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러닝 참여도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4초

컴퓨터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The Evaluation of a Cooperation with computer which affects to the achievement degree for studying)

  • 조연희;이윤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96-1399
    • /
    • 2007
  • 컴퓨터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컴퓨터 보유 가정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이 늘어나고, 활용분야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과거의 교수-학습 방법과는 달리 최근에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E-러닝, ICT, 컴퓨터 활용, 인터넷 등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협동심과 책임감을 요하는 협동학습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런데, 협동학습의 집단은 크게 인문계열, 실업계열 고등학생 집단과 중학생 집단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하는 정도와 이용시간 등을 학습에 얼마만큼 도움이 되는지 분석하고, 계열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학생들의 집단에서 개인의 적극성과 참여정도에 대한 영향이 집단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들의 성적차이의 관점을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주변 환경에 따른 영향력의 정도, 협동학습의 결과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평가한다.

  • PDF

뇌파기반 정신적 피로 판별을 위한 딥러닝 모델 (Deep Learning Model for Mental Fatigue Discrimination System based on EEG)

  • 서쌍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95-301
    • /
    • 2021
  • 개인의 정신적 피로는 인지능력 및 업무 수행능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고의 주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EEG 기반의 정신적 피로 판별을 위한 CNN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안정 상태와 작업 상태에서의 뇌파를 수집하여 제안한 CNN 모델에 적용한 후 모델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모두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오른손잡이 남학생들이며 평균 나이는 25.5세이다. 각 상태에서의 측정된 뇌파에 대해 스펙트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CNN 모델의 입력데이터로써 원시 EEG 신호, 절대파워, 상대파워를 사용하여 CNN모델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알파대역 후두엽 위치의 상대파워가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모델정확도는 훈련데이터 85.6%, 검증데이터 78.5%, 시험데이터 95.7%이다. 제안한 모델은 정신적 피로 판별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Massive Open Online Courses)

  • 배예선;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05-3012
    • /
    • 2014
  •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 열풍이 불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MOOC는 온라인상에서 누구나 수강할 수 있게 공개된 강의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도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와 각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MOOC의 현황과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MOOC의 정의와 역사, 국내외 현황을 소개한다. 또한 개선안으로서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와 캠퍼스 가치 창출, MOOC 기관의 수익모델 개발과 수료율 향상,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개발과 우수 강사 확보, 강의 번역 등의 과제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MOOC가 제공하는 인증 시스템의 질 확보 문제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e-learning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Management of Libraries for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Environment)

  • 김소영;차미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38권3호
    • /
    • pp.137-160
    • /
    • 2007
  • 본 연구는 e-learning으로 변화된 대학의 강의환경을 반영하여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의 의의와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 환경에서 요구되는 서비스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도서관 강의지원 서비스와 대학의 e-learning 환경의 개념 및 특성을 밝히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강의지원 서비스 현황 및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현황 파악을 위해 현재 강의지원 서비스를 제공 중인 국내 48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32개 관(67%)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강의지원 서비스운영방안을 인력 및 조직, 자원과 서비스, 정보기술, 커뮤니케이션과 홍보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영국 NRICH 웹사이트 운영과 콘텐츠 연계 방식 고찰 (An Analysis of Operating System and Contents Connection of NRICH Web Site)

  • 박지환;송명선;홍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3호
    • /
    • pp.217-234
    • /
    • 2015
  • 수학 교과에서는 컴퓨터와 인터넷 환경을 교수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다. 그러나 수학 교수 학습 웹사이트 운영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Millennium Mathematics Project' 사업의 일환으로 1997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NRICH 웹사이트의 운영 방식, 웹사이트 체계, 콘텐츠 내용, 콘텐츠의 연계 방식 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제 중심의 콘텐츠 구성, 지속적 장기적 자료 축적, 이용자들의 참여 유도, 다양한 협력 사업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수학교육을 위한 화상교육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Real-Time Video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 박지수;최범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2021
  • 실시간 화상교육은 원격지에서 강의자와 학습자의 면대면 교육을 대체하는 효과적인 수업 운영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영상통화 및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영상을 통한 강의에 치중하게 되어 어학교육에서 효과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외의 교육에서는 활용도가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영상 중심의 화상 교육이 있으면서 화상 회의 시스템이 가지는 영상 중심 화상교육의 제한점을 개선하여 강의자와 학습 참여자 모두에게 수업 중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교육에서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화상 시스템의 설계 모델을 제시한다.

