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약품 정보검색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Present Situation Analysis on Services of Protein Drug Information (단백질 의약품 정보 검색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 Byeon, Jaehee;Choi, Yoo-Joo;Lee, Ju-Hwan;Suh, J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675-676
    • /
    • 2014
  • 단백질의약품 시장의 성장으로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에서 단백질 정보는 신약개발과 위험관리 등에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바이오인포매틱스의 한 분야로 의약품 정보와 단백질 정보를 결합한 형태의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의약품에 대한 업계 종사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한 사전연구로 단백질 정보 검색 서비스와 의약품 정보검색 서비스 이용현황을 설문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문 응답자의 84.7%가 단백질 정보 검색 서비스로 NCBI를 이용하였으며, 48.2%가 의약품 정보 검색 서비스로 DrugBank를 이용하였다.

Representation of drug informations and their relations using ontology (온톨로지를 이용한 의약품 정보 지식의 구축 사례)

  • Sohn, Jong-Soo;Kim, Do-Hyung;Chung, I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317-322
    • /
    • 2010
  • 시맨틱 웹 및 온톨로지 기술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분야에 대한 정보자원이 차츰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웹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국내의 의약품 관련 정보는 정보자원에 대한 의미적인 표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주제별로 각기 다른 웹사이트들에 분산 되어, 필요한 정보들이 여러 사이트들에 중복되어 있다. 그리고 연관이 있는 정보간의 연결이 부족하여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의약품 전문가들도 원하는 자료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우리는 의약품 정보들의 관계를 표현하여 의약품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및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하게 하기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7개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23종의 의약품 관련 정보를 수집 분석한다. 그리고 온톨로지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웹사이트에 흩어져 있는 의약품 정보의 연결성을 분석하고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 보이는 의약품 정보 및 관계의 표현은 효율적인 의약품 관련 정보 검색에 활용이 가능하며 향후 분산된 의약품 관련 정보의 통합 및 운영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CR-Based Medicine Ingredien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OCR 기반의 의약품 성분 정보 검색 시스템)

  • Park, Jina;Park, Se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83-8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의약품의 효율적인 구매와 안전한 복용, 또 의약품 성분에 대한 정보 전달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약품 후면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이미지에서 관심영역을 설정한 뒤, OCR 엔진인 Tesseract-OCR을 사용하여 인식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약품 성분을 추출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의약품 안전 사용 서비스(DUR) API와 네이버 의약품 사전 검색 결과를 이용해 관련 정보들을 읽어와 출력하도록 한다. 약품의 표준 서식을 따르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백 개의 이미지를 이용해 테스트하여 65%의 검출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Use Experience of Drug Information Search Site in Korea - Focused on National Search Site and Private Business Search Site - (국내 의약품 정보 검색 사이트 사용 경험 연구 - 국가검색사이트와 사기업검색사이트 중심으로 -)

  • Jang, Je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73-7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의약품 검색 사이트를 국가와 사기업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 경험을 평가하였다.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해당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편리성, 정보접근성의 차이점, 그리고 신뢰도에 대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총 18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통해 10대에서 60대까지의 219명에게 답변을 받았다. 분석방법은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사용경험이 재방문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설문결과 91%가 사기업 사이트를 더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개발될 의약품 정보 검색과 앱개발에 기반자료가 될 수 있고 보다 편리한 검색환경의 개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PDF

Mapping Schema Design for Medicine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ATC Code (의약 정보검색을 위한 ATC코드기반 매핑 스키마 설계)

  • Kim, Dae-sik;Kim, Mi-hy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3
    • /
    • pp.53-59
    • /
    • 2021
  • When using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s, a typical retrieval method is to use the Anatomic Therapyutic Chemical Classification (ATC) code. Traditional ATC code-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is very useful for single ingredient product retrieval with single ingredient. However, in the case of complex, retrieval errors often occur. The cause of this problem is that ATC code-based retrieval proceeds by pattern matching ATC code.In this work, we design the mapping scheme based on ATC code by analyzing the requirement scenarios for retrieval based on main ingredient in ATC code-based retrieval. the mapping scheme based on ATC is a schema that stores the ATC code of the complex and all the ATC code of the single agent included in the complex. ATC code-based retrieval using this schema retrieves a complex as ingredient of a single ingredient product, thus having higher accuracy than existing methods. the mapping scheme based on ATC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octors' prescription of patients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drug safety use services.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Medicine Information Through Web Log Analysis (웹로그 분석을 통한 의약품 정보 검색 주제별 이용 패턴에 관한 연구)

