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사면허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간질 환자의 차량 운전

  • Byeon, Yeong-Ju;Park, Mi-Yeong;Ha, Jeong-Sa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1 no.1
    • /
    • pp.16-29
    • /
    • 1994
  • 1. 현재 보편적으로 참고가 되는 간질 환자의 운전 면허 허용의 기준과 관련 법규등을 요약하면 표-5와 같다. 2. 아직 어떤 국가에서는 간질환자의 차량운전을 무경련 기간에 상관없이 금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국가에서는 일정한 기간의 무경련의 존재가 면허 허용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대략 1년간의 기간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간질은 그 특징상 1년 혹은 2년의 무경련후에도 경련이 발생될 수 있어 1년간의 무경련으로 면허 발급을 허가는 제도는 더 연구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3. 수면시 간질, 전구증상이 있는 복합 부분 간질, 단순 운동성 간질, 특수한 여건이나 자극에서 생기는 경련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운전면허 허용은 장시간 운전, 고속 운전, 심리적 육체적 과로상태에서 운전을 하는 경우 기존 경련을 심하게 유발하거나, 평소와 다른 상황에서 경련이 생길 수 있어 이런 환자들에게 일괄적으로 면허를 허용하기 보다는 세밀하게 분석하여 개인별로 판별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환자의 능동적이고 성실한 경련보고와 아울러 경련발생 가능성이 높아 의사의 운전중단 처방을 수용하고 따르는 협조적인 환자의 자세가 매우 중요한데, 현재까지 환자의 성실한 경련보고와 의사의 조치에 대한 환자의 적극적인 수용자세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 PDF

Berufsverbot als eine Sicherungsmaßregel in Deutschland (보안처분으로서 독일의 직업금지명령 - 의사의 범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 Lee, Seok-Bae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2 no.1
    • /
    • pp.27-55
    • /
    • 2021
  • Bisher wurde kein Beruf zwischen Recht und Berufsethik so diskutiert wie Ärzte. Diskussionen über die Qualifikation(od. Approbation) von Ärzten sind nicht nur eine Frage Koreas, sondern in den meisten zivilisierten Ländern ein wichtiges Diskussionsthema, wenn ein Arzt insbesondere für eine Straftat bestraft wird. Vor kurzem hat sich die koreanische Ärztekammer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weitgehend gegen das, "Entwurf eines Gesetzes zur Reform des Medizingesetzes" stark ausgesprochen, das die Grunde für den Entzug einer Approbation für ein Verbrechen eines Arztes erweitert. Vor allem wird auf die Gefahr hingewiesen, eine Approbation für Straftaten zu entziehen, die nicht mit beruflichen Pflichten zusammenhängen. Es ist jedoch vernünftig, den Beruf bzw. das Gewerbe zu verbieten, wenn ein Fachmann unter Missbrauch seines Beruf oder grober Pflichtverletzung die Tat begangen hat und die Gefahr bestehet, dass er bei weiterer Ausübung seines Berufs erhebliche rechtswidrige Taten der bezeichneten Art begangen wird. Die Untersagung der Berufsausübung soll die Allgemeinheit gegen die spezifischen Gefahren schützen, die mit der Ausübung eines Berufs oder Gewebes verbunden sind. Da das Berufsverbot nur die Berufsausübung untersagt, die Approbation selbst aber bestehen lässt, kann die Approbationsbehörde in eigener Entscheidungskompetenz die Approbation zurücknehmen, wiederrufen, oder in Ruhen anordnen. Entsprechend dem Verhätnismäßigkeitsgrundsatz ist aber auch das Berufsverbot auf bestimmte Tätigkeiten im Bereich des Berufs zu beschränken, wenn dies zur Erreichung des Maßregelzwecks, dem schutz der Allgemeinheit, ausreichend ist. In diesem Beitrag wurden die Voraussetzunen des Berufsverbots und die tatsächlich an Ärzte bzw. medizinische Personal gerichteten Fälle untersucht.

역사속 과학인물-한국최초의 치과의사 함석태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11 s.318
    • /
    • pp.20-21
    • /
    • 1995
  • 지금부터 81년전, 한국 최초의 치과의사로 치과의원을 개업한 함석태, 동경서 일본치과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그는 1914년 총독부 치과의사 면허 1호로 등록, 서울 삼각정에서 함석태 치과의원을 개업했다. 1925년 한성치과의사회를 조직하고 초대회장을 지낸후 기록이 끊긴 함석태는 한국치의학의 개척자로 꼽을 수 있다.

