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론적 모델링

Search Result 87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계면면적 밀도에 대한 이론적 모델링 연구현황

  • 어동진;이은철;이원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475-480
    • /
    • 1998
  • 계면면적 밀도는 two-fluid 모델에서 각 상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로서 이상유동 현상의 해석을 위하여는 이의 적절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계면면적 밀도의 모델링은 크게 상관식에 의존하는 방법론과 수송 방정식을 사용한 이론적인 접근방식으로 개발되어왔다. 후자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하고 있는 동적 유동조건에 대하여 계면면적 밀도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flow regime의 의존성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계면면적 수송 방정식은 유체입자의 수밀도에 대한 수송 방정식의 통계적인 모델로부터 유도되며 입자들의 상호작용 및 상변화와 관련된 생성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면면적 밀도 수송 방정식 및 그 구성 모델들에 대한 연구현황을 정리하였다.

  • PDF

Narratives of Science Educator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etical Concepts and Modeling: Focus Group Discussions (과학적 이론과 모델의 관계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이야기 - 포커스 그룹 토의 -)

  • Choi, Jinhyeon;Lee, Jong-Hyeok;Lee, Hyekeoung;Ryu, Kumbok;Kim, Kwan-Young;Jeon, Sang-Hak;Lee, Sun-Ky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2 no.4
    • /
    • pp.538-559
    • /
    • 2023
  • In this study, the interplay between models and theories was explored through a series of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involving five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The FGDs were held seven times, beginning with the question of what is modeling in relation to models, which is a current area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Throughout the discussion, several key issues regarding models and modeling were addressed,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ir relationship to theory. A notable finding from this study is that the participants' discussions did not converge into a single viewpoin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models; instead, multiple related issues emerged, leading to attempts to reframe existing concepts and seek new understanding. The study findings relate to three main areas of inquiry: What is the meaning of models or modeling? What is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ls and theories?, and Is modeling possible without a foundation in theory?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ls and theories was discussed in reference to the following points: 1) Is a model to be understood as derived from theory, and is modeling the application of theory to phenomena? 2) Can a model be inferred from theory? 3) Does modeling originate from a specific, structured foundational theory (a framework of empirical knowledge), or is it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integration of various resources without explicit reference to a foundational theory? Based on the study outcomes,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philosophy of science and for researchers and educators working in the realm of science education.

A Modeling of Cylindrical Vibration Gyroscope using Electromagnetic Force (전자기력을 이용한 실린더형 진동 자이로스코프의 모델링)

  • 권혁성;이학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597-2600
    • /
    • 2003
  • 본 논문은 소형화, 저가, 저 소비 전력의 특성을 가지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실린더형 진동 자이로의 기존의 기계적 모델링이 실제 자이로스코프의 특성과 부합하지 않음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기적 해석을 포함하여 기존의 기계적 모델링보다 성능을 향상시켰다. 전자기적 해석은 실린더의 진동 운동에 인해 실린더 내부에 발생된 기전력 성분 측정과 자이로스코프의 전기적 해석이다. 기전력 성분은 자이로 센싱 저항이 실린더 유무에 따른 전압 값 변화로 확인하였다. 전자기적 해석을 포함한 제안된 모델링을 통해 이론적인 자이로스코프의 특성이 실제 자이로스코프 특성에 부합되고 기존 모델링 특성보다 우수함을 비교를 통해 입증하였다.

  • PDF

Functionality Analysis of NURBS Modeling Tools (NURBS 모델링 도구들의 기능분석)

  • Park, K.R.;Choi, J.J.;Chang, D.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3 s.57
    • /
    • pp.19-30
    • /
    • 1999
  • 컴퓨터 그래픽스를 이용하여 3차원 물체를 모델링하는 방법은 그 이론적 배경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직선들과 삼각형 혹은 사각형들을 연결하는 폴리곤 모델링 방법과 NURBS(Non Uniform Ra-tional B-splines)라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곡선 혹은 곡면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고는 이미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들의 기능 중에서 NURBS 모델링 기능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해 본다.

이산사건 모델링 및 관리제어이론

  • 조광현;임종태
    • ICROS
    • /
    • v.6 no.3
    • /
    • pp.68-8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10여년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과 더불어 비약적인 연구발전을 이루어 온 이산사건시스템의 관리제어에 있어서 기본적인 이산사건모델링과 관리제어이론을 설명하고최근의 연구동향 등을 소개한다. 또한 기존의 연속변수시스템과 대비해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적특성을 알아보고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적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형식언어이론에 기초한 논리적 이산사건모델을 소개하고 그 위에서 관리제어이론의 개념을 설명하나다 그리고 제어가능성 및 관측가능성의 관리제어기 존재조건을 토대로 관리제어기의 구현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수행되어온 관리제어에 대한 다방변의 연구 활동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전만해 본다

