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불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초

겨울철 온돌난방에서의 이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dquilts During Sleeping on Ondol in Winter)

  • 권수애;이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1-299
    • /
    • 1993
  • In this study, bedclimate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ree bedquilts used on ondol in winter. The environmental room condition and the ondol surface temperature were maintained $20{\pm}1^{\circ}C$, $50{\pm}3%R$. H and $30{\pm}1^{\circ}C$, respectively. The materials of the experimental quilts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weights of cotton filler were 1.5, 3.0, and 4.5kg for the bedquilts. Two healthy young women were subjected for seven hour's sleep with two replications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temperature under the mattress was higher($38.5{\sim}43.2^{\circ}C$) than that of the temperature on the mattress($32.4{\sim}37.0^{\circ}C$) or that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bedquilts($30.2{\sim}34.5^{\circ}C$). The humidity inside the bedquilts was 40~73%R.H. 2) The range of bedclimate which subjects feel comfortable were $33.6{\sim}37.1^{\circ}C$ on the mattress, $30.2{\sim}33.6^{\circ}C$, 42~67%R.H. inside the bedquilts. At this range, the mean skin temperature of the subjects was was $34.7{\sim}35.6^{\circ}C$. 3) When there was heating, the weight of mattress increased due to evaporation by heat from below, while wehght of other bedding increased. 4) The lower limbs are noted to be a good representative for the prediction of the skin temperature during sleep. 5) The thicker the bedquilt, the warmer and more humid the bedquilt, which induce frequent body movement during sleep, hence inferior comfort properties of bedquilts.

  • PDF

음성특성 학습 모델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 (Improvement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Trained Model of Speech Feature)

  • 송점동
    • 정보학연구
    • /
    • 제3권4호
    • /
    • pp.1-12
    • /
    • 2000
  • 음성은 특성에 따라 고음성분이 강한 음성과 저음성분이 강한 음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음성인식의 연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식기를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률과 인식모델을 구성할 때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이러한 특성을 포만트 주파수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화자음성의 고음과 저음특성을 반영하여 인식모델을 구성한 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국어에서 가능한 47개의 모노폰을 이용하여 인식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여성과 남성 각각 20명의 음성을 이용하여 인식모델을 학습시켰다. 포만트 주파수를 추출하여 구성한 포만트 주파수 테이불과 피치 정보값을 이용하여 음성의 특성을 구분한 후, 음성특성에 따라 학습된 인식모델을 이용하여 인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인식률이 향상됨을 보였다.

  • PDF

두한경(竇漢卿)의 "침경지남(鍼經指南) 표유부(標幽賦)"에 관한 연구(硏究)

