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왕 IC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의왕ICD 철도수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for rail transport in Ui-Wang ICD)

  • 조욱래;장성용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9-2373
    • /
    • 2008
  • In 1991,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establish the Inland Container Depot for activating transportation of rail freight container and encourage the effectiveness of intermodal transport system. Therefore, the Ui-Wang ICD has been built in Kyonggi province and began to operate in 1993. However, Despite of original purpose of the Inland Container Depot, rail freight volume at public CY(Container Yard) in Ui-Wang ICD has been recorded very low.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motion strategy for rail transport in Ui-Wang ICD. The relationship of conflicts between the rail-oriented transporters and road-oriented transporters in Ui-Wang ICD have been found through the TOC thinking process and some solutions are suggested. Some undesirable effects in operation of Ui-Wang ICD are listed and current reality tree(CRT) has been established and future reality tree(FRT) which includes some injections to active the rail transport in ICD has been recommended based on CRT. In order to make good solutions the situation in Busan-jin station ICD known as similar to Ui-Wang ICD has been analyzed.

  • PDF

경인지역 내 효율적인 공 컨테이너 반납처리 방안 연구 - 의왕ICD와 인천항을 중심으로 - (A Study to Solve Empty Container Return Problems in Gyeongin Province - Focusing on Uiwang ICD and Incheon Port -)

  • 신철환;문하연;박진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59-468
    • /
    • 2016
  • 국내 컨테이너 화물의 수출이 수입에 비해 감소하면서 특히,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의 순환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 반납지(의왕 ICD 및 인천항)에는 공 컨테이너가 계속해서 쌓여 가고, 일부 선사들은 공 컨테이너의 부산 반납을 의무화하여 업계 내 마찰까지 발생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 반납처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인지역의 공 컨테이너의 반납처리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개선방안을 선사 입장이 아닌 컨테이너 이용 주체 입장에서 제시하고자 화주 및 운송업체, 컨테이너 운송기사 등 실질적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반납지에 대한 문제점 및 선호도를 파악하고, 종합물류기업 A사의 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비효율적인 비용 구조를 분석하여 경인지역 내 공 컨테이너 반납처리 문제가 심화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원인을 도출하였다. 경인지역 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천항 기능의 재정립, 경인지역 내 제3의 신규 장치장 확보, 효율적인 공 컨테이너 순환체계 확립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법 제도 마련 등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의왕 ICD 철도수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for rail transport in Ui-Wang ICD)

  • 윤동희;이용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3-1614
    • /
    • 2010
  • 교토의정서 및 발리로드맵 이후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 온실가스배출감축대상국에 포함될 예정임에 따라 친환경물류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책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부차원의 친환경 녹색성장 정책에 맞춰 가장 친환경적인 철도물류 및 복합운송에 대한 활성화를 본격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의왕ICD 터미널 내 철도물류시설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하치장 부족, 공용 CY 비활성화, 비주주사 이용불편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철도물류시설의 주요 개선방안으로는 하치장의 추가 확장, 공용CY 활성화를 위한 철도공사 직영 및 상시하역체계 구축 조성 등의 철도물류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철도물류시설의 개선은 철도공사 또는 업체의 노력으로만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철도물류시설과 복합화물 터미널은 대규모의 투자자금이 필요한 시설이며 사회간접자본(SOC)성격이 강하므로 민간차원에서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부차원의 철도물류시설 개선은 친환경녹색물류에 대한 지원정책으로 물류정책기본법에 의해 지원이 가능하므로 세부적인 지침 등을 마련하여 복합화물터미널이 근본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북한 통관 유라시아 횡단 물류에 따른 국내 물류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 (Simulating Logistics Changes in South Korea Caused by Trans-Eurasia Logistics Passing through North Korea)

  • 정재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199-211
    • /
    • 2018
  • 한국은 1940년대 남북분단 이후 국제 무역 및 물류를 위해 해상운송에 의존해 왔으며, 현재는 북한을 경유하는 유라시아 횡단 물류를 위해 새로운 경로의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극복해야 할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지만, 한국은 아시아와 유럽 구간의 기존 해상경로보다 짧은 새로운 육상경로가 앞으로 더욱 빠르고 비용 효과적인 물류서비스를 통해 더 많은 교역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한국종단철도가 개발되어 중국 및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연결된 상황에서의 국내물류 변화를 미리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국내 물류시스템의 모델링을 위해 시스템다이내믹스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수도권과 가까운 의왕 ICD의 물동량은 증가하는 반면, 부산항의 물동량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를 활용한 유라시아 횡단 물류의 성공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보완과 더불어 국내 물동량 처리 용량의 조정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