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동공간

Search Result 3,66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Generation of the Moving Object Trajectories on Indoor Space (실내 공간 이동객체의 궤적 데이터의 생성)

  • Kang, Hye-Young;Li, H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51-56
    • /
    • 2008
  • 이동컴퓨팅과 센서, GPS 기술의 발됨에 따라,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서 이동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응용분야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이동 객체의 궤적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응용분야들의 경우, 실제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 하거나 이용이 제한되어 있어서, 실제의 속성을 반영한 합성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동 객체 궤적 생성치는 실내 공간에서 이동하는 객체의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내 공간에서 이동하는 객체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실내 공간 이동 객체의 궤적 생성기를 구현한다.

  • PDF

Re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재론(再論))

  • KIM, Kiduk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57
    • /
    • pp.197-22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judgement that there was a need to make several mentions by reference to studies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The judgement was not about the dimension that there was a problem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existing village bu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make a fresh reorganization of it in a little more detail.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seven spac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It attempted to analyze it by dividing it into four spaces such as ① natural space, ② residential space and work space, ③ moving space and boundary space and ④ play space and ritual space to fit its basic nature. First of all, it made a pictorial presentation of the basic form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farming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most general and whose form has been handed down up to the present. And it described the composition of each space accordingly. It was not intended for a specific village. So it presented the historical change, the behavior of the members surrounding the village an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village, which were judged to be very important in explaining the items of the composition of each spa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 Korean village well embodied the framework of their life in terms of their view of nature, lifestyle and worldview. The view of nature act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village as a whole and is well reflected in the natural space in particular. Their lifestyle is reflected in the residential space, farming space, moving space and play space, and their worldview is spcifically mirrored in the boundary space and ritual spac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take a look at the element of Feng-Shui in discus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villag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for Age-Specific Migration Characteristics :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 (ESDA) : 대구시를 사례로)

  • Kim, Ka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590-609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nd evaluat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methods for examining age-specific population migration characteristics. First, population migration pyramid which is a pyramid-shaped graph designed with in-migration, out-migration, and net migration by age (or age group), was developed as a tool exploring age-specific migration propensities and structures. Second, various spatial statistics techniques based on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such as Local Moran''s $I_i$, Getis-Ord ${G_i}^*$, and AMOEBA were suggested as ways to detect spatial dusters of age-specific net migration rate. These ESDA techniques were applied to age-specific population migration of Daegu Metropolitan City. Applic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suggested ESDA methods can effectively detect new information and patterns such as contribution of age-specific migration propensities to population changes in a given region,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age groups, hot and cold spot of age-specific net migration rate, and similarity between age-specific spatial clusters.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Spatial Indices for Moving Object Database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의 공간 색인 성능평가)

  • 이주형;김진덕;전봉기;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93-195
    • /
    • 2001
  • 이동체는 끊임 없이 위치 정보를 변경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빈번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는 이동체에 대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의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체의 공간 데이터 표현 방법과 색인 변경 정책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색인 변경 정책에 따른 공간 색인별 성능 평가와 구축된 공간 색인의 영역 질의 처리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 평가기를 설계한다. 실험을 통해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색인을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실험 결과물의 하나인 성능 평가기를 사용하여 향후 개발할 이동체를 위한 새로운 색인에 대한 성능 평가도 수행할 수 있다.

  • PDF

Similarity measures fo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셀룰러 공간에 존재하는 이동객체 궤적의 유사성 측정)

  • Kang, Hye-Young;Kim, Joon-Seok;Hwang, Jung-Rae;Lee,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3
    • /
    • pp.291-301
    • /
    • 2008
  • While most GIS are based on Euclidean space, cellular space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ype of space for a large number of GIS applic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pattern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we need new definitions of similarity between their trajectories since the trajectory in cellular space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ose in Euclidean space.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perties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we propose several similarity measures between trajectories in cellular space. We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proposed measures by experiments.

  • PDF

Tracking in Indoor Symbolic Space with RFID Sensors (RFID센서를 이용한 실내 기호공간내의 이동객체의 위치 추적)

  • Kang, Hye-Young;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7-9
    • /
    • 2010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의 위치를 향상 명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추적 가능 실내 기호 공간(Trackable Indoor Symbolic Space)을 정의하고, 이러한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규칙들을 제안한다 위치를 좌표로 나타내는 실외 공간의 응용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실내공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위치를 방 번호와 같은 기호적 값으로 표현하는 기호참조체계를 이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내기호공간의 개념과 실내 기호공간에서의 이동객체의 위치 추정에 대해 소개하고, 추정 가능한 실내공간을 만들기 위한 규칙과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Synthetic Trajectory Generation Tool for Indoor Moving Objects (실내공간 이동객체 궤적 생성기)