  • 유호균;김용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9-288
    • /
    • 2007
  • "표유부(標幽賦)"포라료침구경락적기본이론화자오유주침법(包羅了鍼灸經絡的基本理論和子午流注鍼法) 유주팔법등침구임상이론(流注八法等鍼灸臨床理論), 역우기송(易于기송), 통과대차(通過對此)"표유부(標幽賦)"급역대주석가대(及歷代注釋家對) "표유부(標幽賦)" 주석적연구(注釋的硏究). 금득출여하결론(今得出如下結論): 1. "표유부(標幽賦)"중출현적두한경적학술사상(中出現的竇漢卿的學術思想), 시재계승(是在계承)"내경(內經)"화(和)"난경(難經)"적침구학(的鍼灸學), 이론적기본상(理論的基本上), 진일보발전이성적(進一步發展而成的). 대후세침구학적발전산생료중요적영향(對後世鍼灸學的發展産生了重要的影響). 2. 유우폐경적경기유운문혈수출(由于肺經的經氣由雲門穴輸出), 연경락순행체표(沿經絡循行體表), 우시사운문혈구유료통경행기적주치작용(于是使雲門穴具有了通經行氣的主治作用), 고이불설'혈출중부'(故而不說'穴出中府'), 이제출'혈출운문'(而提出'穴出雲門'), 저시두한경재침구이론방면적독도지외(抵是竇漢卿在鍼灸理論方面的獨到之外). 3. 소우침구보사(소于鍼灸補瀉), 인위수지보사법적작용중우호흡보사(인위手指補瀉法的作用重于呼吸補瀉), 제시료순(提示了循), 문, 제(堤), 안(按), 탄(彈), 염, 차, 반(盤), 추, 내(內), 동(動), 요(搖), 조(爪), 절적십사종침자보사수법(切的十四종鍼刺보瀉手法). 4. 제출침자전요관찰확인침구유무이상손상(提出鍼刺前要觀察確인鍼具有无이常損상), 시침전요냉침온난(施鍼前要냉鍼온暖), 시침시요예방절침화피부근육적손상(施鍼時要預防折鍼和皮膚筋肉的損傷), 제출좌수당중이다안침혈(提出左手當重而多按鍼穴), 우수경이서서염전자입적수법(右手경而徐徐捻轉자入的手法), 인위사용쌍수진침위호(인위使用쌍手進鍼위好). 5. 호침가관통경락기혈운행적통로(毫鍼可관通經絡氣血運行的通路), 여오행상응(與五行相應), 인이가평오장지한열(因而可平五臟之寒熱), 가조육부지허실(可調六腑之虛實), 유견사부정지공(有견邪扶正之功), 재구침중응용최위광범(在九鍼中응用最위광泛). 6. 제출침자시요관찰본신(提出鍼刺時要관察本神), 대우'본신'구체가간주시환자적'맥기'화'혈기'(對于'本神'具체可看做是患者的'脈氣'和'穴氣'), 종대적방면간가간주시환자적정신(종大的方面看可看做是患者的精神). 7. 제시료참조전후좌우지혈정확취혈적방법(提示了參照前後左右之血正確取穴的方法), 여참조주변경락확정경락적방법(여參照周邊經絡確定經絡的方法), 병강조요준조골도분촌화굴신수족관절적방법취혈재능취혈정확(병强調要遵照骨度分寸和屈伸手足關節的方法取穴才能取穴正確). 8. 소우두면오관(소于頭面五官).인후경항(咽喉頸項).흉복부(胸腹部), 요배부(腰背部), 부인(婦人) 소아(小兒) 사지등질환(四肢等疾患), 개소료침구치료적경험화심득(介沼了療鍼灸治療的經驗和心得), 제시료자오유주축일안시개혈침법여영구팔법등안시취혈침법(提示了子午流注逐日按時開穴鍼法여靈驅八法等按時取穴鍼法), 성위후세각종안시개혈침법적기초(成위後世各種按時開穴鍼法的基초).

  • PDF

허숙미(許叔微)의 생애(生涯)와 저서(著書)에 관(關)한 연구(硏究)

  • 최형록;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296
    • /
    • 2007
  • 통과대허숙미적생애화저서적연구득출여하결론(通過對許叔微的生涯和著書的硏究得出如下結論). 허숙미(1080${\sim}$1154)생어북송(許叔微(1080${\sim}$1154)生於北宋), 활동어북송여남송지간(活動於北宋與南宋之間), 타환실부모(他幻失父母), 내전심어의학학습(乃傳心於醫學學習), 오십삼세시고취과거(五十三歲時考取科擧), 증재관십년(曾在官十年), 내역관역의적유사지대표인물(乃亦官亦醫的儒士之代表人物). 허숙미적저서주요유 "허숙미상한론저삼종" (許叔微的著書主要有 "許菽微傷寒論著三鐘"), 포괄(包括) "상한백증가"("傷寒百證歌"), "상한발미론"("傷寒發微論"), "상한구십론"("傷寒九十論"), "보제본사방"("普濟本事方"), 영외거설환유 "중경삼십육맥법도"("仲景三十六脈法圖"), "치법팔십일편"("治法八十一篇"), "익상한론"("翼傷寒論"), "변류" 등("辯類" 等), 단현이불존(但現已不存). 현금소견적 "유증보제본사방"(現今所見的 "類證普濟本事方"), 역즉"본사방속집"(亦즉"本事方續集"), 수재어단파원윤적"중국의적고" 화구길생적"삼삼의서"(收載於丹波元胤的"中國醫籍考"和구吉生的"三三醫書"), 단요확정시허숙미적서서향유허다의점(但要確定是許叔微的署書향有許多疑點). "상한백증가"시장"상한론"적주요내용화역대의서급각의가적주장화일백수처방("傷寒百證歌"是將"傷寒論"的主要內容和歷代醫書及各醫家的主張和一百首處方), 이칠언가결적형식사성적전저(以七言歌訣的形式寫成的專著), 시현존최조적가결체의서(是現存最早的歌訣體醫書); "상한발미론"공유22론조성("傷寒發微論"共由22論組成), 시천발중오미적상한론참고서(是闡發仲奧微的傷寒論參考書); "상한구십론"유90론조성("傷寒九十論"由90論組成), 시허숙미치료상한병증적의안집(是許叔微治療傷寒病證的醫案集); "유증보제본사방"공유10권25문조성("類證普濟本事方"共由10卷25門組成), 재방373수(載方373首), 시집자기증시험과적처방화의학이론방면적신적영오이저성적(是集自己曾試驗過的處方和醫學理論方面的新的領悟而著成的).

