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상감각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34초

뇌졸증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방요순;김희영;이문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02-210
    • /
    • 2009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상지기능의 관련 요인과 각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24점 이상인 10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지기능은 성별, 우세손, 뇌손상 원인, 뇌반구 손상부위, 신체마비 부위, 언어장애 유무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아탈구 유무는 상지기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상지기능은 상지근력(Manual Muscle Testing), 고유수용성감각(Proprioception), 근 긴장도 (Modified Ashworth Scale), 장악력(Grip strength), 통증(Visual Analog Scale)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위의 변수를 모두 포함하여 분석하면 77.6%의 상지기능 설명력을 보였고 이 중 상지근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재활을 위해서는 특히 상지근력 강화와 더불어 고유수용성감각, 근 긴장도, 장악력, 통증 그리고 아탈구 유무의 관련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중재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양이 척수 전근내 감각신경 자극으로 유발된 승압반응의 생리학적 특성 (Properties of the Arterial Pressor Response Induced by Stimulation of the Ventral Root Afferent Fibers in the Cat)

  • 김전;서상아;성호경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1호
    • /
    • pp.129-138
    • /
    • 1989
  • 척수 전근내 구심신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양이에서 L7 척수 전근을 전기자극하여 유발되는 동맥혈압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morphine을 정맥내 혹은 직접 척수에 투여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척수에 부분적인 손상을 가하여 척수 전근의 구심정보가 척수의 어느 부위를 통하여 중추로 올라가 승압반응을 유발하는지를 결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척수전근을 C-강도, 높은 빈도로 자극하면 현저한 승압반응을 유발하였으며 낮은 빈도로 자극할 때에는 피부 혹은 근육감각신경을 자극할 때 보이는 감압반응이 유발되지 않았다. 2. 경수부위를 절단하였을 경우 승압반응이 소실되어 승압반응이 전적으로 척수 상부구조를 통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승압 반응의 척수내 상행경로는 척수의 dorsolateral funiculus에 양측성으로 존재하였다. 4. 정맥내로 주사한 morphine은 척수 전근내 구심섬유가 자극되어 유발되는 승압반응을 강화시켰으나 척수에 직접 투여한 morphine은 승압반응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척수 전근내에 존재하는 구심성 섬유들은 기능적으로 근육 감각신경 중에 승압반응을 유발하는 C-섬유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고 사료된다.

  • PDF

구형파 변조된 경두개 자기자극을 이용한 쥐의 감각피질 자극실험 (Mouse Somatosensory Cortex Stimulation Using Pulse Modula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 선석규;서태윤;허여울;조제원;권영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482-48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쥐 뇌의 감각 피질을 자극하기 위해 변조신호를 이용하여 경두개 자기자극(TMS)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TMS 시스템은 인버터, 변압기, 커패시터, 가변 인덕터, 자극 코일로 구성되어 쥐 뇌의 감각피질에 약 1.5 mT의 자기장이 생기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자극 신호는 구형파 변조되었으며, 반송 주파수는 85~91 kHz의 범위로 변화시키며, 자극 효과를 관찰하였다. 자극 결과 반송 주파수가 89 kHz 미만일 때에는 자극의 효과를 볼 수 없었고, 반송 주파수가 89 kHz 이상일 때에는 압력 자극에 반응하는 역치 값이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일본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디스플레이 개발 (Development of Tactile Display for the Blind in Japan)

  • 한성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3-70
    • /
    • 2010
  •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 : AT)의 연구개발은 보행과 정보 접근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정보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음성도서용 DAISY플레이어나, 컴퓨터 화면을 읽어 주는 스크린 리더, 저시력자용 독서확대기, 점자 및 점자정보단말기 등이 상품화되어 오늘날 많은 시각장애인들에게 필수적인 보조공학기기로 자리 잡고있다.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공학은 촉각이나 청각을 이용하여 시각 기능을 대행하기 때문에 감각대행기라고도 한다. 촉각을 이용한 감각대행기인 점자디스플레이와 점자정보단말기는 점자 형성을 위한 액츄에이터로 압전 소자로 만든 바이몰프가 사용되며, 점자셀의 점자(핀)는 바이몰프의 상하 운동에 의해 형성된다. 점자 셀은 휴대용 점자정보단말기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관건이 되며 현재는 일본의 KGS사가 세계 점자 셀(Cell)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2003년에 저가/소형 원반형 점자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세계 최초로 제품화에도 성공한 바있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점자정보단말기를 비롯한 촉각디스플레이의 연구개발에 대해 검토하고 촉각을 이용한 감각대행 제품의 하나로서, 본 연구진이 개발한 원반형 점자디스플레이에 대해 고찰한다.

드렁허리 Monopterus albus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of Asian Swamp Eel Monopterus albus)

  • 김현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0-4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드렁허리 Monopterus albus 후각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성을 실체,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하 관찰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 형태는 피부와 평행한 폐쇄형 전비공과 후비공을 나타냈다. 내부 구조는 파이프형 비강과 뒤쪽의 위아래의 두 개 비낭으로 구성되었다. 비강의 내벽은 위중층상피층의 감각상피와 중층편평상피층의 비감각상피, 미확인기관으로 이루어졌다. 감각상피는 후감각뉴런, 지지세포, 기저세포, 림프구로 구성되며, 비감각상피는 중층상피세포와 산성의 점액다당류를 보유하는 점액세포를 보유했다. 특히, 감각상피층 내 모세혈관과 풍부한 진피에서의 혈관화는 논, 농수로, 연못, 늪과 같은 진흙 하상의 정체된 수환경에 적응 된 후각기관 내 부가적인 호흡기능의 증거이며 이는 이전에 원구류 이상의 어류 분류군에서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결과로 확인된다.

