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평균

Search Result 2,92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Optimal Adjustment of Misestimated Control Model for a Process with Shift and White Noise (백색잡음과 Shift가 존재하는 공정에서 제어식이 부정확한 경우의 최적 보정)

  • Hwang, Ji-Bin;Kim, Ji-Hyun;Lee, Jae-Hyun;Kim, Sung-Shic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6 no.4
    • /
    • pp.43-55
    • /
    • 2007
  • Moving average(MA) and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EWMA) are the two most popular control methods in manufacturing. Both methods are optimi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exact control equation is known.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rising from estimation errors. Based o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parameter and the range of the weight parameter $\lambda$, the limitations are identified and the performance of methods are evaluated. Optimal adjustment for process shift with misestimated control model and its application control methods to actual process is researched. The efficiency of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 PDF

Long Terms Baseflow Separation Using Moving Average Method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장기간 기저유출분석)

  • Lee, Sang-Sin;Lee, Sang-Il;Kim, Jo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33-1237
    • /
    • 2010
  • 강변여과는 지표수와 지하수가 각기 갖는 장점과 제약점을 상호 보완하여 수질이 양호한 상수원수를 대량 확보하기 위한 실제적 대안이다. 자연적인 여과작용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어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장기간 취수는 지하수위의 저하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유역의 수문분석을 통한 기저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상지역으로는 현재 강변여과를 개발중인 창원시 대산정수장 취수장 지역이며, 대상지역의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대상지역 상류에 위치한 낙동강 본포교의 낙동강 유량을 기초로 기저유출량을 산정하여 지하수 함양율을 평가하였다. 수문곡선 분리는 여러 방법 중 다른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 수평직선분리법을 사용하여 적정 취수 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한 최소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보유 자료 중 연 평균 최저 유출량을 보인 2008년 가을 갈수기의 시작(2008년 10월)부터 2009년 가을 갈수기의 시작(2009년 10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했다. 본포교 유량 자료는 8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결측치는 최인접 두 지점 사이의 선형보간법으로 보완했다. 다소 많은 양의 결측치에 대한 보정과 해당 유역의 연간 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적용했으며, 적용 결과 관측 주기에 해당하는 10일 이동평균 유출수문곡선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이동평균에 의한 유출수문곡선에 의하면 상승부의 기점은 2009년 6월 12일로 나타났으며 유출량은 47.87cms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 기저유출량은 상승부 기점의 유출량으로 111일 동안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총량은 약 45,900만$m^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 본포교를 유역출구로 하는 이 유역에는 임의 유출이 생기는 호우사상 시, 기저유출량은 총 유출량의 6.38%를 최소한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Multiple Human Tracking using Mean Shift and Disparity map with an Active Camera (Mean Shift와 변위지도를 결합한 카메라 이동환경에서의 다수 인체 추적)

  • Hong, Soo-Youn;Byun, Hye-R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01-903
    • /
    • 2005
  • 본 논문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 카메라 환경에서 다수의 사람을 검출하여 검출된 사람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가 이동하게 되면 카메라의 움직임과 검출 대상이 되는 사람의 움직임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카메라 움직임을 변환 모델을 사용하여 보정하고, 독립적인 움직임을 추출하여 사람을 검출 하였다. 추적은 검출된 사람 영역의 컬러 분포에 기반하여 평균 이동(Mean Shif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평균 이동 알고리즘은 빠르고 안정적인 성능으로 실시간 추적에 적합하다. 그러나 객체의 컬러 정보만으로는 배경과 컬러 분포가 유사한 객체의 경우 추적에 실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변위 지도(Disparity map)를 결합하여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는 깊이 마스크를 생성하였다. 변위 지도를 사용하여 다수의 사람이 등장 할 경우 발생하는 가려짐, 겹침 등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정확한 검출과 추적에 우수한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Study on Korean and American Case for Improving Calculation of Dam Inflow (댐 유입량 산정 개선의 한미 사례 비교 연구)

  • Noh, Jae-Kyoung;Lee, Han-Goo;Lee, Tae-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89-694
    • /
    • 2008
  • 댐 유입량은 댐 운영의 필수 인자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고, 하천유량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수자원의 운영 뿐 아니라 계획에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계산된 유입량은 평갈수기에 진폭이 너무 크게 나타나고 심지어 음 유입량이 발생하는 등 개선이 요구돼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간격을 10분, 30분, 1시간 등으로 하고, 수위와 방류량이 유입량에 직접 영향을 끼치고, 관측수위의 단위가 크고, 그 진폭이 자연현상과 거리가 있어, 수위 이동평균, 수위 보간, 방류량 이동평균 등의 조합에 따라 댐 유입량의 계산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쉽게 분석, 평가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개발하였으며, 유역면적 $4,134km^2$인 대청댐과 유역면적 $108,335mi^2$인 미국의 Lake Powell의 사례에서 크게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정확하게 측정된 댐 유입량 자료가 없기 때문에 개선된 계산 유입량이 참 값이다 주장할 수 없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며, 연구결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현재 정밀하게 측정된 댐 유입량 사례를 조사 중에 있다. 그림 1은 Lake Powell의 처리전의 댐 유입량 계산 예이고 그림 2는 처리후의 개선된 유입량이다. 그림에서 유입량이 크게 개선돼 계산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결과가 참값인지 아직 판단할 수 없다. 대청댐의 경우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VoIP Quality Metric and Quality-based Accounting Scheme (VoIP 품질 측량 도구 및 품질 기반의 요금 부과 방안 연구)

  • Jung, Youn-Chan;Ann, Ibanez A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1B
    • /
    • pp.27-34
    • /
    • 2010
  • As VoIP systems move to wireless environments with much higher average packet loss rates than wired networks, it becomes less possible for the network to assure a reasonable QoS. So, real-time quality monitoring for mobile VoIP applications is an important issue to be explored. In this paper, we explore perceptual quality dependency on two parameters: the burst loss rate and average burst length. Also, we propose a simple 'moving average' approach with $\alpha$ aiming to measure those parameters on real-time basis. In order to find how accurately the two parameters measured estimate the real perceptual quality, we compare actual measured PESQ scores with estimated value by matching the measured quality metric to the trained MOS table. Finally, we propose the quality-based accounting system, which can set obvious continuities between quality and billing.

