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력 그래프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icient Storage Management Scheme for Graph Historical Retrieval (그래프 이력 데이터 접근을 위한 효과적인 저장 관리 기법)

  • Kim, Gihoon;Kim, Ina;Choi, Dojin;Kim, Minsoo;Bok, Kyo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438-449
    • /
    • 2018
  • Recently, various graph data have been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networks and citation networks. As the graph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graph historical data for tracking changes and retrieving point-in-time graphs. Most historical data changes partially according to time, so unchanged data is stored redundantly when data is stored in units of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 history storage management method to minimize the redundant storage of time graphs. The proposed method continuously detects the change of the graph and stores the overlapping subgraph in intersection snapshot. Intersection snapshots are connected by a number of delta snapshots to maintain change data over time. It improves space efficiency by collectively managing overlapping data stored in intersection snapshots. We also linked intersection snapshots and delta snapshots to retrieval the graph at that point in time.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s are performed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History Management for Land Information System (지적관리시스템을 위한 객체이력관리기법)

  • 배종철;이화종;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73-375
    • /
    • 1999
  • 지적 객체는 지적소유변경, 토지 분할/합병, 토지 영역경계 변경 등의 사건이 발생함으로써 비공간 또는 공간 속성이 변경된다. 이러한 변경에 대한 정보는 지적 객체의 이력으로써 지적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단일 지적 객체가 가지는 전체 이력 또는 특정 시점이나 기간 동안의 지적 객체 상태에 대한 질의를 수행할 수 있고, 과거 지적 객체가 가졌던 속성 및 형태를 확인하거나 현재의 속성 및 상태와 비교하여 지적 객체의 소유변경 내용, 행정구역상 지번/지목의 변경 과정, 영역 경게 변경 과정 등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시간 지원 지적 관리 시스템에 사건 지향 시공간 데이터 모델인 이력 그래프 데이터모델을 적용하고 객체 단위 이력 질의를 위한 시공간 연산자를 제안함으로써 시간 지원 지적 관리 시스템을 위한 객체 이력 관리 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 PDF

Caching Scheme Considering Access Patterns in Graph Environments (그래프 환경에서 접근 패턴을 고려한 캐싱 기법)

  • Yoo, Seunghun;Kim, Minsoo;Bok, Kyou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9-20
    • /
    • 2017
  • 최근 소셜 미디어와 센서 장비의 기술의 발달로 그래프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 하였다. 그래프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서 I/O 비용이 발생하여 데이터가 많아지면 병목현상으로 인해 데이터의 처리와 관리에 있어 성능에 한계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관리하는 캐시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그래프 데이터의 접근 패턴을 고려한 캐싱 기법을 제안한다. 그래프 환경에서 그래프 질의 이력을 통해 패턴을 찾고 질의 관리 테이블과 FP(frequent pattern)-Tree 통해 선별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시킨다. 또한, 캐시 실패(cache miss)가 발생 하였을 때, 주변의 이웃 정점을 같이 메모리에 적재시킨다. 메모리가 가득 찰 경우 캐시 된 데이터를 퇴출시키는 교체 전략을 제안한다.

  • PDF

Multi-layer Caching Scheme Considering Sub-graph Usage Patterns (서브 그래프의 사용 패턴을 고려한 다중 계층 캐싱 기법)

  • Yoo, Seunghun;Jeong, Jaeyun;Choi, Dojin;Park, Jaeyeol;Lim, Jongtae;Bok, Kyo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70-80
    • /
    • 2018
  •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s, graph data have been using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caching techniques for reducing I/O costs in the process of large capacity graph data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layer caching scheme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the graph,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ph topolog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subgraph usage. The proposed scheme divides a cache into Used Data Cache and Prefetched Cache. The Used Data Cache maintains data by weights according to the frequently used sub-graph patterns. The Prefetched Cache maintains the neighbor data of the recently used data that are not used. In order to extract the graph patterns, their past history information is used. Since the frequently used sub-graphs have high probabilities to be reused, they are cached. It uses a strategy to replace new data with less likely data to be used if the memory is full.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prove that the proposed caching scheme is superior to the existing cache management scheme.

