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력특성

Search Result 8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easurement of Hysteresis in PZT-Type Tunable Filters Utilizing OFDR (OFDR을 이용한 PZT형 파장가변 필터의 이력 측정)

  • Park, Do-Hyun;Yeh, Yun-Hae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9 no.1
    • /
    • pp.36-42
    • /
    • 2008
  • Implementation of a wavelength-swept source with constant tuning rate adopting a PZT-type tunable filter, requires the knowledge of hysteresis of the filter used. The hysteresis must be considered to avoid any degradation in resolution of the optical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OFDR) system. An optical spectrum analyzer (OSA) could be used to do the hysteresis measurement, but its measurement time is too long for the high-speed driving conditions for the filter. We proposed a new hysteresis measurement method based on OFDR, which could measure the hysteresis in a real driving condition. A hysteresis measurement apparatus consisted of wavelength-swept source, interferometer, signal processing unit, and PC program is built and used to do the measure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new method is useful in the measurement of hysteresis at real driving conditions by successfully implementing a swept-wavelength source whose wavelength change is linear in time.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Wooden Frames of Three-Bay-Straw-Roof House under Lateral Cyclic Load (수평 교번하중에 대한 초가삼간 목조 프레임의 이력특성 평가)

  • 서정문;최인길;전영선;이종림;신재철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 no.3
    • /
    • pp.21-27
    • /
    • 1997
  • In this paper, the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ooden house frame,which is fabricated by Sagaemachum, under cyclic lateral load are presented. Full scale frame models are used in the tests. The skeleton curves of traditional wooden frame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wooden frames which are fabricated using nails or bracings. The equivalent viscous damping ratios of the frame system are about 27% and 13% for ordinary and high-column frames, respectively. The nonlinear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the frame is modeled by the so called Modified Double Target model.

  • PDF

Classification of hysteretic loop feature for runoff generation through a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비지도 기계학습을 통한 유출 발생 내 이력 현상 구분)

  • Lee, Eunhyung;Jeon, Hangtak;Kim, Dahong;Friday, Bassey Bassey;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0-360
    • /
    • 2022
  • 토양수분과 유출 간 관계를 정량화하는 것은 수문 기작 및 유출 발생 과정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유출과정의 특성화는 수문 사상에 따른 불포화대 내 토양수 및 토사 손실 제어와 산사태 및 비점오염원 발생 예측을 위해 필수적이다. 유출과정과 관련된 비선형성과 복잡성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수분과 유출 사이의 이력 거동이 조사되었다. 특히, 수문 과정 내 이력 현상 구체화를 위해 정성적인 시각적 분류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이력 지수들이 개발되었다. 정성적인 시각적 분류는 시간에 따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다중 루프 형상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정량적 평가의 경우 이력 고리(Hysteretic loop) 내 상승 고리(Rising limb)와 하강 고리(Falling limb)의 차이를 기준으로 한 지수로 이력 현상을 특성화하였다. 이전에 제안된 방법론들은 연구자의 판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보편적이지 않고 이력 현상을 개발된 지수에 맞춤에 따라 자료 손실이 나타나는 한계가 존재한다. 자료의 손실 없이 불포화대 내 발생 가능한 대표 이력 현상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해 적합한 비지도 학습기반 기계학습 방법론의 제안이 필요하다. 우리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 사면에서 강우 사상 동안 다중 깊이(10, 30, 60cm)로 56개의 토양수분 측정지점에서 확보된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와 산지 사면 내 위어를 통해 확보된 유출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기존에 분류 방법을 기반으로 계절 및 공간특성에 따라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토양수분-유출 간 이력 현상을 특성화하였다. 다음으로, 토양수분-유출 간 이력 패턴을 자료 손실 없이 형상화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지도 학습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실제 발현 이력 현상 내 확률분포를 최대한 가깝게 추정하는 은닉층을 반복적인 재구성 학습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대표 이력 현상 패턴을 추출하였다.

  • PDF

Behavior of Viscous damper for passive energy dissipation system (제진시스템용 점성댐퍼 이력특성)

  • Choi, Ki-Sun;Cho, Hae-Jin;You, Young-Chan;Kim, K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3-134
    • /
    • 2010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velocity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viscous damper. From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viscous damper showed velocity 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energy dissipation capacity.

  • PDF

Determination of the Strength and Stiffness Degradation Factor for Circular R/C Bridge Piers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강성 및 강도감소지수 결정)

  • 이대형;정영수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73-82
    • /
    • 2000
  • 본연구의 목적은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량 교각의 비선형 이력거동을 해석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반복적인 횡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교각의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도출하고자 수정된 trilinar 이력거동모델을 이용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비선형 거동특성과 각 하중단계에 따른 교각의 중립축을 구하여 소성힌지부의 모멘트와 변형률을 구하고 반복하중하에서의 강성의 변화를 해석적으로 모형화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강성을 갖는 5가지 지선을 갖춘 형태의 이력거동모델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구한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이용하여 축하중비 주철근비 및 구속철근비에 따른 강도감소지수와 강성감소지수의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일반식으로 제안하였다 새로운 이력거동 해석 모델을 프로그램 SARCF III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강도 및 강성감소 현상을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 PDF

Hysteretic Behavior of Steel Slit Damper (강재 슬릿댐퍼의 이력특성)

  • Choi, Ki-Sun;Son, Young-Seon;Cho, Hae-Jin;You, Young-Chan;Kim, K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5a
    • /
    • pp.65-66
    • /
    • 2009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hysteretic behavior of the steel slit damper. From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steel slit damper showed a stable hysteretic behavior with excellent energy dissipation capacity.

