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약품 안전 관리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anagement of Veterinary Drug Residues in Food (식품 중 잔류동물용의약품의 안전관리)

  • Oh, Jae-Ho;Kwon, Chan-Hyeok;Jeon, Jong-Sup;Choi, Dong-M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8 no.3
    • /
    • pp.310-325
    • /
    • 2009
  • Veterinary drugs have been used to prevent livestock diseases for many years. In spite of having advantages, sometimes indiscriminate application, overdose and abuse may cause risk for human. Therefore, management and risk assessment of veterinary drugs become essential to ensure food safety. So the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 Quarantine Service (NVRQS) impose on registration for use of veterinary drugs als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fixed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s) for veterinary drugs in food. Basically, KFDA set MRLs based on the veterinary drugs residual data. Moreover, KFDA estimates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TMDI) with food consumption data and population mean body weight. Recently, 116 veterinary drug MRLs including banned veterinary drugs have been established and other 32 veterinary drugs MRLs will be established within 2009. In 2010, MRLs among antibiotics and synthetic antibacterial agents in livestock fishery products (including milk and eggs) and honey (including royal jelly and propolis) which have not been set in Korea Food Code and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will be regulated as uniform limit (0.03 mg/kg). In future, veterinary drugs will be controlled strictly to strengthen public health by improving analytical method.

Features and Trends of IEC Particular Standards for Medical Equipment Related to Diagnostic X-ray Based on IEC 60601-1:2005 Ed. 3.0 (IEC 60601-1: 3판이 적용된 진단용 X선장치 관련 개별규격의 동향 및 특징)

  • Kim, Hyun-Ji;Kim, Jung-Min;Choi, In-Seok;Yoon, Yong-Su;Seo, Deok-Nam;Kim, Jung-Su;Kim, Dae-Young;Park, Sung-Yong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1
    • /
    • pp.1-10
    • /
    • 2013
  • IEC publications have applied in man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such as Europe or Japan and these also have been published as in dustrial standards (KS) and notification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in Korea. As the general standard of IEC 60601 series for medical electric (ME) equipment was revised as $3^{rd}$ edition in 2005, additional and particular standards have been revised or established newly.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rtance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companies or authorized testing companies to understand the trend for revisions of IEC public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atest version of 3 IEC standards related to medical X-ray equipment : IEC 60601-2-44 for X-ray equipment for computed tomography (CT), IEC 60601-2-45 for mammographic X-ray equipment and IEC 60601-2-54 for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or radioscopy were covered and analyzed for trends and features accompanied by revision based on IEC 60601-1 $3^{rd}$ Ed. As KFDA notifications in force have referred to the particular standards based on 2nd edition of IEC 60601-1, those revised version of 3 particular standards were compared to KFDA notifications in force. The features of the latest standards applying IEC 60601-1 $3^{rd}$ Ed were shown as following: 1) Requirements for mechanical hazards, especially (motorized) moving parts were emphasized. 2) Indication and recording of patient dose were required. 3) Risk management process was introduced and enabled to monitor potential risks systematically. 4) DR system (digital radiography system) as well as analogue system (film-screen system) was included in the scope. Presently, KFDA will revise the notifications applying the particular standards based on IEC 60601-1 $3^{rd}$ Ed in a few years. Therefore the features of particular standards applying IEC 60601-1 $3^{rd}$ Ed was expected to help manufacturers, assemblers or testing companies of medical electric equipment understand IEC publications or KFDA notifications slated to be published.

Development of Rapid Analytical Method for Heavy Metals (Cd, Pb) in Meju using fs LA-ICP-MS (fs LA-ICP-MS를 이용한 메주의 유해중금속(Cd, Pb) 신속 분석법 개발)

  • Shin, Hee-Chang;Choi, Ji-Hye;Kim, Yong-Kyoung;Kim, Dae-Jung;An, Jae-Min;Kim, Sung-You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7 no.3
    • /
    • pp.129-135
    • /
    • 2022
  • The official analytical method for the analysis of harmful heavy metals in Meju, distributed in Korea, employs a strong acid to decompose the organic components. This analysis is time consuming and harmful to the users and/or the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pre-treatment technology using laser ablation, to rapidly analyze harmful heavy metals without using strong aci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method were valid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guideline (NIFDS, 2016). Moreover, a comparison of the two methods showed that the analytical time for 55 Meju samples was shortened by 96% or more in the new method.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very ranging from 90-120%. The proposed method proved suitable for detecting harmful heavy metals in Meju.

