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미지 검색 UI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Suggestion of Particular Area Image Search Method (부분 영역 이미지 검색 방법의 제안)

  • Kim, Sungk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4
    • /
    • pp.355-360
    • /
    • 2018
  • We propose a method to connect partial image in whole image to partial image in whole image of other internet site. For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four partial image generation methods and retrieval methods. A method of 'image segmentation' that cuts out only partial images that want to provide information from the whole image, a method of 'creating an image block' that finds outermost points of a cut-out partial image, a method of 'Stamp transformation of outer points', which connects outer points and registers them as the most similar image stamp, and a retrieval method that connects image stamps with other image stamps are developed. We suggested a image search UI that can use image stamps in various ways.

Tilt-based Photo Browsing UI on Mobile Devices (휴대기기에서의 기울임 기반 사진 감상 UI)

  • Jo, Seong-Jeong;Murray-Smith, Roderick;Choe, Chang-Gyu;Seong, Yeong-Hun;Lee, Gwang-Hyeon;Kim, Yeo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29-43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기울임 동작에 기반한 휴대기기 상의 사진 감상 UI를 제시하고 사용성을 평가한다. 기존의 기울임 입력 방식의 세가지 조작성 문제(overshooting, fluctuation, 부분 이미지 제시)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진 위치 및 기울임에 의존하는 사진 이동 제어 dynamics 모델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기울임 감지용 가속도 센서, 기울임에 의한 사진 이동 제어 dynamics 모델, 다중모달(시각, 청각, 촉각)을 통한 모델 상태 출력부로 구성된다. 센서 입력과 다중 모달 출력을 위하여, 삼성 MITs 4300 PDA의 배터리 팩을 개조하여 3축 가속도 센서와 진동 출력장치 (VBW32)를 장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대표적인 사진 감상 입력 방법인 버튼과 iPod wheel과 비교하였다. 정량적 비교를 위하여 7명의 사용자에게 100장의 사진 중 20장을 차례로 검색하는 과제를 부여하면서 수집한 로그를 분석하였으며, 정성적인 비교를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 기울임 기반 dynamics에 비하여 overshooting 횟수를 30%, 사진간 이동 거리를 25%, 이동 시간을 17% 감소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이 버튼과 유사한 조작성을 갖고 있으며, 버튼과 iPod보다 더욱 흥미성이 뛰어났다. 상업적으로 뛰어난 성공을 거둔 iPod이 다수의 overshooting 발생으로 실제로는 사용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예상치 못한 흥미로운 발견이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imilarity based Plant Disease Image Retrieval using Combined Descriptors and Inverse Proportion of Image Volumes (Descriptor 조합 및 동일 병명 이미지 수량 역비율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 기반 작물 질병 검색 기술 설계 및 구현)

  • Lim, Hye Jin;Jeong, Da Woon;Yoo, Seong Joon;Gu, Yeong Hyeon;Park, Jong H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 /
    • v.14 no.6
    • /
    • pp.30-43
    • /
    • 2018
  •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trieve images using colors, shapes, and textur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images. In addition, there is also progress in research related to the disease images of the crop. In this paper, to be a help to identify the disease occurred in crops grown in the agricultural field, we propose a similarity-based crop disease search system using the diseases image of horticulture crops.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the similarity retrieval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ones through the combination descriptor without using a single descriptor and applied the weight based calculation method to provide users with highly readable similarity search results. In this paper, a total of 13 Descriptors were used in combination. We used to retrieval of disease of six crops using a combination Descriptor, and a combination Descriptor with the highest average accuracy for each crop was selected as a combination Descriptor for the crop. The retrieved result were expressed as a percentage using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ratio of disease names, and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weight.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ratio of disease name has a problem in that number of images used in the query image and similarity search was output in a first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used a calculation method based on weight. We applied the test image of each disease name to each of the two calculation methods to measur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retrieval results. We compared averages of retrieval performance for two calculation method for each crop. In cases of red pepper and apple, the performance of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ratio of disease names was about 11.89% on average higher than that of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weight, respectively. In cases of chrysanthemum, strawberry, pear, and grape, the performance of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weight was about 20.34% on average higher than that of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ratio of disease nam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UI/UX was configured conveniently via the feedback of actual users. Each system screen has a title and a description of the screen at the top, and was configured to display a user to conveniently view the information on the disease. The information of the disease searched based on the calculation method proposed above displays images and disease names of similar diseases. The system's environment is implemented for use with a web browser based on a pc environment and a web browser based on a mobile device environment.

Digital photo management system using printed images (프린트 이미지를 이용한 디지털 사진 관리)

  • Kim, Hyun-Jin;Cho, Sung-Jung;Lee, Ho-Yul;Kim, Chang-Soo;Kim, Yu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03-408
    • /
    • 2006
  •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사용자가 사진을 찍고 보관하고 감상하는 행태가 과거의 일반 카메라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는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기 때문에 한번에 촬영하는 사진의 양이 많은 반면에 인쇄하여 보관하는 사진의 양은 매우 적은 경향을 보인다. 디지털 사진의 양이 방대하게 늘어나고, 인쇄하기 보다는 저장 장치에 보관하게 됨에 따라서 과거의 앨범에 인쇄된 사진을 보관하고 감상하던 방식과 감상하는 행태도 변화되었다.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서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사진들은 각 폴더에 어떤 사진들이 들어 있는지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앨범을 보는 것처럼 자주 감상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또 인쇄된 사진을 보고, 그 사진과 연관된 다른 사진들을 보고자 디지털로 저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에 접속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촬영된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을 분류하여 보관하고 감상하는 사용자의 행태를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디지털 사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자연스럽게 앨범을 넘겨보다가 인쇄된 디지털 사진과 관련된 컨텍스트를 갖는 다른 디지털 사진들을 저장 매체에서 바로 찾아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UI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인쇄된 사진에 사진의 컨텍스트 코드를 함께 인쇄하고, 추후에 출력된 사진의 컨텍스트 코드를 해독하여 원본 디지털 사진 및, 동일한 컨텍스트를 가지는 디지털 사진들을 자동으로 찾아서 디스플레이 하는 검색 및 감상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거쳐야 했던 기존의 번거로운 과정을 단축하고 디지털 사진을 분류하여 보관하고 원하는 사진을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찾아야 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