메타분석이 수행되었다. 헬리코박터 박멸에 따른 이시성 위병변에 대한 통합 위험비(Pooled risk ratio)를 계산하고 이질성도 측정하였다. 5개의 적격한 연구가 최종적으로 체계적인 검토에서 확인되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헬리코박터 박멸은 전체적으로 이시성 재발을 55% 낮출 수 있었다(RR=0.55; 95 % CI 0.34-0.92). 체계적인 문헌 검토 및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헬리코박터 박멸은 위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후 이시성 재발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다발성 원발성 폐암 수술 치험 -2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for Multiple Primary Lung Cancer -Report of 2 cases-)

  • 이정은;장인석;이상호;최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36-438
    • /
    • 2003
  • 다발성 원발성 폐암은 동시성 원발성 페암과 이시성 원발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는데 두 가지 경우 모두 드물게 발견되는 폐암의 일종이다. 본원에서는 최근 동시성 원발성 폐암과 이시성 원발성 폐암을 각각 1예씩 수술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퇴부 지방육종 수술 후 발생한 반대측 근위 경골의 유잉육종/원시 신경 외배엽 세포종 (Double Primary Presentation of Liposarcoma and Ewing's Sarcoma: A Case Report)

  • 박형원;정성택;나선윤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5-99
    • /
    • 2011
  • 악성 연부조직 종양 수술 후 이시성(metachronous)으로 발생하는 악성 골졸양은 매우 드물다. 이시성 종양은 두 경부 또는 복부에 주로 발생하며, 사지에 발생하는 경우는 더욱더 드물다. 저자들은 48세 남자환자에서 근위 대퇴부 악성 지방 육종의 광범위 변연 절제술 후 발생한 근위 경골 유잉육종/원시 신경 외배엽 세포종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육종 환자들에게서는 이와 같이 이차적으로 악성 종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시 기간 동안 잠복 종양(occult tumor)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겠다.

두개내 경막 동정맥루 색전술 이후 발생한 이시성 두개내 경막 동정맥루: 증례 보고 (Occurrence of Metachronous Intracranial Dural Arteriovenous Fistula after Embolization of Intracranial Dural Arteriovenous Fistula: A Case Report)

  • 강희민;박성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89-497
    • /
    • 2023
  • 두개내 경막 동정맥루는 모든 두개내 혈관 기형의 약 10%-15%를 차지하는 비정상적인 동정맥 단락이다. 대부분의 두개내 경막동정맥루는 단독형이며, 다른 부위에 여러 경막동정맥루가 있는 경우는 드물다. 여러 경막동정맥루에 대한 대부분의 증례 보고에서는 동기형 동정맥루를 기술하였고, 이시성 경막동정맥루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적다. 이에 저자들은 경막 동정맥루의 색전술 후 추적 영상에서 이시성 경막 동정맥루가 발견된 75세 여성의 증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동시성 및 이시성 간전이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의 차이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Difference in Prognosis in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Hepatic Metastases of Gastric Cancer)

  • 김종대;하태경;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128-135
    • /
    • 2009
  • 목적: 동시성 및 이시성 간전이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 치료 방법에 따른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예서 치료받은 위암 환자 중 간전이가 발견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및 치료 방법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두 군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에서 림프관 침윤 여부(P=0.041)와 혈관 침윤 여부(P=0.036)가 동시성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전체 간전이 위암환자의 1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38.9%, 9.2개월이며 동시성 간전이군에서는 30.9%. 9.2개월이었고 이시성 간전이군에서는 44.5%, 9.7개월로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36). 치료 방법을 수술 혹은 영상의학적 중재술 등의 국소적 치료와 전신적 항암화학치료를 병행한 경우, 전신적 항암화학치료만 받은 경우, 치료 받지 않은 경우 등 세 가지로 나누었을 때 동시성 간전이군과 이시성 간전이군 사이에 치료 방법의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국소적 치료를 전신적 치료와 병행하였을 경우 생존율이 높았다(P<0.001). 결론: 간전이 위암에 있어서 간전이 병소의 발생 시점에 따른 예후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간전이 발견 시점과 관계 없이 적응 예가 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나 영상의학적 중재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환자의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겠다.