  • PDF

Magnetic Hysteresis Curve Tracer using Pulsed Electromagnet (펄스전자석에 의한 자기이력곡선측정기)

  • 이용호;신용돌;이영희;이장로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3 no.2
    • /
    • pp.121-124
    • /
    • 1993
  • 보자력이 큰 강자성체의 자기이력곡선, 자기변형, 자기이방성등의 측정에 사용할수 있는 펄스전자석을 설계제작하였다. 철심의 형상이 주어졌을때 권선의 회수에 따른 전자석의 여러특성과 축전기 방전시의 전류진폭 감쇄비등을 계산하는 일반식을 유도하고 그것에 의하여 철심단면적 46 nm * 32 nm, 공기간격 28nm의 전자석을 설계 제작하여 20 mT/A의 기울기로 0.49 T까지 직선적인 자기장 대 전류특성을 얻었다. 이 전자석에 에너로그 적분기에 의한 자속계를 부쳐서 박막 또는 박대시료의 major 및 minor 이력곡선을 단번에 쉽게 얻을 수 있는 자기이력곡선 측정기가 구성되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Brace with Elasto-Plastic Hysteretic damper (탄소성 이력 댐퍼가 부착된 브레이스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Oh, Sang Hoon;Ryu, Hong Sik;Moon, Tae 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7 no.5 s.78
    • /
    • pp.617-625
    • /
    • 2005
  • The brace is often used to resist lateral force such as that exerted by an earthquake. Because of buckling at bifurcation load, the brace shows unstable hysteretic characteristics in the plastic zon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race with damper that consists of slit plates were suggested on the purpose of preventing buckling and increasing plastic deformation capacity. The experimental results regarding the brace member were analyzed and the feasibility was also examined.

A Simulato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Historical Data Compression Algorithm (이력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

  • Yoo, Min-Hyung;Kim, Ho-Young;Han, Sang-Hyuck;Kim, 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82-184
    • /
    • 2012
  • 산업분야에서 이용되는 이력 데이터는 압력, 부피, 온도, 볼트, 전류, 전압 등 각종 제어기나 센서에서 발생하는 입력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로, 데이터의 값이 일정하거나 값의 폭이 좁고, 많게는 수만 개의 포인트가 실시간으로 수집, 저장되어지는 대용량의 데이터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이력 데이터는 이력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전체를 대표하는 데이터의 일부만을 저장함으로써 이력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공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력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관하기 위해 이력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미 알려져 있는 이력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과 개발하고 있는 알고리즘의 성능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는 개인이나 소규모 집단만을 위해 만들어지거나, 공개되지 않고 있어 사용하기에 제한적이다. 이에 이력 데이터 압축 성능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인 HDCS(Historical Data Compression Simulator)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eel Hysteretic Dampers with E-Shape Elements (E-Shape 강재이력댐퍼의 거동 분석)

  • 김인배;강형택;이민구;서주원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457-464
    • /
    • 2003
  • 최근 교량의 건설에 있어서 내진설계가 주요문제로 부각되면서, 구조물의 진동응답을 제어 하는 갖가지 형태의 진동제어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LRB(Lead Rebbe. Bearing), LUD(Lock Up Device)등 다양한 지진격리장치가 설계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설계변경 .내진보수보강과 같이 제약 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유용한 면진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진격리장치는 기본적인 설계특성인 수평강성, 감쇠성능에 대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지진과 같은 동적하중에 대하여 하중속도, 수직력, 변형률 등에 대한 의존성과 내구성의 검토가 필요하며 유사장치에 대하여 검증실험기준의 정립이 진행 중에 있다. 강재이력댐퍼인 E-Shape 댐퍼는 지진격리장치로서 교각의 고정단에 교좌장치로 설치되어 상시에는 탄성영역 내에서 거동하는 고정단의 역할을 하다가, 지진발생시에는 E-Shape형태의 강재댐퍼가 소성변형을 통한 이력거동으로 에너지 소산기능을 가진 교좌장치이다. 최근 LRB에 대하여는 다양한 특성실험이 수행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강재이력댐퍼에 대하여는 이러한 검증실험이 수반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연구에서는 E-Shape 강재이력댐퍼에 대하여 연직하중, 수평변형률, 수평속도에 패한 동적특성을 평가함으로서 강재이력댐퍼를 이용한 지진격리설계의 타당성과 면진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