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치설계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편측성으로 설계된 하악 유리단 국소의치에서 직접유지장치의 설계 변화에 따른 광탄성 응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IN MANDIBULA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ED UNILATERALLY WITH DIFFERENT DIRECT RETAINERS)

  • 손홍석;계기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42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stress using a photoelastic model from a unilateral distal extent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five kinds of the direct retainers, that is, the bilaterally designed bar clasp of the cross-arch lingual bar and the unilaterally designed bar clasp, circumferential clasp, mini-Dalbo attachment, and telescope retainer. A photoelastic model for mandible was made of the epoxy resin(PL-1) and hardner (PLH-1) with the acrylic resin teeth used and was coated with plastic cement-1 at the lingual surface of the model, and then five kind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set, A unilateral vertical load of about 16Kg was applied on the first molar and the stress pattern of the photoelastic model under each condition was analyzed by the reflective circular polari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the bilaterally cross arch lingual bar produced the most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esidual ridge and supporting structure of abutment teeth than the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2. The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the bar clasp produced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esidual ridge, except sligtly higher stress concentration o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abutment teeth, similar to the conventional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the bilaterally designed cross arch lingual bar. 3. On the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bar clasp produced greater stress distribution on the residual ridge and supporting structure of the abutment teeth than the circumferential clasp. 4. On the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mimi-Dalbo attachment produced relatively higher stress concentration on the residual ridge, but produced lesser stress concentration o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abutment teeth than the other direct retainers. 5. On the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telescope retainer produced uniform stress distribution on the residual ridge, but produced higher stress concentration at the root apex of the terminal abutment tooth than the other direct retainers. 6. On the unilaterally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circumferential clasp and telescope retainer produced slightly higher stress concentration on the residual ridge and supporting structure of the abutment teeth than the bar clasp and mini- Dalbo attachment.

  • PDF

강한 교합력과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의 전악수복 증례 (Case report: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patient with heavy occlusal force and excessive abrasion)

  • 박지희;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귀덕;임현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9-124
    • /
    • 2013
  •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는 광범위한 수복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마모의 원인은 주로 교모에 의해 발생하나 이외에도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있으며 치료 계획은 이러한 마모의 양상과 병인 분석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어야 한다. 발달된 저작근과 치조돌기, 높은 교합력을 보이며 수축 상태와 안정 상태의 근육길이 차이가 적어 악간 간격이 많지 않은 환자는 수직 고경 상실에 대한 평가와 수복물의 설계가 더욱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치아 길이의 감소는 그에 상응하는 치조골 높이 신장에 의해 보상될 수 있으며 수직고경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것이므로, 이 경우 수직고경의 섣부른 증가는 근피로감, 치아의 압하 및 통증, 보철물의 파절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의 마모와 이 악물기 습관이 관찰된 환자로,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상악 무치악 부위는 아말감을 삽입한 가철성 국소의치, 상하악 유치악 부위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으며, 이에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치험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간접유치장치 설계변화에 따른 하악유리단 국소의치의 광탄성 응력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IN MANDIBULAR DISTAL -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VARIOUSLY DESIGNEO INDIRECT RETAINERS)