신경회로망과 시각정보처리 (Neural Network an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 김욱현;이미선;손진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8권3호
    • /
    • pp.66-76
    • /
    • 1993
  • 인간이 외계로부터 정보를 입수하는 경로는 사각기관 이외에 청각, 촉각 등 여러 감각기관이 있으나, 시각기관을 통하여 입수하는 정보가 전체 정보량의 70% 이상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시각기관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정보처리 결과는 우리 인간의 의사 결정에 크나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 인간을 비롯, 고등동물의 안구와 대뇌 시각피질의 시각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시각정보처리 메카니즘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당뇨합병증: 당뇨병환자의 절반 이상이 앓는 손발이 저릿저릿 말초신경병증

  • 김선주
    • 월간당뇨
    • /
    • 통권258호
    • /
    • pp.40-41
    • /
    • 2011
  •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망막증, 신증과 더불어 3대 당뇨병 합병증에 속한다. 당뇨병환자의 약 70%에서 발병한다고 하니 당뇨인이라면 누구나 거쳐 가는 증상이라 볼 수 있다. 처음에 손발의 감각이 무뎌지거나 저린감을 호소한다. 그러나 이 증상이 당뇨병 합병증인지 모르고 혈액순환 장애라 생각해 그냥 넘어가는 환자가 많다. 그뿐 아니라 말초신경병증은 한번 발생하면 치료가 쉽지 않고 효과를 나타내는데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한 인간공학적 작업장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

  • 홍창우;김유창;김창제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07-312
    • /
    • 2002
  • 새로운 산업 구조와 변화된 사회 환경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직업병 중의 하나가 직업 성 근골격계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이다. 이 질환은 특정한 신체 부위의 반복 작업과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운 작업 자세, 강한 노동 강도, 과도한 힘, 불충분한 휴식, 추운 작업 환경, 진통 등이 원인이 되어 목,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락, 허리, 다리 등 주로 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근육과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겨 결국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근골격계질환의 만성적인 건강장해다.(중략)

  • PDF

이전고환극구흡충 유약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Tegumental ultrastructure of juvenile and adult Echinostoma cinetorchis)

  • 이순형;전호승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2호
    • /
    • pp.65-74
    • /
    • 1992
  • 이전고환극구흡충(Echinostomn cinetorchis) 유약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적으로 미라시디움을 감염시킨 또아리물달팽이 (Hippeutis cantari)에서 피낭유충을 얻어 횐쥐에 경구 감염시킨 다음 3일(유약충) 및 16일(성충)에 각각 충체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충체를 2.5% glutaraldehyde 용액에 고정하고 탈수, 댕동 건조 및 순금 표면처리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감염 3일의 유약충은 충체가 길쭉하며 복측으로 만곡되어 있었고 복흡반이 충체 전방 215 지점에 위치하였다 두관에는 모두 37∼38개의 두극이 중단없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구흡반 및 복흡반의 구순에는 각각 8개 및 5개의 제 R형 감각유두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피극들 사이에 제 해형 감각유두가 드물게 관찰되었다. 복홉반 전방의 피극들은 혀 또는 삽 모양, 후방의 피극들은 송곳 모양이었고, 후방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았다. 충체 배면의 피극들은 복면의 것들과 비슷하였으나, 후방 113 지점부터는 피극이 분포하지 않았다. 감염 16일의 성충은 나뭇잎 모양이며, 구흡반과 복홉반이 매우 근접하여 있었다. 두관, 구흡반 및 복흡반 등 피극이 분포하지 않는 곳에는 제 E형 및 제 여형 감각유두가 분포하였고, 피극이 분포하는 표피에는 제 I형 감각유두가 1∼4개씩 군(group)을 형성하고 있었다. 복흡반 전방에는 비늘 모양의 피극들이 밀생해 있었고,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배면 전방에는 피극이 드물게 분포 하나 후방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이전고환극구흡충은 두극의 수, 배열, 피극의 형태, 분포, 감각유두의 종류, 분포 등에 있어서 다른 극구흡충류와 다른 점이 많으며, 유약충에서 성충으로 발육함에 따라 피극과 원형질 돌기의 분화는 물론 감각유두의 종류, 분 포 등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항체는 43 kDa, N( 137 항체는 29 kDa에 해당되는 분획에서 항원항체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N. fowleri에 대한 7종류의 IgG., IgG3 및 IgA 단세포군 항체를 생산하였다. 그중 Nf 256 항체를 제외한 6 종류는 N. fowleri이 세포막 성분중 28 kDa-43 kDa의 항원과 반응하는 특이한 항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단세포를 항체들은 영양형을 응집시키며, 시험관 내에서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CHO 세포에 대한 N. fowleri의 세포 독성을 저하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들 중에서 최적의 기종점 통행표를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통망에서 통행자의 여행 경로 배정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현실적인(Realistic) 교통망 통행 배정 모형(Net-work Traffic Assignment Model)의 선택은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교통망에 교통체증(Traffic Conges-tion)이 심할 경우 교통망 통행자 평형조건(Network Traffic Equilibrium Condition)을 고려하기 위한 특별한 처리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Whllumsen(Hall, Van Vliet and Willumsen, 1980)에 의하여 개발된 ME2(Maximum Entropy Matrix Estimation)기법에서 반복식 추정방법(Sequential Estimation Method)을 사용할 경우 Wardrop의 평형조건을 만족하는 기종점 통행표를 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엔트로피 극대화문제와 교통망 평형 조건(Entropy Maximisation and Network Equilibrium Condition)의 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수식모형과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즘(Simultaneous Solution Algorithm)을 제의하였다. 제의된 수식모형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