패싯 기반 민원 다차원 분석을 위한 자동 분류 모델 (A Study on an Automatic Classification Model for Facet-Based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Civil Complaints)

  • 김나랑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35-144
    • /
    • 2024
  • 시민의 의견인 민원은 다양한 사람들이 여러 주제에 대하여 반복·지속적으로 실시간 쏟아내기 때문에 담당자가 이를 읽고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주요 현안에 대한 여론 및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성적인 분석에 패싯을 기반으로 한 정량적인 다차원 분석을 위한 자동 분류 모델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패싯 이론과 정치분석모형을 기반으로 민원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정책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둘째, 민원 분석 및 처리에 따른 행정 업무를 감소시키고, 시민들의 정책참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딥러닝을 활용하여 패싯 분석 프레임에 의해 자동으로 속성을 추출하고 분류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문적으로 민원 빅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여 향후 많은 후속 연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공공분야를 넘어 교육, 산업, 의료 등 다른 분야에서의 비정형 데이터의 계량화를 위한 가이드 라인과 다차원 분석의 활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 대용량 전자 민원에 대한 처리체계 개선 및 딥러닝을 통한 자동화로 민원처리 업무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분야의 텍스트 데이터의 처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교사를 위한 머신러닝 활용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bout State Classification of the Matters using Machine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소율;이영준;백성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9-149
    • /
    • 2022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역량을 함양하고, 동시에 학생의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의 상태 분류를 주제로 머신러닝포키즈와 스크래치3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15주차 분량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K대학교 예비교사들에게 처치되었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머신러닝의 학습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의 학습 과정을 비유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의 사전-사후 t검정 결과는 t=-7.137(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교생실습 외에 비간접적인 방식으로 예비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 인공지능 교육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초등학교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제점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usefulness and problems of smartpad-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 임정훈;안순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5-87
    • /
    • 2014
  •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 도구로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유용성, 운영상 문제점을 질적 분석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스마트 클래스가 구축된 수도권 D초등학교 4학년, 5학년 2개 학급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촬영한 뒤 수업활동을 분석하였고 수업에 참여한 교사 2명과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관찰한 수업내용과 인터뷰 자료들은 근거이론에 기반한 코딩방법을 사용하여 범주화 과정을 거쳤으며, 자료분석 도구로는 Nvivo 8.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은 협업과 상호작용 촉진, 다양한 자료와 SNS의 효과적 사용, 수업집중도 향상, 기기 대기시간 단축 등과 같은 유용성이 있는 반면, 학습지원도구의 부족 및 실천모형 부재로 인한 수업진행의 어려움, 기능숙달에 과다한 시간의 투입, 활동에 비해 낮은 학습효과, 수업몰입의 방해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향후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실천과제들이 제안되었다.

컨테이너 터미널 내 반출입 차량 체류시간 예측 모형 (Prediciton Model for External Truck Turnaround Time in Container Terminal)

  • 김영일;신재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7-33
    • /
    • 2024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컨테이너 터미널 내 혼잡도 증가에 따라 반출입 차량 작업 대기 및 체류시간이 급증하여 반출입 작업 비효율이 극심한 실정이다. 이에 항만 당국은 반출입예약시스템(Vehicle Booking System; VBS)을 구축하여 시범운영 중에 있으나 이해관계자 간 정보공유 문제 및 컨테이너 운송 주체의 미온적 참여 등으로 인해 개선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출입 차량의 작업 대기 및 체류시간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딥러닝 기반의 반출입 차량 체류시간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반출입 운영 데이터를 통해 제시한 예측 모형을 실험하고 실제 데이터와 비교하여 예측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제시한 예측 모형이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