  • Ryoo, Hyung Gyu;Kim, Soo Jin;Li, Ki Jou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59-66
    • /
    • 2016
  • For the performance experiments of databases systems with moving object databases, we need moving object trajectory data sets. For example, benchmark data sets of moving object trajectories are required for experiments on query processing of moving object databases. For those reasons, several tools have been developed for generating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s or road network spaces. Indoor space differs from outdoor spaces in many aspects and moving object generator for indoor space should reflect these differences. Even some tools were developed to produce virtual moving object trajectories in indoor space, the movements generated by them are not realistic.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ving object generation tool for indoor space. First, this tool generates trajectories for pedestrians in an indoor space. And it provides a parametric generation of trajectories considering not only speed, number of pedestrians, minimum distance between pedestrians but also type of spaces, time constraints, and type of pedestrians. We try to reflect the patterns of pedestrians in indoor space as realistic as possible. For the reason of interoperability, several geospatial standards ar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ool.

2D Map-Based Navigation in 3D Virtual Environment (2차원 Map 기반 3차원 가상공간 Navigation)

  • Gwon, Tae-Uk;Choe, Yun-Cheo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4
    • /
    • pp.327-337
    • /
    • 2001
  • 이 논문에서 제시된 2D Map-Based Navigation (MBN)은 다중 사용자 환경의 가상공간을 이동할 때, 실세계와 유사한 이동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공간에 대한 현장감 및 현실감의 제고에 초점을 두었다. MBN은 사용자들이 가상공간에서 발생하기 쉬운 spatial loss를 방지하고, 이동 시 부가적인 입력이 없이도 일정한 속도로 이동을 지원하는 Automatic Constant-velocity Navigation, 이동중 장애물 및 다른 사용자(아바타)와의 충돌현상을 감지 및 회피하는 Collision Detection and Avoidance, 그리고 충돌회피 후 기존 방향으로의 계속된 이동을 지원하는 Path Adjustment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MBN은 spatial loss의 방지, 사용자의 부가적인 노력의 감소 및 병행작업의 보장, 현실과 유사한 사용자 중심의 navigation 기법의 제공, 그리고 가상공간과 현실과의 괴리를 줄임으로써 가상현실이 추구하는 현실감 및 현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MBN이 사용자 중심의 매우 자연스럽소, 쉽고 편리한 가상공간 navigation 인터페이사라는 평가를 얻었다.

  • PDF

Location Generalization Method for Pattern Mining of Moving Object (이동 객체의 패턴 마이닝을 위한 위치 일반화 방법)

  • Ko, Hyun;Kim, Kwang-Jong;Lee, Y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05-408
    • /
    • 2006
  • 사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개인화되고 세분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이동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시간 패턴 탐사가 필요하다. 기존의 시간 패턴 탐사 기법들은 이동 객체의 시간에 따른 공간 속성들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거나, 시공간 속성을 동시에 고려한 패턴 탐사는 가능하나 제약을 가진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패턴 탐사 문제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동 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들에 대한 시공간적 속성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다양한 이동 패턴들 중 공간 제약을 만족하는 패턴들을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이동 패턴 탐사 기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패턴 탐사 기법의 개발을 위해서는 상세 수준의 위치 이력 데이터들을 공간 영역 정보 형태로 변환하는 위치 일반화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위치값과 공간 영역간의 위상 관계를 고려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 속성에 대한 공간영역으로의 일반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 객체의 상세 수준의 위치 정보에서는 의미있는 패턴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일반화된 데이터 집합을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이동 객체의 시간 패턴 마이닝을 유도할 수 있다.

  • PDF

Urban Machine Space as (Non-)Place: Interpreting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비-)장소로서 도시 기계 공간 -대구 지하철 공간의 기호적 재현에 대한 해석-)

  • Lee, Hee-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3
    • /
    • pp.301-322
    • /
    • 2009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as the urban machine space of local mobility in terms of space, time and place. For this,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reviews the contours of the urban space of mobility in terms of 'machine space', 'non-place' and 'cognitive map'. The third section interprets the sings of 'spatial' and 'temporal'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 semiotic representations. It is uncovered that various sign-scapes which coexist in the subway space in coordinated or contradictory ways product the space into multiple and complex techno-social spaces. That is, the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of the subway space form the space of 'non-place' on the one hand and the space of 'place' on the other hand, and involve the spatialization of 'memory' on the one hand and the spatialization of 'forgetting' on the other hand. Thus, the subway space should be regarded to be not only the space of 'mobility' which people move in and through, but also the space of 'identity' which has effects on the ways for them to see the machine space and its urban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