  • PDF

Issues and Considerations surrounding Revocation Physician's Medical License Arising from Criminal Offenses (의사의 형사범죄에 따른 면허취소처분의 쟁점과 고려사항)

  • Kim, Sung-eun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19 no.1
    • /
    • pp.113-142
    • /
    • 2018
  •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opinions in which physicians are liable to the revocation of their medical license if they are sentenced to above a certain level for criminal charges regardless of the types of offenses. Accordingly, a revised bill of law was submitted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related discussions are thus expected to commence. Considering the morality and ethics or the level of the rule of law that the general public expects of physicians, as well as the license revocation system in other professional sectors, it is assessed that medical license revocation due to criminal convictions of physicians is appropriate to some degree. However, if a poorly devised system is established based on unrefined inferences or emotional judgements, unexpected side-effects are likely to arise. With regard to serious criminal acts that society generally perceives as unacceptable, it can be assessed that the revocation of physicians' licenses would appropriately protect the general public from threats. However, given the life-saving characteristics of high-risk medical practices, higher malpractice exposures, and social values, it is difficult to assess charges of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or in injury) and minor offences in the same manner as anti-social criminal offences are handled. Physicians need to be treated the same as any other professions. At the same time, they are engaged in administering medical treatment to patients in the face of great risks as professionals. Under the circumstances, a discussion on the introduction of a more specific and empirical system is needed by consideri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medical treatment and the need for an equitable health and medical policy. Accordingly, based on the above judgment and perception, this study explores the code of ethics for physicians and medical license revocation related to criminal offences at home and abroad, and examines various legislative alternatives appropriate for the Republic of Korea. In doing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reasonable system for handling criminal offences by physicians.

Nursing in Korea (한국의 간호)

  • Hong Shin Young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7-21
    • /
    • 1984
  • 한국간호 I. 간호행정제도 및 법규의 변천 1. 간호행정기구 한국의 의료행정은 현대의학의 도입과 더불어 1894년 6월 내부에 위생국을 둔다는 규정이 발표됨으로서 시작되었고 1901년 관제개편에 따라 위생국에 보건과와 의무과가 설치되었다. 그 후 1945년 12월 보건후생부 간호사업국내에 보건간호과 기관간호과 조산 간호과가 설치되었고 각 도에는 간호 사업계가 설치되었다. 1948년부터는 보건사회부 의정국내의 조산간호과가 간호 사업과로 개편되었다. 그후 1970년 간호사업과가 간호사업담당관제로 개편되었으며 1981년부터는 간호사업담당관제도 폐지되어 보건국의 가족보건과나 의정국 지역의료과에서 한 명의 간호원이 참여하는 정도로 간호행정기구가 점차 축소되었다. 2. 간호법규 1)면허 1962년 개정된 의료법에 의하여 간호원의 면허는 문교부장관이 인가한 간호교육기관 졸업자중 간호원 국가시험 합격자로 규정하였다. 조산원의 경우는 1914년 처음으로 조산원 면허등록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간호원 면허를 받은 자로서 보건사회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병원에서 1년의 정규 교육과정을 필한자로 그 자격을 명시하고 있다. 2) 자격시험 자격시험은 1916년부터 실시되었으며 1920년 이후는 각 도에서 관할 실시하였다. 그 후 1962년부터는 보건사회부장관의 주도하에 국가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현재는 국립 보건원에서 간호원을 포함한 의료업자의 국가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3)간호수가 간호원 조산원에 관한 간호수가 관계 규칙은 1911년에 발표된 것으로 간호원의 경우 출장 시에 출장비와 간호료를 환자가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1925년 5월까지는 각 지역별로 간호수가에 차이가 있었으나 동년 6월부터 수가규정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 그 후 1953년부터는 국공립병원 간호원들에게도 다른 일반 공직자와 같이 직급을 보함으로서 간호직에 대한 보수가 통일되었으며 1971년부터는 간호직 수당이 제정되었다. II. 간호사업의 분야별 발전 1. 임상간호제도의 발전 1)초기의 임상간호 한국에 서양의학을 기초로 설립된 최초의 병원은 1885년 의사 Allen에 의한 왕립병원이다. 그 후 정부에 의하여 1894년 군부병원이 설립되었고, 1899년 내부병원이 1904년에 적십자 병원이 설립되었다. 당시에 이루어진 현대간호는 일본인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일본식 간호와 선교사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서구식 간호방식이 있었는데 이 두 간호방법은 문화적 배경이나 사회적 인습에 의한 많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2) 일제하의 임상간호 이 당시에 이루어진 일본식 간호방법을 보면 간호원들의 주업무가 환자를 위한 간호보다도 의사 보조에 더 치중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선교계 병원에서는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간호원들이 전인간호를 실시하였으며 병원당국과 의사들의 협조로 많은 간호사업의 발전을 가져올수 있었다. 3) 광복 이후의 임상간호 6.25 동란 후 한국에는 병원이 계속 늘어나 현재 20Bed 이상의 전국의 병원수가 431개소이고 이중 80Bed 이상의 종합병원이 148개소나 된다. 각 병원의 간호사업은 간호사업과 또는 간호사업부의 행정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간호과정(Nursing Process)의 개념을 도입하여 문제중심 간호기록인 POMR(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면허간호원은 매년 중앙회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을 10시간 이상 받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Punishment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Focusing on Collaboration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무면허 의료행위 처벌에 관한 고찰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협업관계를 중심으로-)

