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행동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1초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경(聞慶)에서의 강학활동 (Ganjae's lecture activities in Mungyeong)

  • 임옥균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131-155
    • /
    • 2017
  • 이 글에서는 간재가 문경지역에 거주할 때의 강학활동을 살펴봄으로써 40대 중반 왕성하게 학문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해가던 젊은 간재의 모습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문경의 심원사에서 강학활동을 하면서 간재는 "강규"를 세워, 선생과 제자 사이의 예를 엄격히 하였고, 부부 사이에는 반드시 서로 공경히 대할 것을 가르쳤다. 이를 통해서 자신의 학단 안에서라도 옛 예를 회복할 것을 기대하였다. 1884년에는 청화산 시동에서 강학활동을 하였는데, "시동서사의"를 지어, 뜻을 크게 세울 것, "소학"을 행동준칙으로 삼을 것, 공부하는 과정에서 성(性)을 위주로 삼을 것을 주장하였다. 성(性)을 위주로 삼을 것을 주장한 것은 성사심제설의 단초를 보여주는 것이다. 문경 지역에서 간재는 송병화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학문을 논하기도 하였고, 문경 지역과 관련 있는 학자들과 교류하기도 하였다. 송병화와 예를 논하면서 간재는 할아버지 상중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아버지를 대신하여 할아버지의 삼년상을 마치는 것이 인정상 맞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송병화가 심이 체용을 갖추고 있다는 설을 주장한 것에 대해 그것을 반대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심의 주재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고 보고, 성체심용(性體心用)이라고 하여 어디까지 성을 앞세워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간재는 문경 지역에 거주하면서 문경 지역과 관련이 있는 학자들과도 교류하였는데, 의당 박세화와 지암 김재경이 대표적인 사람들이다. 박세화는 홍직필의 재전제자라는 점에서 간재와 공통점이 있었다. 박세화는 문경에서 의병활동을 도모하다가 체포되어 옥살이를 하였고,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여 단식으로 순국하였다. 간재와 의당은 당시 기울어져가던 나라의 운명, 중화와 이적, 거의(擧義)와 자정(自靖)에 대해 논의하였다. 김재경은 의성 사람으로 간재가 문경에 머물 때 교류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에도 상호 방문하고 서신을 교류하는 등 관계를 지속하였다. 간재가 문경에 머무르던 시기에 국가적으로 큰 사건들도 몇 가지 있었다. 간재가 심원사에서 강학을 시작하기 1년 전인 1882년에는 임오군란이 있었고, 1884년에는 의복제도를 좁은 소매로 바꾼다는 조정의 명령이 있었다. 간재는 이러한 조정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옛 제도를 고수하도록 제자들에게 지시하였다. 조정의 명령을 따르지 않아도 되느냐는 의문에 대해서 간재는 의리상 불가한 것은 임금의 명령이라도 따르지 않을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1884년에는 또한 갑신정변이 있었는데, 간재는 외세를 배격하고 예를 지킴으로써 나라를 지킬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으로 볼 때, 간재가 문경에서 강학하던 시기는 개인적으로는 간재의 핵심적인 사상인 성사심제설을 정립할 단초를 마련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는 외세의 틈바구니에서 어떻게 나라를 지킬 것이냐가 문제가 되었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는데, 간재는 이에 대해서 문화의 표지인 예를 굳건히 지킴으로써 나라도 지킬 수 있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었고, 그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보인다.

남녀 대학생의 의복규범에 대한 의식과 복식행동 및 심리적변인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Clothing Norms Clothing Behavior and their Relations to Psychologic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

