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학 교육

Search Result 1,446,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의학교육에서 medical simulation의 세계적 동향

  • Yun, Yu-Sang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 /
    • v.8 no.1
    • /
    • pp.55-59
    • /
    • 2006
  • 현대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 의학교육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분야가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이다. 시뮬레이션은 과거 강의 위주의 교육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학생으로 하여금 임상에 가까운 상황에 접하게 함으로써 임상 진료 및 위기 상황을 경험하게 하여 지식과 수행을 통합하는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임상 경험을 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위해가 가해질 가능성이 없고, 학생에게도 안전한 교육 방법으로써 세계 여러 국가들이 도입한 교육 방법이다. 물론 시뮬레이션 교육은 비용과 시설 및 인력 요건의 구비가 상당히 많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시뮬레이션에 투자하는 것은 의학교육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한국의 의학교육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과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이 도입되는 등 급격한 변화의 바람이 불면서 의학시뮬레이션 센터를 구축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의 세계적 동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시뮬레이션은 의료인의 자질 함양은 물론 환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Past, Present, and Future of Psychosomatic Medicine in the Field of Korean Medical Education (한국 의학 교육에서 정신신체의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 Kim, Eui-Joo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0 no.1
    • /
    • pp.14-17
    • /
    • 2012
  • There were several documents that might reflect the great concern on the educat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in medical school from the 1960s. But the hour of class and proport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have been quite small among the total lecture time of psychiatry.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biopsychosocial perspective in practice and research there have been no agreement on the goal and content of teaching psychosomatic medicine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ic activity in the hospital were currently under-developed and educational content and process were not systematic. We should have established the goal of psychosomatic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that includes making doctor who could not only cure disease but also care the ill patients. And we should develop the curriculum that covers essential area of psychosomatic medicine and checking system to monitor the process of education. With the continuance of psychosomatic perspectives from medical school education to clinical subspecialty we can make progress in this field.

  • PDF

의학교육입문검사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 An, In-Seop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 /
    • v.4 no.1
    • /
    • pp.1-15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입문검사의 개념의 틀을 형성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의학교육입문검사라는 의학 적성측정도구를 개념화 하기위하여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적성 검사와는 달리 의학적 인지능력 정의적 심리 구인과 의학관련 배경지식과 사고라는 의학적 적성 스펙트럼을 만들고자 한다. 한국 상황에서 적용가능하고 21세기에 요구하는 의학교육입문검사를 개념화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고자 했다. 둘째, 이 연구는 의학교육입문검사의 개념의 틀 위에서 각 개념을 양화를 통한 측정도구의 가능성을 열었다. 셋째, 본 연구는 본 검사를 통하여 의학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지원 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개인의 정보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학생 선발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 자료를 제공해 입시사정에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실제적 가치를 갖고 있다.

A Study of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 윤영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1
    • /
    • pp.131-146
    • /
    • 2003
  • This paper examines few approaches to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 those of North Americ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and Korea and the various opinions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ducation fe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it suggests the educational system for medical librarianship practicable in Korea, including formal degree programs, continuing education and medical librarian certificate program.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of Korean and Americ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s to Improve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for User Services: Focusing on MLA and KMLA (의학사서의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교육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 Hey-Young R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2
    • /
    • pp.59-9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medical librarian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domestic medical library user services. To this end,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was investigated, and the education areas were itemized, and then the MLA in the US and the KMLA in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improvement points for medical librarian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re: First, expansion of certification programs that select various types of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areas, education contents, and specialized fields, collaboration programs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advocate the value of KMLA are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urrent educational areas, such as 'research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education design/consult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and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for which there is no education at al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the domestic medical libraria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in the field related to medicin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librarians who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face-to-fac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