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산소음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축소형 UH-1H 로터에서의 광역소음과 이산소음의 비교 (Comparison of Discrete Noise with Broadband Noise from Small-scaled UH-1H Rotor)

  • 유기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2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UH-1H 헬리콥터의 축소 로터에 대한 두께소음과 하중소음, 그리고 와류흘림에 의한 광역소음을 각각 수치계산을 통해 얻어내고, 그 크기를 비교하였다. 로터의 후류형상은 Kocurek과 Tangler의 지정후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팁 마하수 $M_{T}$의 범위는 0.2, 0.4, 0.8로 나누어서 유동장 계산과 그에 따른 소음해석을 시도하였다. 팁 마흐 수 $M_{T}$ = 0.8에서 와류 흘림에 의한 광역 소음은 가청주파수 대역 및 A-가중함수를 고려하였을 때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특성을 갖는 두께소음이나 하중소음에 비해 작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역소음은 가청주파수를 벗어난 초음파 영역에서 대부분의 음압을 방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_{T}$를 0.4 이하로 하였을 때에는 광역소음이 저주파수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이산소음에 비해 더 소음레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속 회전하는 헬리콥터 로터의 경우에는 광역소음의 고려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비정상 점성 유동 해석에 의한 부등피치 횡류홴의 이산소음 주파수 변조 특성 예측 (Prediction of Frequency Modulation of Discrete Noise for Random Pitch Cross-Flow Fans by Unsteady Viscous Flow Computations)

  • 조용;문영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58-664
    • /
    • 2002
  • Unsteady flow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blade tonal noise of a cross-flow fan are predicted by a computational method. The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are time-accurately solved for obtaining the pressure fluctuations between the rotating blades and the stabilizer, and sound pressure is predicted using Curie's equation. The computed fan performance is favorably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also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the random pitch effect at ${\phi}>0.4$. In the present study, the narrow-band noise characteristics of three impellers with a uniform and two random Pitch (type-A and-B) blades are compared by the SPL (Sound Pressure Level) spectra, and their frequency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PF (Blade Passing Frequency) noise are also discussed.

  • PDF

비정상 점성 유동 해석에 의한 부등피치 횡류홴의 이산소음 주파수 변조 특성 예측 (Prediction of Frequency Modulation of Discrete Noise for Random Pitch Cross-Flow Fans by Unsteady Viscous Flow Computations)

  • Yong Cho;Young J. Moon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초록집
    • /
    • pp.366.2-366
    • /
    • 2002
  • Unsteady flow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blade tonal noise of a cross-flow fan are predicted by a computational method. The incompressible Wavier-Stokes equations are time-accurately solved for obtaining the pressure fluctuations between the rotating blades and the stabilizer, and sound pressure is predicted using Curie's equation. The computed fan performance is favorably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also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the random pitch effect at ø〉0.4. (omitted)

  • PDF

수평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이산소음과 광역소음의 수치해석 (Numerical Study on Discrete and Broadband Noise Generated from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Blade)

  • 유기완;유병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5-318
    • /
    • 2008
  • Numerical calculation for the 1MW class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blade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the magnitude between discrete noise and random noise. Farassat formula 1A was adopted to get the discrete noise signal, and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was used to obtain the distribution of the aerodynamic data along the blade span. Fukano's approach was also adopted to calculate the unsteady aerodynamic random noise due to the Karman vortex generation at the trailing edge of the wind turbine blade. From the noise prediction for the 1MW class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the frequency band of the discrete noise lies in the infrasound region, and that of the random noise lies in the audible band region.

  • PDF

에어포일 이산소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crete Frequency Noise from a Symmetrical Airfoil in a Uniform Flow)

  • 김휘중;이승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46-651
    • /
    • 2002
  • The flow field around a symmetrical airfoil in a uniform flow under the generation of noise was studied by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by visualizing the surface flow over the airfoil with a shear-sensitive liquid-crystal coating and by measuring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 around the trailing edge of the airfoi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crete frequency noise is generated when the separated laminar flow reattaches near the trailing edge of the pressure side and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is formed over the suction side of the airfoil near the trailing edge. The periodic behavior of vortex formation was observed around the trailing edge and it persists further downstream in the wake. The frequency of the vortex formation in the wake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discrete frequency noise.

