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산상 모델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Luminance-Adaptation Effect Just-Noticeable-Distortion Modeling according to Frequency in The DCT Domain (이산 코사인 변환 공간에서의 주파수에 따른 광-적응 효과 최소 인지 왜곡 임계치 모델링)

  • Bae, Sungho;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95-9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DCT 변환 공간상의 배경휘도와 주파수를 고려한 2차원의 개선된 광-적응 효과(luminance adaptation: LA) JND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LA JND 모델은 배경 휘도가 중간점인 회색에 가까울수록 JND가 낮고, 배경 휘도가 어두워지거나 밝아질수록 JND 값이 증가하는 U자형의 1차원 함수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기존 LA JND 모델은 주파수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DCT와 같은 주파수 공간상 JND 모델로는 부정확 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와 배경휘도에 따른 2차원 LA JND 모델을 제안한다. 주파수에 따른 LA JND 값을 실제 실험을 통해 획득하였다. 실험 방법은 9가지 크기의 배경 휘도가 다르고 공간적 복잡도가 없는 균일한 영상을 대상으로 $8{\times}8$ 실수형 DCT를 수행한 다음, 15가지 경우의 주파수 크기가 다른 계수들에 대해 사람이 인지 할 때 까지 노이즈를 증가시켜서 JND 값을 찾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4 cpd(cycle per degree) 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 에서는 기존의 LA JND 모델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지만 4 cpd보다 큰 주파수 대역에서는 오히려 배경휘도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JND가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수행한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주파수가 반영된 2차원 LA JND 모델을 제안한다.

  • PDF

HVPM model and circuit implementation for generating hyperchaotic signals (하이퍼카오스 신호발생을 위한 HVPM 모델 및 회로 구현)

  • 이익수;이동록;여지환;송규익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11c
    • /
    • pp.17-2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HVPM(hyperchaotic volume preserving maps) 모델과 HVPM 모델의 구현회로를 제안한다. 랜덤 한 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3차원 이산시간(discrete-time) 연산과 비선형 사상(maps)으로 모듈러(modulus) 함수를 이용하여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HVPM 모델은 여러 가지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변화시키면 다양한 카오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출력되는 카오스 신호는 비주기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HVPM 모델의 회로 구현을 위하여 2단 N형의 함수를 CMOS와 선형 연산증폭기 및 비교기를 이용하여 보드상에서 구현하여, 다양한 하이퍼카오스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Heat Transfer and Phase Change of Coolant on the Performance of Mixed-gas Ejection System (냉각제의 분사조건 및 상변화가 혼합가스 사출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 Muk;Kim, Jeo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2 no.6
    • /
    • pp.84-93
    • /
    • 2018
  • Three-dimensional (3D)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to study how coolant injection conditions influence the cooling efficiency and projectile ejection performance in a mixture-gas ejection system (or gas-steam launch system). The 3D single-phase computational model was verified using a 1D model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n a two-phase flow computation simulating coolant injection on to hot gas was performed using a DPM (Discrete Phase Model). As a result of varying the coolant flow rate and number of injection holes, cooling efficiency was improved when the number of injection hole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change of the coalescence frequenc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oolant droplets caused by the injection condition variation resulted in a change of the droplet diameter, affecting the evaporation rate of coolant. The evaporation was found to be a critical factor in the design optimization of the ejection system by suppressing the pressure drop while the temperature decreases inside the breech.

Current Control of a Three-Phase PWM converter Based on a New control Model with a Time Delay and SVPWM Effects (시지연과 SVPWM 영향이 고려된 새로운 제어 모델에 의한 3상 전압원 PWM 컨버터의 전류 제어)

  • 민동기;안성찬;현동석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2
    • /
    • pp.115-122
    • /
    • 2000
  • In design of a digital current controller for a 3cP PWM converter, its conventional model is used in obtaining i its discretized version. But, it has error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SVPWM and time delay are not taken i into consideration. In this paper, the new reference frame model of a 3c~ PWJVI converter is proposed C considering these problems. Also, the direct digital current controller based on this model is designed without a any extra algolithm. A simple tuning algorithm for the proposed current controller is given to compensate the i inductaηce mismatch problem. The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validity of the algolithm.