Research Direction for Functional Foods Safety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연구방향)

  • Jung, Ki-Hwa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5 no.4
    • /
    • pp.410-417
    • /
    • 2010
  • Various functional foods, marketing health and functional effects,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se products, being in forms of foods, tablets, and capsules, are likely to be mistaken as drugs. In addition, non-experts may sell these as foods, or use these for therapy. Efforts for creating health food regulations or building regulatory system for improving the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foods have been made, but these have not been communicated to consumers yet. As a result, problems of circulating functional foods for therapy or adding illegal medical to such products have persisted, which has become worse by internet media. The cause of this problem can be categorized into (1) product itself and (2) its use, but in either case, one possible cause is lack of communications with consumers. Potential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functional foods include illegal substances, hazardous substances, allergic reactions, considerations when administered to patients, drug interactions, ingredients with purity or concentrations too low to be detected, products with metabolic activations, health risks from over- or under-dose of vitamin and minerals, and products with alkaloids. (Journal of Health Science, 56, Supplement (2010)). The reason why side effects related to functional foods have been increasing is that under-qualified functional food companies are exaggerating the functionality for marketing purposes. KFDA has been informing consumers, through its web pages, to address the above mentioned issues related to functional foods, but there still is room for improvement, to promote proper use of functional foods and avoid drug interactions. Specifically, to address these issues, institutionalizing to collect information on approved products and their side effects, settling reevaluation systems, and standardizing preclinical tests and clinical tests are becoming urgent. Also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unified database systems, seamlessly aggregating heterogeneous data in different domains, with user interfaces enabling effective one-stop search, are crucial.

산업보건관련 기록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중심으로 -

  • Go, Bong-Ryeon;An, Min-S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52-77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보건관련기록의 표준화를 위하여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수집하여 기록의 종류, 내용과 양식을 비교 분석하므로써 간결하고 유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록을 개발코자 조사연구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총 32개 산업체로써 조사기간은 1991년 2월 4일부터 4월 6일까지이며 자료 수집 방법은 우편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건강관련 정보기록으로 일일업무기록은 모두 쓰고 있었으며, 의약품 보호구 수불현황은 65.6%에서 사용하였고, 개인건강기록부, 매월업무보고서, 진료의뢰서는 각각 40.6%, 21.9%, 28.1%에서 사용하였다. 2. 간호사의 건강관리 업무관련정보기록은 일일간호 및 처치기록은 84.4%가 사용하였고, 현장순회일지, 환경위생점검일지 사용이 가장 낮았으며, 건강상담일지, 보건교육일지, 건강관리대상자 관리현황, 공상자 치료 및 관리현황은 제조업인 경우에는 21~26%가 사용하였고 기타 사업장인 경우에는 업거나 사용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사업장의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사항이나 작업환경개선 및 유지, 관리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순회일지나 환경위생점검일지에 대한 기록이 정확히, 철저히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담 및 보건교육일지 작성도 보건교육이 전반적인 산업보건 사업계획과 통합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기록양식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양식의 내용을 업종별 중요성에 따라 표준화된 기록지 개발을 제언한다.