  • 강승종;계기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97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stresses using a Photoelastic model from and distal -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four designed indirect retainers. The designs of the indirect retainers were as follows : Design No. 1 : Aker's clasp on 1st bicuspid with no indirect retainer. Design No. 2 : Aker's clasp on 1st bicuspid with indirect retainer on canine. Design No. 3 : Extension of the reciprocal arm of Aker's clasp toward incisal rest on canine. Design No. 4 : Connection with the indirect retainer as in No. 2 and extension of reciprocal arm of Aker' s clasp. A photoelastic model was made of the epoxy resin(PL - 1) and hardner(PLH - 1) and coated with plastic cement -1(PC -1) at the lingual surface of the epoxy model and set with chrome - cobalt partial dentures. A unilateral vertical load of 10kg to the right 1st molar and a vertical load of 10k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r crossing both the 1st molars of the right and left, were applied. With the use of specially designed jig, fixture; loading device and the reflective circular polariscope,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1. When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and the vertical load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bar were applied, design No. 2, 3 and 4 exhibited the higher stress concentration at the root apices and their surrounding tissu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abutment teeth. 2. When the unilateral vertical load applied to design No. 2,3 and 4 the root apic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abutment teeth and their surrounding tissues and the nonloaded side of edentulous area exhibited and even stress distribution. 3. When the vertical load was applied, the stress concentration fring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abutment teeth was in the order of No. 1,4,2 and 3. 4. No.1 and 4 exhibited the higher distrorted stress concentration at the primary teeth and the edentulous area in the nonloaded side. 5. No.2 design reduced the stresses at the apices of the alveoli of the primary abutment teeth bilaterally as well as on the crest of the residual ridge on the nonloaded side. 6. No. 2 design exhibited the most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 PDF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매 발병률 분석 (Analysis of the incidence of dementia in complete edentulous patients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Elderly Cohort Database (NHIS-ECD))

  • 구본석;유진주;김만용;임현선;윤준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93-200
    • /
    • 2020
  • 목적: 대규모 인구집단데이터를 사용하여 양측 또는 편측 완전 무치악 여부와 치매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재료 및 방법: 만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구축된 건강보험공단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설계하였다. 실험군은 완전 무치악 코호트로 2012년 7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 까지 1개 이상의 상악 또는 하악 레진상 완전의치 보험 처방 이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유치악 코호트로 같은 기간 동안 잔존치아에 대한 보존적 치아 처치 이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이 기간 동안 치매로 진단 또는 치료 받은 기록이 없었다. 성향점수매칭법에 따라 연령과 성별, 그리고 거주지역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을 1:1 동수로 매칭하였고, 두 코호트 집단간 2년 동안 치매로 이환된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실험군인 양측 또는 편측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치매 발병률(12.13%)은 대조군인 유치악 환자의 치매 발병률(9.74%) 보다 유의미하게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 < .05). 다른 요인들과 치매와의 명확한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대규모 인구집단데이터 분석을 통해 양측 또는 편측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치매 발병률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D/CAM을 이용한 구치부 전부도재 고정성 국소의치 지르코니아 코어의 연결부 설계에 따른 파절강도 (FRACTURE STRENGTH BETWEEN DIFFERENT CONNECTOR DESIGNS OF ZIRCONIA CORE FOR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S MANUFACTURED WITH CAD/CAM SYSTEM)

  • 서준용;박인임;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39
    • /
    • 2006
  • Statements of problem: Zirconia core is used for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s because it's good mechanical properties. Stress is concentrated on connectors in fixed partial dentures, so the proper design of connector areas is needed for adequate mechanical long-term properties of any prosthesis. The area of connector is critical, but tooth size and surrounding soft tissue limit the connector desig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racture strengths between different connector designs of zirconia core for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s manufactured with CAD/CAM system and determining the optimal connector design satisfying strength and hygiene. Material and method: The following four groups of 40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 specimens(each group 10) were fabricated as followed; group 1 vertical height of connector is 3mm (control group, all groups have the same condition); group 2, lingual vertical 1mm reinforcement on connector; group 3, lingual vertical 2mm reinforcing on connector and group 4, lingual vertical 3mm reinforcing on connector. Specimens were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ing on the central fossa of pontic by instron. SEM was used to identify the initial crack and characterize the fracture mod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fracture load of the non-lingual reinforcing group was 1212N and the lingual vertical 1mm reinforcing group was 1510N, the lingual vertical 2mm reinforcing group was 1882N, the lingual vertical 3mm reinforcing group was 1980N. 2. The reinforcing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non-reinforcing groups(P<0.001). 3. There were 2, 3mm reinforcing group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1mm reinforcing groups(P<0.001), and the 3mm reinforcing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2mm reinforcing groups(P>0.05) 4. Fractures were initiated in gingival embrasures of connectors and processed to the loading site. Conclusion: In this study, lingual reinforcement of connector for improved strength of zirconia based fixed partial denture is nessasary. And long-term study for clinical application is required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생역학을 고려해 제작한 구개 폐색장치를 이용한 보철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by obturator considering the biomechanics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after maxillectomy)