  • 박찬부
    • 복식
    • /
    • 제31권
    • /
    • pp.165-188
    • /
    • 1997
  • This study aims at 1) examin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lothing norms 2)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clothing norms cloth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ego identity(uniqueness and self acceptance) and sex role identity and 3) ascertain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lothing norms among variables-sex role identity and the uniqueness in psychological variables-and which variables are influencingon perception of clothing norms. The perception of cloth in norms inventory clothing norms inventory clothin behavior inventory ego identity in-ventory and the Bem Sex Role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620 college students. Sex role identity was classified into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type. Subjects were asked to rate each statement on the clothing norms under two kinds of instructions: their attitudes(TATT) and their beliefs about the expectations of others toward clothing norms(TBEO). 1) The scores of 3 TBEO of th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ATT. But the scores of TBEO concerning modesty of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scores of TATT. Discrepancy scores of TATT and TBEO of the students were revealed significances differently according to clothing norms. males lower and higher class students had more free attitudes to the norms concerning genaral clothing attitudes. Females and higher class students had less free attitudes to the clothing norms concerning modesty. Females and lower and higher class students had more free attitudes to the norms concening sex-role related clothing attitudes but male students had less free to the sex-role related clothing norms. 2)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of clothing norms and conform-ity-individuality were found. Bu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ose variables of the males and lower class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correlations of the female and higher class students and the former had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lothing norms and con-formity as compared with the latter.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of clothing norms and modesty were found. Bu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ose variables of the males females and higher class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correlations of the lower class students and the latter had les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othing norms and modesty as compared with the former. 3)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lothing norms and uniqueness were found in the subjects groups. The females and lower class students had mor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clothing norms and uniqueness as compared with the male and higher class studen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uniqueness and conformity-individuality were found in all subjects groups, Therefore the higher uniqueness the student have the less they perceive theimportance of clothing norms and the more they have individualit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x-role related(higher class) general(female) clothing norms and self acceptance were found.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mpus style(higher class) general(female) clothing norms and self acceptance were found.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mpus style(males lower class, higher class) clothing norms and self acceptance were found. Clothing norms therfore related posi-tively or negatively with self acceptance ac-cording to the subjects group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nformity in-dividuality and self acceptance was found in higher class students. 4) The female masculine groups and the masculine groups of lower class revealed high scores than the scores of andrgynous group and undifferentiated group in clothing norms concerning modesty. And the feminine group revealed high scores in conformity-individu-ality than the scores of the masculine group. Male masculine and feminine group revealed high scores in clothing norms concerning cam-pus style than the scores of the androgynous group. The masculine group and feminine group of the lower classes revealed high scores in general clothing norms than the scores of the androgynous group. 5)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s on the clothing norms were sex conformity-individu-altiy and masculine-feminine variables in the right order. The general clothing norms and clothing norms concerning modesty were influened by the sex role identity but the sex role related clothing norms and clothing norms concerning campus style were influenced by the ego identity. 6) Based on the sum scores of the uniqueness each group of the subjects was separately segmened into "high medium and low" groups. By the analysis of varianc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crepancy scores of TBEO and TATT among 3 uniqueness level groups were found on all clothing norms variables in all students three clothing norms variable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one clothing norms variable in lower and higher students and in each clothing norms variable the mean discrepancy scores of the high uniquenes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discrepancy score mainly contributed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s described above.bed above.

  • PDF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 허영선;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1-13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병행 삼각 설계(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의 절차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기준틀(UNESCO의 TLO)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TLO의 9가지 주제에 대해 빈도를 조사한 결과 세계시민교육 내용은 2015 개정 가정과 12종 교과서 전체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주제가 다뤄진 비율 중 사회·정서적 영역은 54.6% 정도를 차지하였다. 특히, TLO 4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TLO 5, TLO 1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2종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된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를 가정과 학습 영역별로 분류해 본 결과 아동·가족생활 영역(94개)은 모든 학습 주제와 가장 큰 관련성을 보였으며, 식생활(13개), 의생활(13개), 주생활(15개), 소비생활(14개)은 비슷한 분포로 학습 주제를 나타내었다. 아동·가족생활 영역은 청소년기 발달과 특징, 가족 관계, 성폭력과 가정 폭력 예방,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 양립,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에서, 식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에서, 의생활 영역은 의복 관리와 재활용에서, 주생활 영역은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주거생활과 안전에서, 소비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내용 요소가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주제와 관련성이 있었다. 이처럼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와 가정과 모든 학습 영역별 학습 내용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가정과에서는 세계시민교육과 가정교과와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어떻게 적용될지 파악하여 앞으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개선 및 교과서 개발의 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