  • PDF

(2)건강기능식품법의 하위법 제정에 즈음한 방향 제안

  • Son, Dong-Hwa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4
    • /
    • pp.73-101
    • /
    • 2002
  • 21세기는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정보통신기술, 환경기술, 나노기술 그리고 생명과학에 의한 바이오기술이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서 국가경쟁력 강회를 위한 국가전략 핵심산업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기술의 응용산업인 건강기능식품은 국민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21세기 미래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국민보건과 건강기능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건강기능식품법) 이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상정되어 1년 이상의 검토를 거쳐 지난 7월 31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습니다. 그후 8월 26일자로 이 법을 정부에서 공포하였으며 내년 8월 26일부터는 발효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건강기능식품법의 제정은 건강기능식품관련 제도의 완성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즉,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초는 마련하였지만, 그 하위법인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등이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추어야 비로소 국민이 만족하고, 산학연의 동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이 분야의 산업발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담당 정부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현실적으로 그 하위법을 금년 말(2002년)이나 내년 초(2003년)에 준비한 후 입법 예고하여야하는 시간적 제약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단기간 내에 하위법을 준비하다 보면 자칫 애초에 정부와 산학연이 바라던 바와는 다른 엉뚱한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만큼, 법 제도의 명확한 방향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한국식품과학회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는 이 문제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산학연 전문가그룹(식품과학자, 영양과학자, 학계, 연구계, 기업계: 16인)을 구성하였습니다. 전문가그룹은 지난 7 - 8월, 2달 동안에 수 차례 회의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법 하위법 준비 중 핵심사항은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와 평가 라는 점에 착안하고, 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 이외에도 섭취량 설정 , 심사자료의 인증요건 , 기능성분의 표시 등에 대하여도 부수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물실험을 이용한 기능성평가 방향 (이미 본지의 전호에서 게재한 바 있어생략)을 제외한 주요사항을 다음의 별도 기사로 각각 소개합니다. 또한, 이 내용은 지난 9월 13일, COEX에서 제1회 건강기능식품 전시회 및 학술세미나 행사의 일환으로서 개최된 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하고 토론회를 거쳤습니다. 또한, 지난 10월 26일, 무주리조트에서 식품과학회 추계학술대회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의 토론회에서도 좋은 의견을 교환한 바 있습니다. 두 차례의 토론회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가 제안한 초안이 대체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많은 동의를 얻었습니다. 이어서 토론회의 내용을 반영한 식품과학회의 안을 최종적으로 준비하고 이를 11월초에 식품의약품안전청에게 정책 건의하였습니다. 다음의 별도기사에 덧붙여서, 토론회를 통하여 수정(또는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동물실험 등에서 흡수, 대사 등으로 표기한 서술 용어는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로 대체합니다. 2) 기능성 평가방법의 표준화와 관련하여 분과위원회에서 제시한 안은 평가방법은 심의위원회가 사안에 따라 기능성 평가시에 그 평가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함이 바람직하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부분적으로는 평가방법을 표준화할 필요가있다 로 수정하고자 합니다. 즉, 평가방법이 전혀 제시되지 않으면 막막함으로, 기본적인 방법이면서 여러사람들이 참고로 할만한 방법에 대하여는 표준화를 병행함이 더욱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표준방법으로 제시된 것만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므로 다른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함으로 제시합니다. 3) (가칭)건강기능식품 인체시험 관리지침과 관련하여 이는 식약청장이 정할 사안이지만, 그것은 국내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지침 과는 뚜렷이 차별화되는 것으로 실제로는 의사의 도움없이도 인체시험을 시행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 PDF

제제설계 및 Scale Up

  • Hong, Sun-Eo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v.13 no.3
    • /
    • pp.115-125
    • /
    • 1983
  • 제제설계란 제형의 설계 및 그에 따른 처방설정(formulation)을 의미하며 경험적인 제제방법 및 그 기술측면에서의 제제화는 주악 및 첨가물의 종류와 배합비율의 설정등 비교적 단순한 내용을 의미하지만 의약품은 실제적으로 인체에 적용되므로 치료설계상의 연구와 생물약제학적 검토에 의한 유효정과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야 한다. 또한 약물의 효력은 체내 특정부위에 특정농도의 약물분포가 필요하고, 일정시간 지속되는 것이 요구되므로 약용량도 중요하지만 약물투여 후의 흡수, 체내이행, 대사, 배설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부형제의 영향도 검토하여야 한다. 제제물리학적 측면에서 품질보증을 위하여 preformulation단계에서 주약의 물성검토, 첨가제의 사용량, interaction 및 혼합순서 등과 처방설정 단계에서 제제화에 사용되는 기계장치의 특성 및 능력, 제제화 후의 포장용기 및 포장상태에서의 안정성 등도 면밀히 검토하여야한다. 제제설계란 단순한 dosage form의 design만이 아니고 유효성이 높고, 부작용이 적은 제제를 합리적으로 만드는 기술과 정보의 종합관리로 scale up과정에서 원료, 기계장치, 제조방법, 작업자 등에 의한 품질변동 요인을 극소화하고, 공정의 초기단계에서 즉시 조정될 수 있는 종합관리 system이 필요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perledger Fabric-based narcotic drug misuse and abuse management system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마약류 약물 오남용 관리 시스 템의 설계 및 구현)

