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슬

Search Result 742,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Research on black ice detection using IoT sensors - Building a demonstration infrastructure - (IoT 센서를 이용한 블랙아이스 탐지에 관한 연구 - 실증 인프라 구축 -)

  • Min Woo Son;Byun Hyun Lee;Byung Si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3-263
    • /
    • 2023
  • 블랙아이스는 눈에 쉽게 구분되지 않아 많은 교통사고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의 서리/결빙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122명, 적설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40명으로, 블랙아이스는 적설에 비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과거의 다양한 연구에서 블랙아이스 생성조건을 기압과 한기 축적등의 조건에서 예측해왔지만, 이러한 기상학적 모델은 봄철 해빙기의 일교차로 인한 눈의 해동과 재냉각과 같은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의 블랙아이스 탐지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이미지 판별과 딥러닝모델(YOLO 등)을 기반으로 한 센서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충분한 컴퓨팅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블랙아이스 탐지까지 걸리는 속도가 빠르지 못한 편으로, 블랙아이스 초입 구간에서의 제동에 취약하다는 잠재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블랙아이스의 주 원인인 서리나 어는비가 발생하기 위해서 주변 공기가 이슬점 온도 이하, 노면온도와 이슬점이 어는점보다 낮아야 함을 이용, IoT 센서 모듈을 통해 Magnus 방정식으로 계산한 이슬점 온도와 노면 온도를 사용하는 이동식 블랙아이스 추정 장치를 제시한다. 본 장치는 대기압, 온도, 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와 노면 온도를 통한 서리발생 가능성과 대기 온도, 노면 온도를 통해 어는비의 발생환경 여부를 계산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블랙아이스 추정과 기상정보 생산을 동시에 가능케 하며, 추정 결과를 통합 수집서버에 전송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전방 블랙아이스 위험 구간을 조기에 전달하는 시스템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운전 시 결빙 미끄러짐 사고를 저감하고자 한다.

  • PDF

Management of Fast Putting Green by Using Green Speed Expectation Models (그린 스피드 예측 모형을 통한 빠른 그린 관리 방법)

  • Jang, You-Bee;Shim, Kyung-Ku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0 no.1
    • /
    • pp.11-23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low types of green speed expectation models for fast putting green management by changing mowing height($4.0{\sim}2.5$ mm) and timing of rolling, dew removal and dew removal+rolling. Ball roll distance data were taken from the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Penncross') practice green of east course at the Lakeside C.C. in October 18, 2001 and May 25, 2002. Data were subjected to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mong four types of green speed expectation models, the best multiple-regression equation for fast green management was as follows; $Y_4=4.171-0.225{\cdot}X_1-0.038{\cdot}X_2$ (where, $Y_4$ : green speed(m) after single dew removal+single rolling, $X_1$ : mowing height($4.0{\sim}2.5,\;X_2$ : passage of time ($0{\sim}8$ h.)). The equation[single dew removal by using sponge roller $\rightarrow$ single mowing at 3.0 mm height or less $\rightarrow$ single rolling] explained to provide fast green over 3.2 m (Stimpmeter readings required for USGA championship play) until the end of first round. Therefore, this cultural practice system was believed to provide fast putting green condition for professional golf tournament

Comparison with Acid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Dew at Three Forest Stands(Mt. Nam in Seoul; Shingal, Yongin; Hangdong, Pyungchang) (3개 산림지역의 이슬의 산성도 및 화학적 특성의 비교(서울, 용인, 평창 지역을 중심으로))

  • Kim Young-Chai;Chung Dong-Jun;Kim Hong-Ryul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 no.2
    • /
    • pp.31-4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pH and chemical properties of dew in three forest stands(Mt. Nam-Seoul, Shingal-Yongin, Hangdong-Pyungchang)from May, 1998 to September, 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cidity of dew in Seoul, which has a metropolitan environment, measured pH5.57 $\pm$ 0.41. The highest acidity was measured in Yongin(pH5.50 $\pm$ 0.96), while pH in Pyungchang was 6.36 $\pm$ 0.57. Ion concentration in Pyungchang was lower than in other two regions, with a similar tendency of seasonal cation changes to those in Seoul and Yongin. Anion changes in Pyungchang, however, was inconsistent with those in other two regions. Although analys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verall ion concentrations and pH of dew,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me cations and anions in Seoul and Yon gin, leading a suggestion that those ions were coupled from one source.

  • PDF

Marketing Strategy of Cheo-um-cheo-rum (세계 최초 알칼리수 소주, <처음처럼> - 웰빙 소주를 통한 시장 분할 -)

  • Park, Heungsoo;Kim, Donghoon;Lee, Dong-Ji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9 no.3
    • /
    • pp.209-232
    • /
    • 2007
  • 두산은 2001년에 <산> 소주 제품으로 소주시장에 진입하였지만, 2002년도에 6.7%였던 <산> 소주의 시장 점유율이 2004년도 들어서서 5.4% 로 하락하였고, 선호도 역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어, 원인분석과 함께 새로운 소주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당시 두산은 시장 선도 브랜드인 <참이슬>의 충성 고객층은 감소하면서 비호감 고객층이 증가하는 등 소주에 대한 고객의 욕구가 변화하고 있다는 시장조사 결과에서 성공의 기회를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감소하였으나 소주의 소비량은 연간 70병으로 일정한 소비를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에, 소주시장의 매력도는 아직 충분히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두산이 목표로 삼을 표적시장 선정을 위한 시장조사를 대대적으로 시작하였는데, 소주 음용 조사에서 30~40대의 남성들은 소비량이 감소하는 반면 여성들의 소주 소비량은 전 연령대에 걸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두산은 새로운 소주시장에 대한 신제품 개발의 기회를 발견하고,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소주 트렌드의 변화와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웰빙'을 신제품의 주요가치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시장 세분화 조사를 통해 다량음용자(heavy user)가 많은 품질 중시 시장과 도수 및 숙취 중시 시장에 진입하기로 한다. 그 다음 소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족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들을 탐색한다. 그 결과 '목 넘김이 부드럽고, 몸의 산성화를 중화시키며, 숙취 해소'에 뛰어난 '알칼리수'를 신제품의 주원료로 사용한 <처음처럼>을 개발하게 된다. 소주의 주요 속성별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속성에서 <처음처럼>이 경쟁사 제품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두산은 <처음처럼>을 시장에 출시하게 되었다. <처음처럼>은 24~35세를 목표 고객으로 설정하고, 유흥업소가 밀집한 중심상권을 집중적으로 공략하였다. 이를 위해 저가 정책을 실시하여 유통업체의 마진을 높였으며, 다양한 광고, 촉진 전략을 통해서 소비자 인지도를 향상시켰다. 그 결과 수도권 및 전국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이 증가하였으며, 소비자들에게 <참이슬>과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게 되었다. <처음처럼>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알칼리수 사용, 감성적 브랜드명 채택,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구사, 그리고 조직원의 강력한 성공 의지 등을 들 수 있다. 소주 시장의 독보적 존재였던 <참이슬>과의 경쟁에서 이루어진 결과라는 점에서 <처음처럼>의 사례는 많은 기업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중성'이나 '친근감'같은 이미지가 <참이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참이슬 fresh>의 출시로 인해 목표 고객인 20대가 이탈되는 문제는 앞으로 <처음처럼>이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 <처음처럼>은 무엇보다 '웰빙 소주'로서의 이미지를 확고히 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