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명장애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쿠버네티스와 블록체인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블록체인 서비스 중복실행기법 (Replication of blockchain application services using kubernetes and blockchain service registry)

  • 권민호;이명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63-36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쿠버네티스와 블록체인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블록체인 서비스 중복실행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컨테이너 관리 도구인 쿠버네티스를 이용하여 중복 실행 기법이 적용된 블록체인 서비스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법은 서비스 접근 위치, 복구를 위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이용하여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블록체인 서비스를 견고하게 실행할 수 있다.

  • PDF

오픈소스 블록체인 환경에서 리드 솔로몬 부호화 된 블록의 복구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ed-Solomon Encoded Block Recovery in Open Source Blockchain Environments)

  • 이성현;이명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0-251
    • /
    • 2023
  • 블록체인 원장의 용량이 폭증하면서 여러 확장성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원장에 Reed-Solomon 부호화를 적용하여 용량을 줄이려는 연구가 일부 진행 중이나, 피어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악의적 행동이 있다면,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한 복구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장에 Reed-Solomon 부호화를 적용해 얻는 저장 공간의 감소 효과에 비해서 데이터를 복구할 시 어느 정도의 오버헤드가 발생하는지 성능 평가를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많은 블록 복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인코딩/디코딩 시간은 미미하였고, 대부분의 오버헤드는 청크 재전송 시간이었다.

독거여성노인의 낙상경험에 따른 낙상두려움과 관련요인 (Fear of Falling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Fall Experience)

  • 이명숙;이윤복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4호
    • /
    • pp.243-256
    • /
    • 2013
  •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낙상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두려움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1개시에 거주하는 낙상군 148명, 비낙상군 256명 총 40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하여 편의표집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3년 4월 22일부터 6월 9일까지이었다. 연구결과 낙상률은 36.6%였으며 낙상군과 비낙상군은 연령, 만성질환 수, 영양위험도, 보조기구 사용, 시력장애, 청력장애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빈도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두려움 정도는 낙상군은 영양불량위험도, 보조기구 사용, 시력장애, 거주형태, 주거환경문제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비낙상군은 연령, 종교, 영양위험도, 보조기구 사용, 시력장애, 청력장애, 거주형태, 주거환경문제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낙상군은 비낙상군에 비해 낙상두려움, 일상활동장애, 우울은 유의하게 더 높았고 낙상효능감과 주거환경 문제수는 낮았으며 정적균형, 복합이동능력, 생활만족도는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낙상군은 낙상두려움과 생활만족도, 낙상효능감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일상활동장애, 우울, 주거환경문제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비낙상군은 낙상두려움과 생활만족도, 낙상효능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일상활동장애, 복합이동능력, 우울, 주거환경문제수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낙상군의 낙상두려움 영향요인은 일상생활장애, 우울, 낙상효능감, 정적균형, 보조기구사용으로 46.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비낙상군은 낙상효능감, 주거환경문제수, 일상활동장애. 영양위험도, 주거형태, 현기증, 보조기구사용 등으로 55.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독거여성노인 낙상두려움은 신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 및 주거 환경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낙상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독거노인 의 낙상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낙상경험을 고려한 중재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낙상두려움이 재낙상의 중요한 관련 변수이기는 하지만 교정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낙상두려움 정도 및 위험요인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통해 고위험군을 발견하도록 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낙상경험에 따른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이 맞춤형으로 개발 제공되어 져야 할 것이다.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 변화 (Oral Health Behavior Changes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of Mental Disabilities)

  • 최주현;이명희;서화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4-412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위해 특수교사 및 보호자의 구강건강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장애인 스스로 올바른 구강용품 사용과 행위로 구강청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 지역 H 장애인 복지시설과 E 장애인 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정신지체 장애인 총 93명을 대상으로 보호자 및 특수교사로부터의 설문지 응답과,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잇솔질 교육, 식이조절, 구강보조용품 사용 등의 구강보건 교육과 간이구강위생지수, 치면세균막 지수, 개량 구강위생상태를 확인하는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신지체 1급과 2급, 3급의 잇솔질 교육 후 실천도를 조사한 결과, 정신지체 1급의 경우, 아침식사 전에는 변함이 없었다. 아침식사 후는 2차 교육 이후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지만 3차 교육 후에는 다시 교육 전과 같았다. 둘째, 장애유형과 교육 횟수에 따른 간이구강환경지수의 변화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횟수와 간이구강환경지수의 차이가 있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간이구강환경지수는 시간에 의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961, p<.01). 넷째, 장애유형별 치면 세균막 상태의 변화는 시간에 의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사후검증결과 1차와 4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5.126, p<.05).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도 변화는 성별, 연령, 장애유형, 교육기관, 학력 정도 등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인의 잇솔질은 2차교육 때까지 잇솔질 횟수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이후 잇솔질 횟수의 감소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잇솔질 교육을 받은 후, 처음에는 흥미를 갖고 잘 실천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흥미를 잃어 원래의 생활 패턴으로 돌아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간이구강환경지수나 치면 세균막 지수 등의 결과로 볼 때 올바른 잇솔질 방법으로 구강청결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은 잇솔질 교육을 장기간 하는 것보다는 주기적으로 흥미를 유발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장애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증진시키는 것이라 생각한다.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 활동매뉴얼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n Operating Manual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in the Public Libraries)