  • Ra-Yeon Choi;Yoo-Young Cheong;Dong-Hyuk 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40-1243
    • /
    • 2023
  • 의료기관에서 접근이 용이한 마약류 약물로 오남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기반으로 구축된 약물 오남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분산 원장 기능을 사용하면 의약품 거래를 투명하게 기록하고 처방 기록을 안전하게 보존하여 모든 거래 세부 정보를 변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약물 사용 기록을 추적하고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과다 복용 사용자를 규제하는 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약물 오용을 크게 완화하고 과다 복용 사용자 보호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기획: 수의사처방제 실시를 위한 소 진료체계 준비 및 방역 인프라 구축 방안

  • Kim, Du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9
    • /
    • pp.790-800
    • /
    • 2010
  • 축산물의 항생제 잔류와 내성균의 출현 등으로 동물약품 안전사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여 축산 식품의 안전성 향상과 항생제 내성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농림수산식품부 및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관련 정부 부처와 소비자단체의 노력의 결실로 2007년 12월 6개 관련부처는 "국가항생제내성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수의사처방제의 시행을 권고한 바 있으며,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008년 7월에 "식품안전종합대책"을 통하여 2011년부터 "수의사처방제"를 도입하겠다고 정책을 발표하였다. 지난 7월 12일에는 수의사처방제의 도입을 위한 입법과정의 일환으로 심재철의원의 주관 하에 각계 대표가 참가한 상태에서 국회에서 토론회가 개최되어 각계의 의견수렴의 과정을 거쳤다. 농림수산식품부와 대한수의사회는 수의사처방제의 2011년 도입을 목표로 입법화과정과 사전 준비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제에서는 항생제를 비롯한 동물용 의약품에 오염되지 않은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수의사처방제의 도입에 따른 준비를 위하여, 2009년도 농림수산식품부의 용역연구의 결과 중 (1) 우리나라 소 진료 분야 종사 수의사 실태 및 수의사 처방제 도입 시 필요한 소 진료전문수의사 적정 인원 수 예측, (2) 소 진료전문수의사 양성 방안 및 수의사의 질 향상 유지를 위한 재교육 방안, (3) 우리나라의 소 진료 임상체계 개편 및 국가 동물질병 방역정책과 유기적 연계 방안을 요약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제는 소 진료전문수의사들이 수의사처방제 추진과정을 이해함으로서 향후 추진될 수의사처방제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의사처방제의 추진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의사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PDF

Safety evaluation and approval statu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Korea (국내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심사 규정 및 승인현황)

  • Kang, Yun-Sook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52 no.2
    • /
    • pp.130-139
    • /
    • 2019
  •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GM foods) in Korea is evaluated according to "Food Sanitation Act" and "Regulation on safety evaluation for GM foods" based on the concept of substantial equivalence. In which cases a person who imports, develops or manufactures GM foods for the purpose of eating imports GM foods for the first time, he/she shall undergo a safety evaluation of the relevant foods, etc.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nd in which cases ten years have elapsed since GM foods underwent safety evaluation, they shall be re-evaluated for their safety. As of April 2019, a total of 199 events have been approved by MFDS and they are 169 events of GM crops including soybean (29), maize (87), cotton (29), canola (14), sugar beet (1), potato (4), alfalfa (5), 6 events of GM microorganisms (GMM) and 24 events of GM food additives originated from G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