Development of river flood prediction method utilizing water stage-discharge hysteresis (하천 이력현상 활용 하천 홍수예측 기법 개발)

  • Kim, Kyungdong;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19
    • /
    • 2022
  • 하천에 발생하는 홍수를 예측하는 과정은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HEC-HMS 와 같은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산정한 하천의 강우빈도별 설계홍수량으로부터 HEC-RAS와 같은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주로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강우 강도를 통하여 하천에 발생하는 빈도별 유량으로 간접적으로 홍수위를 산정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홍수위 또는 홍수 발생시간을 정확하게 알기 힘들다. 하지만, 최근 하천의 홍수파 또는 배수영향으로 인한 이력현상으로 하천의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량자료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위관측소에 H-ADCP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자동유량측정장치를 설치, 운영하여 실시간으로 유량자료를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유량측정장치에서 측정하는 유량자료는 H-ADCP에서 지표유속으로부터 유량자료를 산정하는데, 홍수파 또는 배수영향으로 지표유속, 유량, 수위의 수문곡선에 발생하는 이력현상을 관측 가능하다. 관측된 수문곡선의 이력현상은 유속, 유량, 수위 순으로 첨두의 발생시간이 나타나는데, 유속의 첨두 발생시간과 수위의 첨두 발생시간은 수문곡선의 형태 또는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유출 모의에 의존한 홍수예보기법을 보완하여 더 정확한 홍수위, 홍수 발생시간을 예측하고, 홍수예경보 시스템에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천에 발생하는 수문곡선의 첨두유속과, 첨두수위의 발생시간, 규모를 분석하여 둘의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대상유역으로 이력현상이 발생하는 영산강유역에 위치한 남평교, 나주대교 두 지점을 선정하고 자동유량관측소 관측자료인 지표유속, 수위자료를 취득한다. 취득한 자료로부터 지표유속의 첨두 값과, 수위의 첨두 값, 지표유속의 첨두지점으로부터 수위의첨두지점 까지 발생하는 시간을 홍수 사상별로 정리하여 첨두유속-첨두수위, 첨두유속-첨두수위발생시간의 관계그래프를 산정하였다. 남평교의 경우 유속-수위의 이력범위는 거의 없었다. 나주대교의 경우 유속-수위 이력범위가 현저히 나타나 관계를 분석하기 용이 하였다. 하천에 이력현상이 현저히 나타나는 경우 첨두유속-첨두수위, 첨두유속-첨두수위발생시간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의 홍수예경보 판단의 정량적 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iagnosing the severity of water stage-discharge hysteresis using water surface slope (수면경사활용 수위-유량 이력현상 현저성 진단기법 개발)

  • Kim, Kyungdong;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4-54
    • /
    • 2021
  • 최근 홍수파 또는 댐 및 보 등의 하천 구조물과, 본류와 지류의 합류로 인해 발생하는 배수영향 등으로 하천에 고리형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하여, 수위-유량관계식으 신뢰도가 저하된다고 판단하여, 대하천 본류와 합류부 인근 지류에 초음파기반유속계(ADCP)의 측정결과를 지표로 활용하는 자동유량관측소가 현재 58개소가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으로 다기능보의 설치 등으로 인해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이 변동되었고, 지류에서 주로 운용하는 수위-유량관계 기반 유량관측소에 수문사상으로 인해 발생한 홍수파 또는 배수영향으로 인한 하천에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할 경우, 지류 수위관측소를 자동유량관측소로 대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유량관측소의 경우 홍수량이 기준이하로 발생할 경우 수위-유량 관계식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지만, 적용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하천의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수위-수면경사의 이력현상도 같이 발생하게 된다. 수면경사의 경우 기존 수위관측소로부터 수위 측정결과로부터 산정할 수 있기에, 수면경사로부터 하천의 이력현상 현저성을 산정할 경우 자동유량 장치를 활용하지 않고 이력현상 현저성 진단을 할 수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자동유량장치 설치, 기존 수위관측소의 자동유량관측소대체, 자동유량관측소에서 수위-유량관계의 활용 기준 마련 등을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상류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측정으로부터 하천의 수면경사를 산정하고 수면경사를 활용하여 수위-유량관계 이력현상의 패턴을 분석하여 현저성을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기능보 설치 및 지류-본류로 인한 지류하천의 배수영향과 홍수파에 의해 발생한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를 다양한 수문사상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대상유역으로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하는 영산강유역에 위치한 남평교, 나주대교 두 지점을 선정하고 자동유량관측소 상류에 위치한 기존 수위관측소의 수위 측정값으로부터 하천의 수면경사를 산정하고 수위-유량관계와 수위-수면경사관계의 패턴을 분석하고, 수위-수면경사의 이력현상으로 부터 수위-유량관계 이력현상의 현저성을 진단하였다. 분석결과 각 수문사상마다 수위-유량관계의 최대이력범위와, 수위-수면경사의 최대이력범위를 각각 무차원화시켜 관계그래프를 산정하였다. 남평교의 경우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현저히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수위-수면경사의 이력범위는 거의 없었다. 나주대교의 경우 수위-유량관계와, 수위-수면경사관계 각각의 이력범위가 현저히 나타나 관계를 분석하기 용이하였다. 또한, 나주대교관측소지점의 분석을 통하여 수위-수면경사 이력범위의 유의 수준을 두어 일정 이력범위(20%)가 발생한 경우,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이상의 이력범위를 수위-수면경사의 이력범위로부터 수위-유량관계의 현저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 PDF