  • PDF

편축 추출물(抽出物)의 항진균작용(抗眞菌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Antifungal Activity with Polygonum aviculare Linne)

  • 김홍식;조광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
    • /
    • 1980
  • 마디풀 전초(全草)의 건조물인 편축의 열수전탕(熱水煎湯)의 여과액으로 증발 농축시킨 추출액을 만들어 대조인 Sabouraud's dextrose arar 배지에 매지 10ml當 편축 추출액 0.5,1,2 및 3ml를 각각 혼합한 배지로서 T. rubrum, T. mentagrophytes, E. floccccosum 및 M. canis 등 4균종을 각각 3종씩 배양하여 그 발육상태를 관찰하므로서 진균발육억제작용의 유무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E. floccosum은 편축추출물 3ml 혼합의 평판배지 사면배지 및 현적배양에서 거의 완전히 현지한 균발육억제작용을 인정할 수 있었다. 2. T. menagrophytes, T. rubum 및 M. cains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현저한 억제자용과 발육균태(菌苔)의 크기로 보아 반이불(半以不)의 크기로 발육이 억제되는 증정도의 억제효과를 인정하였다.

  • PDF

여름철 온돌에서 취침시 이불종류에 따른 침상기후와 인체반응 연구 (A Study on Bedclimate, Physiological Responces and Subjective Sensations of Bedquilts During Sleeping on Ondol in Summer)

  • 권수애;이순원;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5-298
    • /
    • 1992
  • In this study, bedclimate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various bedquilts used oin ondol in summer. The environmental room condition was maintained at 26: $1^{\circ}C,\;75{\pm}3\%$ R.H., while the ondol surface was kept at $25{\pm}1^{\circ}C$ without heating. The types of bedquilts were hemp, cotton, quilt made of polyester padding with polyester/cotton cover. Two healthy young women were subjected for seven hours' sleep with two replications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under the mattress ($25.2\~32.4^{\circ}C$) was lower than that of the temperature on the mattress ($28.8\~35.5^{\circ}C$), or that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bedquilts ($30.3\~34.4^{\circ}C$). The humidity inside the bedquilts increased during sleeping, and the range of R.H. was $58\~80\%$. 2) The ranges of bedclimate which subjects feel comfortable were $30.5\~33.8^{\circ}C$ on the mattress, $31.0\~34.9^{\circ}C$, $61\~74\%$ R.H. inside the bedquilts. At this range, the mean skin temper-ature of the subjects was $34.3^{\circ}C\~35.2^{\circ}C$. 3) When there was no heating, the weight of the bedding increased during sleeping, and the weight increase was largest in the case of mattress. 4)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skin temperature of three points of the body (abdomen, thigh, foot) and the temperature and R.H. inside the bedquilt. 5) The effect of the type of bedquilts on the microclimate and physiolosical responses were significant. 6) Generally, when there was no heating, the body heat was transferred to the ondol floor, in summer, heat was transferred mostly through the mattress.

  • PDF

공자의 행복관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Confucius' viewpoint of happiness: Focusing on Analects)

  • 안외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303-331
    • /
    • 2010
  • 정치사상사에서 '행복한 삶'이라는 주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고전적인 질문의 하나이다. 유가(儒家)의 창시자 공자(孔子. BC.551~BC.479)가 인(仁)의 가치를 강조한 것 또한 '행복한 삶'을 추구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가적 행복'은 '유가적 좋은 삶'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글은 공자의 사상과 언행이 가장 잘 수록되어 있는 "논어"를 텍스트로 하여 공자의 행복 관념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2장에서, 좋은 삶과 행복한 삶에 대한 보편적인 지성사적 인식과 관련 서양고대의 그것을 먼저 간단히 살펴본 다음, 3장부터 5장까지에 걸쳐 공자의 행복관을 각각 인간의 진정한 행복을 각각 학습의 내면적 기쁨, 사회와 공유하는 외연적 즐거움, 그리고 인간다운 인간 곧 자기완성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 "논어(論語)" 모두(冒頭) 편인 <학이(學而)>편 1장, 곧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유붕자원방내불역락호(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 인부지이불온불역군자호(人不知而不?不亦君子乎)"의 3구절이 구체적인 공자의 행복관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 각각의 구절들이 "논어(論語)" 전체에서 피력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 면작농업 소멸의 지역적 전개과정 (A study on the process of spatial reduction of cotton culture in Korea since 1945)