  • Cho Kyoung-Won;Woo Yo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269-274
    • /
    • 2005
  • There are lots of medicin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recently. But there is no specific research result about search patterns or acquisition methods of medicine information on web pages for lay people until now. In this paper, 1 analyzed the web log files of a certain company providing medicine information using the WiseLog tool. I analyzed three kinds of statistic result of the web log files such as the status of web page usage by types of users, the status of web page menu usage, and the status of search menu usage. As results, I proposed methods of supplement and improvement for companies providing medicin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PDF

Hybrid Application for Recognizing Medicine Automatically (하이브리드 기반 약품 자동인식 어플리케이션)

  • Han, Sang-Uk;Kim, Dae-Hyun;Lee,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89-891
    • /
    • 2014
  • 인구 고령화의 빠른 진행과 건강보험 정책의 공공성 기조 확대, 전반적인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향상 되면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의약품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의약품의 복용은 사람의 건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복용자는 약품에 대한 정보를 알고 복용을 해야 한다. 기존에 존재하던 헬스케어 전문업체가 개발한 약품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정보를 요구 함 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할뿐더러 약품을 검색 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약품을 찍기만 하면 약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준다.

Relational Database and Ontology parallel model for intelligent search support (지능형 검색 지원을 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온톨로지 병행 모델)

  • Seo, Hyunseok;Anh, Kihong;Kim, Su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25-328
    • /
    • 2012
  • 본 연구는 사용자가 특정 전문지식에 대하여 검색하는데 있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온톨로지를 결합해 보다 적합한 검색 결과를 반환하도록 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온톨로지 병행모델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나 정보 양의 급격한 증가는 검색 결과의 사용자 확신을 도리어 떨어트리는 big data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으며 모바일 기기의 사용 증가는 검색과 결과의 판단에 있어 인간의 관여를 줄이는 단순성을 높이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수준의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분야에 있어서의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데이터에 온톨로지를 결합시켜 사용자에게 적합한 데이터를 반환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해 지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전문 지식이 요구되는 의약품 분야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의 검색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Evaluation of Usefulness of the Protein Drug Feature Information Filed (단백질 의약품 특성정보필드 유용성 평가)

  • Byeon, Jaehee;Choi, Yoo-Joo;Lee, Ju-Hwan;Suh, Jung-Ke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5 no.4
    • /
    • pp.21-31
    • /
    • 2014
  • As the protein drug industry is growing, protein informations are indispensable for the protein drug development. NCBI and PDB in the U.S., the EMBL in Europe and the DDBJ in Japan are the representative centers for bio information and each center provides specific data for protein information. To obtain specific protein information, users are to be collect them from the service sites of each center and then combine or analyze for their purpose. To facilitate the accessibility to bio data, various R&D activities are running for development of diverse web services relevant to bio data in major data centers or small-scale projects. With the recognition of protein information as pivotal for the protein drug development, DrugBank in Canada, GDSC in the U.S. start to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s between drugs and proteins. However, those service does not meet users' demands due to lack of diversity. In Korea, infra structures for bioinformatics are limited and the current services for protein drug information are providing only basic information of the drug including distribution data. This is a pilot study to construct a specialized service for protein drug information in Korean style breaking through the limitations of current services. This study proposed new fields for protein characterization information which had not been provided by current services and evaluated their effectiveness and usability by comparing them to the existing fields with expert survey. As a result, the newly proposed fields for protein characterization have been proven to be useful data fields for the service of protein drug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a Drug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rough OCR API pErformance Comparison (OCR API 성능 비교를 통한 복약 정보 검색 시스템 구현)

  • Jeong-Min Park;Sung-Kyeong Choi;Jun-Yeong Kim;Se-Hoon Jung;Chun-Bo S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5
    • /
    • pp.989-998
    • /
    • 2023
  • As diseases are already increasing due to aging population and changes in eating habits, interest in digital healthcare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2020 Elderly Status Survey, 84% of South Koreans aged 65 and older suffer from at least one chronic disease, and the number and duration of drugs taken by the elderly are also increasing. Effective management that enhances compliance of chronic disease patients can prevent the onset of complications, thereby averting progression to severe illnesses. Thus, a proper medication-taking habit is crucial. This paper proposes a med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OCR technology. By leveraging Google Cloud Vision API, the system detects and recognizes the names of medicines. Once recognized, the medication name is searched in a database to provide users with med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tion schedule management services. By providing accurate med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earch, it is possible to induce changes in medication methods and habits.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direct input through OCR technology, we anticipate enhancing user convenience by promptly deliver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