  • PDF

2-D Forward Modeling on an Explosion Data in Korea (한반도의 폭파자료에 대한 2-D 수치 모델링 연구)

  • Kang, Ik-Bum;Cho, Kwang-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37-139
    • /
    • 2007
  • To enhance capability on discerning local and regional seismic phases, such as, Pn, Pg, Sn, Rg, etc, within the crust, 2-D numerical forward modeling will be applied to the data obtained from local seismic stations by simulating almost all waves including not only body wave but also surface wave generated without having to explicitly include them under consideration of Q factor. In this study, after getting rid of instrumental response by deconvolution, pseudo-spectral method instead of relying on typical numerical methods, such as, FEM(Finite Element Method) and FDM(Finite Difference Method), will be implemented for 2-D numerical forward modeling by considering velocities of P-wave and S-wave, density, and Q factors. Ultimately, the Power of reaching the enhanced capability on discerning local and regional seismic phases will make it easier for us to identify the seismic source, whether it is originated from man-made explosion or pure earthquake.

  • PDF

자기변형(3) - 구동기의 이론적 모델링 -

  • Lee, Ho-Cheol
    • Journal of KSNVE
    • /
    • v.21 no.4
    • /
    • pp.25-29
    • /
    • 2011
  • 자기변형(magnetostriction)에 관한 연재물 3번째로 이번 호부터는 본격적으로 자기변형 현상을 이용한 구동기(actuator)의 이론적인 모델링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아직 필자의 이해의 수준이‘달인’의 경지에 이르지 않은 탓에 대부분의 내용은 기존의 논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거나 여러 논문들 간의 시각의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임에 대하여 사전에 양해를 구한다. 또한 이 연재에서는 주로 구동기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으나 자기변형 물질 역시 피에조 물질과 마찬가지로 센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연재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센서를 설명할 때도 많은 경우 그대로 혹은 약간의 변형을 거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언급해둔다.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에서의 게임이론

  • Seo, Deok-Yeong;Jeong, Jae-Yun;Lee, Yong-H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7
    • /
    • pp.30-39
    • /
    • 2009
  • 게임이론은 경제현상을 분석 또는 예측하는 도구로서 사용되어왔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에 적용하는 의의와 방법을 소개한다. 게임이론은 이기적이기도 하고 이타적이기도 한 사람이 개입하는 시스템을 모델링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자원이 항상 제한적인 모바일 환경에서, 많은 자원을 요구하는 비디오 서비스를 제대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따라서 게임이론을 이용한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모델링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그간의 국내외 연구를 정리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A Study on Using Finite Difference-Time Domain Modeling of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on for Thickness Determination and Rebar Detection in Concrete Specimens (유한차분 시간영역법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두께측정과 철근위치 탐사를 위한 전자기파 전파 모델링)

  • 임홍철;조윤범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4
    • /
    • pp.639-648
    • /
    • 1999
  • 레이더법은 건축구조물에 대한 비파괴 검사의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레이더법을 이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하고, 레이더로 측정된 결과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자기파의 전파에 대한 수치적인 모델링을 통한 이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콘크리트 시편에 전파되는 전자기파를 모델링 하기 위해 유한차분 시간영역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유한차분 시간영역법은 전자파 해석과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차분 시간영역법을 이용하여 두께가 다른 4개의 시편과 두께는 100㎜로 동일하고 피복두께가 다른 3개의 시편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다. 두께 측정 모델링 결과에서는 계산영역의 셀간격과 입사파의 파장/콘크리트 시편의 두께값이 모델링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이 있는 시편의 모델링에서는 0.08%∼0.5%의 오차로 철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research on the AC machine modeling using the d-q transform (d - q 변환을 이용한 교류기 모델링에 관한 연구)

  • Park, Jin-Ho;Hong, Sun-Ki;Kim, Beom-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78-1879
    • /
    • 2011
  • 주로 사용하는 3상 교류 전동기는 3상의 전압, 전류가 인가되며, 이 3상인 a, b, c상 변수들을 변환하여 d. q, 0축으로 이루어진 직교 좌표계상의 변수로 변환하는 것을 좌표 변환 이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교류기의 모델링 또는 해석 시 이 방식을 통하여 실행한다. 기본적으로 좌표 변환 즉 d - q변환은 사용하나 그 이후에 d축과 q축의 전류와 자속쇄교수 구해가는 방식과 d축과 q축을 해석하는 관점의 변화에 따라 모델링에 사용되는 수식이 변환하며 이러한 수식들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함으로써 서로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그 비교를 통하여 교류기에 이론적으로 더 근접하고 단순화된 모델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래서 본론에서는 3가지 모델링을 비교한다. 각각의 모델링마다의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그러한 장단점을 비교하여 교류기에 더 근접한 모델링을 결정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