  • 안인자;박미영;김혜주;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148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매뉴얼을 개발하여 자원봉사 활동의 전문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기 시도되었다.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와 담당자와 이용자와의 면담, 전문가 간담회 등을 통하여 가장 수요가 많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매뉴얼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실질적인 장애인 서비스 자원봉사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대면낭독, 입력봉사, 도서관 비방문자 서비스, 이동보조,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개 분야를 선정하여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체적인 활동 매뉴얼 내용을 제시하였다. 5개자원봉사의 활동분야, 장애 유형, 활동 목적, 세부 활동 내용 및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활동내용의 구성도와 구성요소의 정의를 소개하였고, 구성요소의 기술사례를 대면낭독에 적용하여 활동 매뉴얼의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련 교육요구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who are Car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한영란;이명희;방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4-5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who are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 A descriptive study was done and the participants were 108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being mentally challenged, developmentally delayed or having a disability involving brain damage. The questionnaire was a health education need assessment with 11 categories(58 items) developed by Han et a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3.83 (SD=0.58) out of a maximum 5. The health education need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d the highest score (4.40±0.54) followed by health education needs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learning (4.31±0.64), interpersonal relationships (4.04±0.65) and behavior and emotion (4.04±0.7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ren's sex (t=2.08, p=.04), birth order (t=2.17, p=.03), grade of disability (F=3.32, p=.02) and sex education suitable to the child's in age. Conclusion: The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of children who are disabled were very high and varied.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develop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which include this conten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ceive this education.

  • PDF

혈장 세로토닌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 월남전 참전 재향군인을 대상으로 (Plasma Serotonin Level of Vietnam War Veteran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ymptom Severity)

  • 이수영;강석훈;정문용;이명희;김태용;소형석;정혜경;최진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20
    • /
    • 2009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serotonin concentr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in chronic PTSD patients who have been taking medication. Methods : Plasma serotonin level of 14 PTSD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28 Vietnam War veterans was measured by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Combat Exposure Scale (CES), Mississippi Scale for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PTSD), Clinician Administered PTSD Scale (CAPS),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and Hamiltion Anxiety Scale (HAS) were used to evaluate PTSD symptom severity. Results : Seroton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TS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36, p=0.006, respectively). M-PTSD (p<0.001), CAPS (p<0.001), HRSD (p<0.001), and HAS (p<0.001) scal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TS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CES score failed to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p=0.96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lasma serotonin and PTSD symptoms. Conclusion : In chronic PTSD patients who have been taking medications, we can not predict treatment effect and symptom severity by measuring only plasma serotonin levels. PTSD is a complicated disorder which may likely be related to a variety of neurotransmitter systems. Therefore, further research which investigate relationships with norepinephrine, dopamine, and other neurotransmitters as well as serotonin is neede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PTSD.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뚜렛증후군 아동의 모발 중금속 분석 (Analysis of Heavy Metals in the Hair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ourette's Syndrome)

  • 조성연;옥선명;이명훈;강민희;김철응;배재남;이정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2호
    • /
    • pp.63-68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exposures to heavy metals with positive diagnosi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ourette's syndrome (TS). Methods :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7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9.9{\pm}2.9$ years of age), 21 diagnosed with Tourette's disorder ($10.7{\pm}2.2$ years of age), and 45 normal control children ($9.6{\pm}0.5$ years of age). A Perkin-Elmer mass spectr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5 heavy metals (Pb, Cd, U, Be, Hg) in hair samples obtained from each participant. Each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compared among the groups by use of a Kruskal-Wallis test. Results : The levels of lead (p=.006) and cadmium (p=.037) observed in the hair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und in the control subj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for heavy metal levels when comparing TS and control subjects. Conclusion : We confirmed that lead exposure is a risk factor for ADHD. We also identified that cadmium may be a new candidate risk factor for manifestation of ADHD. We did not find an association between heavy metals and manifestation of TS.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체간조절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Contro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based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 박삼호;김병수;이명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72-179
    • /
    • 2019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기반을 이용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아급성기 뇌졸중환자 30명을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n=15)과 대조군(n=15)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6주간 주 3회, 1회당 30분씩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기능 향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중재 전 후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균형능력과 상지기능(FMUE), 체간 장애척도(TIS)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5), 두 그룹 간 차이는 버그균형척도(BBS), 일어나 걷기(TUG), 체간 장애척도(TI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 프로그램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익한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중도척수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Noncongenital Spinal Cord Injury)

  • 황혜민;이명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4-45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in belief, perceive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noncongenital spinal cord injury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Methods: A correlational predictive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7 people with noncongenital spinal cord injury with questionnaires in 2012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Results: Pain belie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in belief, perceive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damaged area, and time since injury were discovered to account for 59.1% variance of the quality of life. The variable that most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was pain belief followed b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ain control, social support, and coping skill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noncongenital spinal cord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