  • PDF

매립지 근처에서 산성오염물로 인한 토양오염의 지연에 대한 수치적 연구

  • Yoon, Do-Yeong;Han, Chun;Kim, Min-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10a
    • /
    • pp.61-64
    • /
    • 1999
  • 산성침출수에 의한 광산폐기물 매립지 근처의 지하 환경의 오염 및 대처 방안의 효과를 수치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하토양에서 Darcy 법칙을 사용한 침출수의 흐름과 이산-분산에 의한 오염물질의 이동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Galerkin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였다. 토양오염의 지연을 위하여 석회석 차수막을 연직형과 수평형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평차수막에서의 수착이 오염물질의 이동을 지연시키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직차수막은 지하수의 우회유동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확산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반적으로 침출수의 흐름은 광산매립지 제방 근처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차수막의 효과적인 설치방안이 고안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iscrete-Time Analysis of Throughput and Response Time for LAP Derivative Protocols under Markovian Block-Error Pattern (마르코프 오류모델 하에서의 LAP 계열 프로토콜들의 전송성능과 반응시간에 대한 이산-시간 해석)

  • Cho, Young-Jong;Choi, Dug-Ky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11
    • /
    • pp.2786-2800
    • /
    • 1997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well the channel memory (statistical dependence in the occurrence of transmission errors) can be used in the evaluation of widely used error control schemes. For this we assume a special case named as the simplest Markovian block-error pattern with two states, in which each block is classified into two classes of whether the block transmission is in error or not. We apply the derived pattern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actical link-level procedures, LAPB/D/M with multi-reject options, and investigate both throughput and user-perceived response time behaviors on the discrete-time domain to determine how much the performance of error recovery action is improved under burst error condition. Through numerical examples, we show that the simplest Markovian block-error pattern tends to be superior in throughput and delay characteristics to the random error case. Also, instead of mean alone, we propose a new measure of the response time specified as mean plus two standard deviations 50 as to consider user-perceived worst cases, and show that it results in much greater sensitivity to parameter variations than does mean alone.

  • PDF

Hierachical 3-D Shape Reconstruction from Shading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밝기 정보로부터 3차원 표면 형상의 재구성)

  • 안은영;박현남;조형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476-47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밝기 정보로부터 물체의 표면 형상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이미지 모델은 기존의 Lambertian surface model에 거리 요소를 포함시켜 보다 현실과 비슷한 제약 조건을 주고, 국지 해(local minima)에 빠지기 쉬운 기존의 iteration 방법을 탈피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도입한다. 표면의 깊이 정보를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하고 이 DCT 공간상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큰 형상을 먼저 결정한 후 미세한 형상을 찾아내는 계층적인 표면 형상의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간단한 실험으로 그 타당성을 보인다.

  • PDF

Estimation of Vehicle Position Based on Magnet Marker Sensing System (도로상 자기표지의 인식을 통한 주행차량 위치 추정)

  • Yun, Kyoung-Han;Byun, Yun-Seob;Min, Kyung-Deuk;Kim, Young-Chol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9.05a
    • /
    • pp.308-309
    • /
    • 2009
  • 본 논문은 도로상에 매설된 자기표지의 인식을 통해 주행 중인 바이모달 트램의 위치를 추정하는 추정알고리즘 설계 및 검증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바이모달 트램은 자동 안내제어를 위해 도로상에 4m 간격으로 매설된 자기표지를 인식하여 차량과 기준경로사이의 경로오차를 측정하고, 이 때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계산한다. 경로오차 측정 정보는 125msec간격으로 이산적으로 주어지며, 차량의 선형모델에 근거한 관측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Assessing Forecast Accuracy of the UM numerical weather model for the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목적의 UM 수치예보자료의 예측정확성 평가)

  • Uranchimeg, Sumiya;Kwon, Hyun-Han;Kim, K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3-233
    • /
    • 2017
  • 현재의 기술과 전문가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수치 예보 모델의 해상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신뢰성 있는 장기 예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고해상도 모델의 경우 미세한 오차가 발생 하더라도, 실제 기상학적 관점에서 시공간적으로 변동성이 크게 발생할 개연성이 크며, 이로 인해 모델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한국 기상청(KMA)에서는 영국기상청으로부터 도입한 통합모델(UM)을 현업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기상청 통합모델인 UM3.0 예보모델의 예측정확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한다. 기상청 UM3.0 모델은 3km의 공간해상도와 1시간 시간해상도를 가지며, 예보시작시점기준 7일간의 예보정보를 제공한다. 강수량 예측정보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예측 시계열에 대해 RMSE, 편의 및 등 다양한 통계지표와 공간적인 강수량 발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FSS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UM3.0 모델의 1시간 및 3km의 시공간해상도와 선행예보 기간을 그대로 수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수문학적 활용관점에서 최적의 시공간적 규모와 선행예보 시간을 분석하였다.

  • PDF

Command and control modeling for computer assisted exercise (훈련시뮬레이션에서의 지휘통제 모델링)

  • Yun, Woo-Seop;Han, Bong-Gyu;Lee, Tae-Eo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5 no.4
    • /
    • pp.117-126
    • /
    • 2016
  • We suggest the C2 modeling method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for training command groups which consist of commanders and staffs. By using C2 models in constructive simulation models, combat entities or units directly receive and execute orders from a command group without mediating human role players. We also compare combat results from suggested modeling method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models by building and implementing a simulation model with C2 models. Our analysis by comparison demonstrates advantages of suggested method to model C2 for computer assisted exerc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