A Study on Services and Programs of Bookmobiles in Korea (국내 이동도서관의 서비스와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 Cho, Yong-W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1
    • /
    • pp.99-12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ervices and programs of bookmobiles in Korea. To do this, a questionnaire containing 22 questions on basic information, scheduling and stops of bookmobiles, services and programs of bookmobiles, promotions and needs assessment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7 foreign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bookmobile services. 74 questionnaires from bookmobiles belonging to public libraries and Saemaul bookmobiles were analysed. As a result, many parts of the results including operation days per week, stops per day, operation hours per stop, visiting cycle, circulation per day, circulation period and circulation volume and promotion conformed to foreign standards and guidelines but the others did not conformed to them. Also, there were more group differences in services and programs between bookmobiles belonging to public libraries and Saemaul bookmobiles than between bookmobiles i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The Study of Implementation of the Hewlett-Packard Mobility Model (Hewlett-Packard 이동도 모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김중태;이은구;강성수;이동렬;김철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6b
    • /
    • pp.165-168
    • /
    • 2001
  • 고 전계하에서 수직 및 수평 전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Hewlett-Packard 이동도 모델을 구현하였다. HP 이동도 모델은 BANDIS에 구현되었다. 구현된 HP이동도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N-MOSFET과 P-MOSFET에 대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MEDICI와 비교한 결과, 드레인 전압-드레인 전류는 5% 이내의 최대 상대 오차를 보였고 전위 분포는 5% 이내의 최대 상대오차를 보였다. MEDICI에서는 1회 수렴을 하기위해 평균 4.6회 이하의 행렬 연산이 필요한 반면 BANDIS에서는 평균 4.3회 이하의 행렬 연산이 필요하다.

  • PDF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Considering Infiltration Rate in Gyeongsang-Do Region (침투율을 고려한 경상도 지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

  • Kim, Nam-Ki;Yang, Jeong-Seok;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91-1995
    • /
    • 2010
  • 도시화로 인한 토지 피복 상태의 변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로 침투하지 못하고, 바다로 유출되는 강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구의 증가와 산업발달에 따른 무분별한 지하수의 사용은 심각한 지하수위의 하강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하수위와 강우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 및 운용을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의 지하수위 관측소와 강우 관측소간의 거리가 10km 이내인 지점을 선정하여, 관측 자료와 분석결과를 토대로 13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침투현상이 침루과정을 거쳐 지하수에 유입되는 과정을 고려하면 강우가 발생한 시점보다 시간이 경과 한 후에 이 지점의 하루에 내린 강우량이 이틀에 걸쳐 지하수위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고, 1일째의 강우를 실제 강우량의 최대 100%에서 50%까지로 설정하고 2일째에 나머지 강우가 내렸다고 가정하여 각각의 강우이동평균값과 지하수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계침투량을 고려하여 강우이동평균값과 지하수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계침투량 고려시 상관계수가 0.5 이상인 지점들 중 약 70%가 강우량을 강우사상이 발생한 당일과 명일로 나누었을 때,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존 강우와 지하수위 관측자료만 이용하여 강우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 보다 침투율을 고려한 강우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인해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와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Hampel Filter to outlier check for river water level data (하천수위 자료 이상치 점검에 대한 Hampel 필터의 적용성 평가)

  • Park, Heeseong;Kim, Hyo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2-352
    • /
    • 2022
  • 수위자료는 기초 수문자료의 하나로서 자료 수집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이상치 여부를 점검하여 이상치로 확인된 경우 소거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처리를 해야 한다. 수위자료의 이상치 점검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아직 일반화된 방법은 없다. 이에 다양한 방법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Hampel 필터는 신호처리 시 신호의 이상치를 찾아 보완하려고 개발된 필터이다. 시계열자료에서 이상치를 감지하는 고전적인 접근 방법은 이동평균과 이동표준편차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고전적인 이동평균과 이동표준편차는 이상치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이상치의 추정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하여 Hampel 필터는 이동평균 및 이동표준편차 대신 중앙값과 중앙값 절대편차(Median Absolute Deviation; MAD)를 이용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Hampel 필터는 신호처리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부드러운 Sine 곡선에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이미 하천수위 변화보다는 부드러운 변화를 보이는 저수지수위의 이상치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변화가 급격하고 첨두가 발생하는 하천의 수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호처리에 사용되는 Hampel 필터를 이용하여 수위자료의 이상치 점검에 적용하고 과거 자료에 기록된 실제 이상치 자료와 비교하여 그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 PDF

Real-time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for Improved accuracy of Ship-inside the anomaly detection (선박내부 이상감지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실시간 신뢰구간 추정)

  • Kim, Yeong-Ju;Heo, yu Kyung;Jeong, Maj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721-723
    • /
    • 2014
  • 본 논문은 선박내부의 센서데이터 이상감지를 위해 실시간 신뢰구간을 설정하고 신뢰구간을 초과하거나 미만이 되면 경보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모니터링을 위한 신뢰구간 추정이다. 여기서, 이상 감지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단순지수평활법과 이동평균법의 평균제곱오차를 비교 평가 하였다. 실험결과, 이동평균법의 평균제곱오차가 단순지수평활법 보다 적게 나와 선박 내부 모니터링을 위한 신뢰구간은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