Design of a History Data Management System for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대체에너지원 이력 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계)

  • Oh, In-Bae;Ahn, Yoon-Ae;Kim, Won-Tae;Ryu, Keun-Ho;Kim, Kwang-Deu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0A no.6
    • /
    • pp.757-768
    • /
    • 2003
  • Recently,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energy resources of future due to a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ack of resources and so on.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systems related to renewable energy resources have been driven actively abroad. However, at domestic an efficient history management for renewable energy resource data and web retrieve service are not provid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story data management system for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which stores and manages vast history information of renewable energy resource data systematically. This system collects renewable energy resource data in the outside observation system and stores them in the history database. The stored Information is retrieved through the history query process and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 table, graph, chart and counter line, etc. - on the internet. Especially, the proposed system manages the history data in real-time so the latest information is always provided to the users through the web interface.

Provenance Compression Scheme Considering RDF Graph Patterns (RDF 그래프 패턴을 고려한 프로버넌스 압축 기법)

  • Bok, kyoungsoo;Han, Jieun;Noh, Yeonwoo;Yook, Misun;Lim, Jongtae;Lee, Seok-Hee;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2
    • /
    • pp.374-386
    • /
    • 2016
  • Provenance means the meta data that represents the history or lineage of a data in collaboration storage environments. Therefore, as provenance has been accruing over time, it takes several ten times as large as the original data. The schemes for effciently compressing huge amounts of provenance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venance compression scheme considering the RDF graph patterns. The proposed scheme represents provenance based on a standard PROV model and encodes provenance in numeric data through the text encoding. We compress provenance and RDF data using the graph patterns. Unlike conventional provenance compression techniques, we compress provenance by considering RDF documents on the semantic web.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scheme in terms of compression ratio and the processing time.

Incremental Processing Scheme for Graph Streams Considering Data Reuse (데이터 재사용을 고려한 그래프 스트림의 점진적 처리 기법)

  • Cho, Jungkweon;Han, Jinsu;Kim, Minsoo;Choi, Dojin;Bok, Kyo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
    • /
    • pp.465-475
    • /
    • 2018
  • Recently, as the use of social media and IoT has increased, large graph streams has been generating and studies on real-time processing for them have been actively carrying out. In this paper we propose a incremental graph stream processing scheme that reuses previous result data when the graph changes continuously. We also propose a cost model to selectively perform incremental processing and static processing. The proposed cost model computes the predicted value of the detection cost and the processing cost of the recalculation area based on the actually processed history and performs the incremental processing when the incremental processing is more profit than the static processing. The proposed incremental processing increases the efficiency by processing only the part that changes when the graph update occurs. Also, by collecting only the previous result data of the changed part and performing the incremental processing, the disk I/O costs are reduced. It is shown through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s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s.

On the Efficiency Comparison of Dynamic Program Slicing Algorithm for Software Testing (소프트웨어 테스팅을 위한 동적 프로그램 슬라이싱 알고리즘의 효율성 비교)

  • Park, Soon-Hyung;Park, Man-G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9
    • /
    • pp.2323-2333
    • /
    • 1998
  • Software engineers generally analyze the program behavior under the test case that revealed the error, not under any teneric est cas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ynamic slice consisting of all statements that actually affect the value of a variable occurrence for a given program input.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to make dynamic program slices. The eficiency of this algorithm is evaluated on some developed program. results are shown by a marking table of execution history. Dynamic Dependence Graph, and Reduced Dynamic Dependence Graph, Consequently, the efficiency of the proosed algorithm is also presented by the compariso with algorithm that was announced previous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