  • PDF

침윤성 유방암의 이시성 반대쪽 액와 림프절 전이: 영상 소견을 포함한 증례 보고 (Metachronous Contralateral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from Invasive Breast Carcinoma: A Case Report with Imaging Findings)

  • 김지은;정현경;김우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39-245
    • /
    • 2022
  • 이시성 반대쪽 액와 림프절 전이는 유방암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현재 원격 전이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이것이 국소 질환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완치를 위한 치료를 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저자들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지 22개월 후에 반대쪽 액와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67세 여성의 증례를 영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액와 림프절 절제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수술 6개월 후 추적검사에서 종양 재발이나 전이의 증거는 없었다.

간전이 위암환자의 치료 결과 및 예후 (Prognosis and Treatment Outcomes of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Hepatic Metastasis)

  • 김은미;김세원;김상운;이경희;현명수;박원규;장재천;송선교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4호
    • /
    • pp.237-243
    • /
    • 2006
  • 목적: 간전이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생존 분석을 통해 예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내과 및 외과에 내원한 위암환자 중 간전이가 발견된 85예(동시성 62예, 이시성 2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위절제술, 간전이병소 절제술 및 항암화학요법 등 치료 관련 인자들에 대해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간전이 위암환자들의 중앙생존기간은 11개월(동시성 11개월, 이시성 17개월)이었다. 동시성 간전이군의 경우 위절제율은 24.1%, 간전이병소 절제율은 16.1%였다. 간외 전이 동반율은 23.5%였고 생존기간에 차이가 있었다(P<0.05). 간전이 병소 절제 및 위절제군, 위절제군, 비절제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60개월 이상, 10개월 및 9개월이었다(Fig. 1, P<0.05). 이시성 간전이군의 경우 위암절제 후 무병생존기간의 중앙치는 8개월이었으며 초기병기와 간전이 빈도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동시성 간전이군에서는 단변량 분석 결과 간외 전이, 위절제술, 간전이 병소 절제술, 외과적 절제 형태 및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이 유의하였고 다변량 분석 결과 간전이병소 절제술,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및 간외 전이가 독립적 예후인자였고, 이시성 간전이군에서는 간외 전이,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및 원발암 세포의 분화도가 유의하였고 간외 전이가 독립적 예후인자였다. 결론: 간전이 위암환자에서 예후는 간전이 병소의 절제, 원발 병소의 절제, 간외 전이 유무 및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여부에 의해 결정되므로 치료에 있어 간외 전이가 없는 경우 보다 적극적인 절제 노력과 항암화학요법이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위전절제술 후 문합부에 발생된 암에 대한 수술 (Surgery for Cancer Arising at an Anastomotic Site after Radical Total Gastrctomy)

  • 윤호영;이상훈;김충배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74-179
    • /
    • 2007
  • 진단의 발달과 치료의 발전으로 위암의 치료 성적은 괄목한 성장이 이루어졌으나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암의 발생, 즉 문합부 재발암과 전이 그리고 이시성암이 발생되었을때 외과적 치료에 대한 보고와 결과는 많지 않으며, 특히 문합부에만 국소적으로 발생된 암은 흔치 않다.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문합부에만 국소적으로 발생된 암에 대하여 적극적인 수술을 함으로써 생존이 연장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연구자들은 위선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술 후 발생한 문합부 국소재발 1예, 이시성 편평상피암 1예, 림프종 1예에 대하여 원격전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수술을 시행하여 모두 좋은 결과를 얻어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에서 다발성으로 나타난 저등급 골육종 - 1예 보고 - (Multiple Low-grade Osteosarcoma in Children - A Case Report -)

  • 김태승;박용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7
    • /
    • 2009
  • 저등급 골육종은 전형적 골육종에 비해 발생 빈도가 훨씬 드물고, 호발 연령도 전형적 골육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본 교실에서는 12세 여아에서 좌측 경골, 대퇴골 경부 및 간부, 그리고 좌측 비구에 발생한 다발성 저급성 골육종 1예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는 예외적으로 소아에 발생하였고, 그리고 다발성 소견을 나타내어 동시성(synchronous) 혹은 이시성(metachronous) 전이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더욱이 저급성 골육종은 일반적으로 느린 성장 과정을 보이기 때문에, 본 증례에서 보이는 전이의 양상에 대해서는 희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