  • Yoon, Suh-Young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3 no.3
    • /
    • pp.117-137
    • /
    • 2022
  • Today, the medical system is changing into a comprehensive health care system in which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medical professionals and non-medical personnels in neighboring occupational areas. The current medical act brands such "collaboration" as unlicensed medical practice, and punishes non-medical personnel who acted in the risk management of doctors as well as doctors collaborated with non-medical personnel as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legal system that regulates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and the medical reality,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dualistic, nationalistic, and identity-oriented regulation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s. The legal interests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have a dual nature as a personal legal interest of "human life and body" as well as a national legal interest of "maintenance and protection of the nation's medical license system",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legal interests protected by the regulations of criminal punishment should be found in "personal legal interest theory."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which behavior is a medical practice and evaluating its risk, the dimension of behavior and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in a fair manner without being biased against the subject (identity) of the action. In other words, judging unlicensed medical practice should depend on whether the risk of side effects that may result from the act is reasonably managed. Considering the prospect of therapeutic dialogue between medical professionals and patients, it would be desirable for medical law policies to move in a way that does not fundamentally block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among pluralistic medical personalities.

공중보건치과의사로 살기, 낯설음에서 새로운 시작으로

  • An, Jeo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6 no.9 s.352
    • /
    • pp.621-628
    • /
    • 1998
  • 치협 총무국의 각 지부별 회원현황을 살펴보면 98년 7월 현재 공중보건치과의사의 숫자가 785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치과의사면허취득자인 15,957명중 4.92%에 해당하는 것이어서 사실상 고중보건치과치과의사는 치과계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들이 앞으로 치과계를 이끌어갈 젊은 역군임을 감안하면 감히 등한시할 수 없는 것이 또하나 현실이다. 군대를 대신한 공중보건(치과)의사제도 하에서 계약직 공무원인 공중보건치과의사라는 신분으로 지역사회의 구강보건 책임자로서 그들이 하고 있는 사업은 무엇인지, 그리고 지난 6월 독자의 소리란에 공중보건치과의사의 생활상에 대한 기사를 요청한 것에 따라 그들의 생활, 고민 등을 들어보고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New Standards for Determining Unlicensed Practice of Korean Medicine Doctors -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No. 2016do21314 - (한의사의 면허외 행위 판단의 새로운 기준 -대법원 2022. 12. 22. 선고 2016도21314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CHOI HYUG YONG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4 no.1
    • /
    • pp.131-155
    • /
    • 2023
  • Medical act divides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nto medical practice by non-medical practitioners and unlicensed practice by medical practitioners. In the past, it was a common approach to strictly distinguish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but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December 22, 2016, Do. 21314, provided a new direction regard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a Korean medicine practitioner is acting outside license. This paper analyzes the new criteria in detail,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new criteria, and explores its impact on the dualistic medical system.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criteria and the previous criteria in the precedents is that the judgment is not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medicine principles and Western medicine principles. It is an advanced standard that actively accepts the overlap and variability of medical practice, moving away from dichotomous thinking that exclusively distinguishes between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