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민여성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31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 김경미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85-208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이 한국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연결망을 가족 연계, 정서적 연계, 모임 수준으로 구분했으며, 2009년 전국조사 자료를 이용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족연계 변인 중에서는 모국가족 접촉 빈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거가족 크기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본국 가족의 지지망은 물리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작동하고 있는 한편, 한국 '가족'은 지지망으로 작동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또한, 정서적 연계 분석에서는 '교량적 강한 연계의 힘'이 부각되었다. 이 점은 종족 및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사람과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활해야 하는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보인다. 모임 분석에서는 본인가족과 배우자가족 모임 변인의 효과가 강조됐으며, 국적별로 분리했을 때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발견되었다. 즉, 한국 거주 기간이 가장 긴 일본 출신의 경우 비가족 모임 연결망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혼이주 초기에는 가족연결망이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결혼이주 기간이 늘어날수록 다른 사회연결망의 효과 역시 유의미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Regards to the Influence that Family Income and Job Status hav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 배경희;김석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5-27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분석자료는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연령, 학력, 자녀유무, 한국어능력을 투입했으며, 독립변수는 가구소득과 직업유무 그리고 조절변수인 사회자본 요인은 신뢰, 참여,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가구소득, 직업유무 모두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사회자본 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 가족관계 만족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는 사회자본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비교를 통해 더욱 분명하게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만족도에 대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