  • 김기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8-339
    • /
    • 199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거의 소멸된 면화재배의 지역적인 축소 과정을 확인하고, 현재 농촌에서 이루어지는 면화재배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면방직 공 업은 원면도입으로 해외 원료 의존형 산업이 되었다. 환율정책으로 국내면 가격이 미국산 원조면보다 비싸지고, 정부의 식량증산 위주의 농업정책, 유통구조 등으로 인해 국내면의 재 배면적이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국내 면 재배 면적 감소의 지역적인 과정은 일차적으로 기 후조건이 면화재배에 불리한 지역에서 먼저 나타나 식량 밭작물로 대체되었고, 이후 재배 유인력이 더욱 약해짐에 따라 재배 발원지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소멸되고 있었 다. 현재 농촌에서 면화는 이불솜 을 위한 자가 소비용, 식용, 약용외에 다른 작물의 생산성 을 높이기 위한 부작물로서 재배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재배방법은 종래와 큰 차이가 없 이 행해지고 있었으며 노동집약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농민의 면화에 대한 애착이 강하고, 국내면으로 만든 이불솜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아직 있음이 확인되어, 정부의 정책 적인 배려와 함께 시장이 확보될 경우 국내면이 앞으로도 재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 고 있었다.

  • PDF

제주의 불교미술과 자복미륵 (A study of Jeju Buddhist art and Bok-sin Maitreyas)

  • 이경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3호
    • /
    • pp.104-121
    • /
    • 2018
  • 제주 불교미술에 대한 관심은 한국미술에서 조금 소외되어 있는 편이다. 이 글은 주요 제주 불교미술에 대한 서술과 자복미륵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제주의 불교문화는 고려후기에 흥기하였다. 법화사는 원 황실의 원찰이자 고려의 비보사찰이었다. 묘련사에서는 1296년에 고려 조정에서 내린 불전을 받들어 제주도판을 다시 새겼고 이는 제주의 지식문화를 시사한다. 수정사 청석탑 부재에 새겨진 금강역사상은 고려 후기의 회화로 주목된다. 불탑사 오층석탑은 제주 현무암으로 만들어졌고 14세기 전반경의 체화된 제주불교미술이다. 제주의 조선시대 불교미술에서 자복미륵은 민간신앙화된 미륵의 세 유형을 합성하여 독특한 모습이다. 자복미륵은 원정모와 관복을 착용하였으며, 석인상형 미륵처럼 좌우에 놓여 지역을 살피고 지키며, 튀어나온 눈으로 호위하는 역사(力士)인 신장상형 미륵의 특징을 수용하였다. 따라서 자복미륵은 조선시대 세속화된 미륵의 유형을 분석하는 데에 의미 있는 형식이다. 자복미륵을 이해하는 데에 특기할 불상이 1471년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병립상, 1491년경 옥천 대성사 석불, 광주 십신사지 석불 등이다. 원정모형 보개를 지닌 불상은 조선전기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미륵을 조선으로 끌어들여, 조선을 건설한 신진사대부의 모습에 기인하여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공교롭게 옥천 대성사 석불입상의 조성에 제주목사를 역임하는 육한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복미륵은 그러한 불상들의 지역에 따른 변형에도 불구하고 연결고리를 확인하여 주었다.

풍력발전기 운전환경에 따른 진동신호 분포 (Distribution of vibration signals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of wind turbine)

  • 신성환;김상렬;서윤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2-201
    • /
    • 2016
  • 풍력발전설비는 접근성의 문제로 주기적인 구조건전성 검사를 수행하기 어렵고, 기상상태를 포함한 주위 환경변화 때문에 예기치 못한 고장발생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상태감시시스템(Condition Monitoring System, CMS)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MS의 이상감시 성능 향상을 위하여 풍력발전기 주요 기계시스템에서 장기간 측정된 진동신호 분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운전 조건에 따른 진동 변화 경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풍력발전기 동력전달 및 전력생성부의 진동, 풍속, 주축회전수 등을 약 2년동안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 환경 및 조건에 따른 각 신호의 경향분석을 수행하고, 기계시스템 구조에 따른 신호별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풍력발전기 기계시스템별 진동은 주축회전수, 발전여부에 영향을 받고, 특정 주축회전수에서는 베이불(Weibull) 분포에 해당하는 진동분포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는 풍력발전기 CMS 시스템에서 기계적 이상발생 여부를 조기에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