  • PDF

에어포일 이산소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crete Frequency Noise from a Symmetrical Airfoil in a Uniform Flow)

  • Kim, H. J.;Lee, S.;N. Fujisawa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초록집
    • /
    • pp.365.2-365
    • /
    • 2002
  • The flow field around a symmetrical airfoil in a uniform flow under the generation of noise was studied by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by visualizing the surface flow over the airfoil with a shear-sensitive liquid-crystal coating and by measuring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 around the trailing edge of the airfoil.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by LES. (omitted)

  • PDF

이산시간 슬라이딩 모드 제어를 이용한 유연 구조물의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Flexible Structures via Discrete-Time Sliding Mode Control)

  • 김명석;최승복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246-251
    • /
    • 1995
  • 유연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해 압전필름 작동기를 사용하였고 이와 연계하 여 샘플링 과정을 고려한 DSMC를 구성하였다. 변수변화 및 외란의 경계치 를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시스템을 이산화시킨 후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일 반적으로 연속시간 시스템의 이산화 과정에서 정합조건의 가정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기 설계시 이를 배제하였다. 이산시간 리아푸노프 이론을 근거로 DSMC의 존재성을 도출하였고, 이것에 기초하여 슬라이딩 모드가 발생되도록 불연속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이때, 불연속게인을 상수로 하지 않고 RP의 위치에 따라 계속 새롭게 수정함으로써 슬라이딩 영역을 최소화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DSMC 기법상에서 발생되는 슬라이딩 영역의 문제를 .betha. 등가제어기를 이용하는 이원화 방법으로 극복하였으며, 컴퓨터 시뮬 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설계 효율성 및 제어기의 강건성을 입증하였다. 향후, 제안된 기법에 대한 실험적 고찰 및 중요 제어인자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될 예정이다.

  • PDF

이산화 기법에 의한 연속계의 동적 응답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ynamic Analysis of the Continuous System by Digital Modeling)

  • 이용관;김인수;홍성욱;췌처린
    • 소음진동
    • /
    • 제7권1호
    • /
    • pp.135-142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 digital modeling technique of the distributed system. The basic idea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to discretize a continuous system with respect to the spatial coordinates using bilinear method. The response of the discretized system is analyzed by Laplace transform and z-transform. The computational results in torsional shaft and Timoshenko beam using the proposed technique are compared with the exact solutions and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method.

  • PDF

철도 방진 슬라브 궤도의 동특성 해석 (Dynamic Analysis of Floating Slab Isolation System for Train)

  • 한현희;이규섭;장승엽;박만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9-822
    • /
    • 2009
  • 환경 소음,진동 개선의 측면에서 철도 레일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 및 구조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탄성 이산지지 구조의 플로팅 슬라브를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플로팅 슬라브 구조설계에 있어 주안점은 방진효율 증대와 슬라브 자체 중량의 2~3배 되는 열차 주행간의 동하중에 대한 열차 주행 안정성을 고려해야 하는 점이며 열차의 고속화 경향에 따라 동하중의 증가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지지 방진장치를 적용한 철도 슬라브 궤도의 동특성과 이동질량에 의한 응답을 방진장치의 지지 간격, 스프링 상수 등을 설계변수로 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 PDF

LES를 이용한 NACA0018 에어포일 주위의 유동 및 이산소음계산 (Flow and Noise Characteristics of NACA0018 by Large-Eddy Simulation)

  • 김휘중;이승배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2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433-438
    • /
    • 2002
  • The flow field around a symmetrical airfoil in a uniform flow under the generation of noise was numerically studi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um.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by LES which employs a deductive dynamic model as subgrid-scale model. The result of an attack angle of $6^{\circ}$ indicate that the discrete frequency noise is generated when the separated laminar flow reattaches near the trailing edge of the pressure side and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is formed over the suction side of the airfoil near the trailing edge. The periodic behavior of vortex formation was observed around the trailing edge and it persists further downstream in the wake. The frequency of the vortex formation in the wake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discrete frequency noi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