  • 이강신;박주미;안승근;서재민;박연희;이정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281-293
    • /
    • 2021
  •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구개부의 결손으로 인해 연하, 저작, 발음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는데, 식사 시 비강과 코를 통한 누출이 있게 되고, 치아 및 치조제의 소실로 저작이 어려워지며, 구강과 비강이 분리되지 않아 과비음이 발생하는 등 삶의 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결손부를 보철적으로 재건하기 위해서는 폐색장치의 무게를 최대한 줄여 중력에 의한 탈락을 최소화하고, 폐색장치의 bulb를 결손부 내로 적절히 연장시켜 부가적인 유지, 안정을 얻도록 해야 한다. 본 증례는 종양의 재발로 인해 추가적인 상악골 절제를 받은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기본적인 설계 원칙을 적용하여 금속 구조물을 디자인하고, 기능 인상을 통해 유지, 안정, 지지를 향상시킨 폐색장치를 제작하였다. 환자는 개선된 안모 및 저작, 연하, 발음 기능 향상에 만족하였고, 경과관찰 기간 동안 안정적인 교합 및 구강위생관리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구치부 지지 소실 및 무너진 교합관계를 보이는 환자에서 Dental CAD-CAM system을 활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loss of posterior support and collapsed occlusion utilizing dental CAD-CAM system)

  • 정지원;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4-54
    • /
    • 2022
  • 다수 치아의 상실 상태로 장시간 지속시 구치부 지지의 부족 및 치아들의 과정출이 발생되어 교합 부조화, 수직고경 상실 및 기능 장애 등의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본 증례는 장기간 다수치아 결손으로 인하여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에 관한 증례이다. 상기 환자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로 내원한 68세 남환으로 오래된 상악 의치를 빼다가 치아가 함께 발거되었으며, 하악 전치부가 상악 전치부와 강하게 닿아서 불편함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여러가지 평가를 통해 수직고경을 4 mm 거상하였으며, 무치악부는 진단 및 치료계획시 설계한 최종 보철 수복물 제작을 고려하여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이용한 Computer guided implant surgery를 시행하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으로 진행하였고,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 모두 큰 개선에 만족하였다.

유지구 설계가 주조연결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effect of retentive groove design on joint strength of casting connection)

  • 김정우;정창모;전영찬;윤미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9-38
    • /
    • 200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주조연결부의 하중 전달기전과 함께 연결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계적 유지구 설계 방법을 주조연결한 3-unit 고정성 국소의치의 삼차원 유한요소 모형으로 응력분포를 비교 관찰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0개의 유한요소 모형을 형성하였다. (모형 A: 1개의 유지구, 모형 B: 2개의 유지구, 모형 C: 3개의 유지구, 모형 D: 4개의 유지구, 모형 E: 1개의 수평구와 2개의 수직구, 모형 F: 2개의 수평구와 1개의 수직구, 모형 G: 크기가 증가된 1개의 유지구, 모형 H: 크기가 증가된 2개의 유지구, 모형 I: 높이가 증가된 1개의 유지구, 모형 J: 기저부 너비가 증가된 1개의 유지구). 하악 제 1대구치에서 이차 주조체 양측의 근심와와 원심와에 수직하중을 가하였다. 결과: 일차 주조체와 이차 주조체 간의 유지력과 유지구 형성 후에 남아 있는 일차 주조체 연결부의 두께가 주조연결부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소였다. 유 지구의 개수나 크기 증가에 따른 유지력 증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일차 주조체의 연결부 두께를 감소시켜 응력 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주조연결부의 기계적 실패는 이차 주조체보다는 일차 주조체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주조연결을 위한 유지구 형성 시에는 일차 주조체 연결부의 잔존 금속 두께를 고려하여 유지구의 개수를 제한하고, 이와 함께 일차 주조체와 이차 주조체간의 유지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유지구의 기저면보다는 깊이를 증가시키는 유지구 설계가 바람직한 방법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