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 여유량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여유량이 포함된 제도식 검증에 관한 연구-길원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amining the Calculation Including the Ease Amount for Bodice Pattern)

  • 구미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05-112
    • /
    • 1997
  • 본 연구는 5개의 팔동작시 상반신의 체표계측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여유량이 포함된 제도식을 산출하고 이 산출식을 착의평가를 통해 검증함으로서 인체에 적합한 원형제작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식 산출을 위하여 각 세로 및 가로기준선의 구간길이 및 4항목의 계측이 행해졌다.자료분석결과를 요약하여 내려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착의평가결과 길원형에서 팔동작시 여유량이 요구되는 부위는 가로기준선, 진동깊이, 뒤품, 앞품이었다. 체표계측치로부터 구한 제도식은 가로기준선의 경우 B/2+4.1 cm, 진동깊이 B/6+6.8 cm, 뒤품/2은 B/6+3.9 cm, 앞품/2은 B/6+2.0 cm로 보정되었으며, 유두길이는 보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B/4+4.3 cm이다. 이 제도식은 의복제작에 필요한 최소여유량을 포함하며 인체에 밀착된 의복제작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3차원 동작분석장치를 이름한 하지동작 연구 (A Study on Walking Movements for Skirt Patterns with 3D Motion Analysis System)

  • Kim, Jung-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03-1613
    • /
    • 2001
  • 본 연구는 동작분석장치를 이용하여 하지동작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실제 동작 시 적응 할 수 있는 의복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하지부 실루엣 변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퇴돌기점을 기준으로 본 하지동작의 진행방향 이동과 상향 방향이동을 살펴보았는데 보행유형에 따라 여유량이 특히 요구되는 부위가 각기 다르며, 부위별 필요 여유 량도 각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 이러한 보행유형 별 스커트 실루엣의 특징은 기능복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하겠다. 평지보행 시는 발목부위가 전면방향보다 후면방향으로 이동의 범위가 크므로 트임이나 주름이 뒷면에 있는 것이 적합하고, 계단승강이나 버스승강의 경우 무릎전면에 여유량이 필요하므로 주름이나 트임을 앞쪽에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대퇴돌기점 높이정도에서 시작하여야 하고 무릎아래에 있는 앞트임은 하지동작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신축성소재 셔츠 블라우스의 여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opriate Size Tolerances for the Female Shirts Blouse of Stretchable Fabric)

  • 한진이;조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9-300
    • /
    • 2000
  • Stretchable textile materials are getting more widely used in clothing industry. Among others are two obvious reasons which make it so desirable to young female customers, i.e., better confort with motion and more closely fitted silhouette. But these two points cannot get along well always. If a manufacturer try hard to make his products too closely fit, then the products are even less comfortable than made of non-stretchable material. On the other hand, if a stretchable garment are developed to be too comfortable with plenty of size tolerance. it cannot attract customers who are looking for something closely fit. So the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ppropriate size tolerances.

  • PDF

체형별 남성상의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Basic Bodice Patterns According to Somatotypes)

  • Kim, Jinsun;Lee, Wonj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54-176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적합성과 기능성이 고려된 체형별 남성 상의 원형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인체계측자료와 측면체형 사진에 의해 선정하고, 체형은 굴신체형, 표준체형, 반신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체형별 실험 원형 패턴의 평가를 위하여 기존원형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의평가 결과 표준체형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적합하였으나, 굴신체형과 반신체형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앞길이와 등길이 뿐만 아니라 여유량과 윗 가슴둘레에 서 나타난다. 앞품과 뒤품은 외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증가된 옆품은 앞품과 뒤품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실험패턴은 기존패턴보다 각 체형에 더욱 적합하며, 체형 적합성과 동작기능성이 고려된 의복 제작을 위한 패턴설계는 인체의 구조와 동작연구에 의해 가능하였다. 2. 기본원형 패턴 설계를 위한 필요치수는 목뒤높이, 등길이, 앞길이, 윗 가슴둘레, 앞품과 뒤품이며, 체형분류의 기준은 윗 가슴둘레, 앞품, 뒤품, 앞길이, 등길이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가슴둘레 선은 [(B/2+B/10), 뒤진동깊이는 [(B/10+목뒤높이/10)]로 설정하고, 앞내림은 1.5cm로 하였다.

  • PDF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재킷의 패턴 사이즈에 따른 착의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y-Made Jacket for Women according to Pattern Size Using 3D Scanner)

  • 서추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390-40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기성복의 맞음새와 치수체계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여성복 재킷을 중심으로 사이즈별 각 패턴의 치수 및 공극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킷에 대한 관능검사(self sensory test)결과, 패턴 B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동일한 사이즈의 의복임에도 불구하고 재킷의 착용감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패턴 계측 결과 각 브랜드간의 패턴 그레이딩 량은 차이를 나타내어 동일한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여유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직방향보다는 수평방향의 증가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3D scanner를 이용하여 인체 및 착의인체를 스캔한 결과, 3차원 입체 형상으로 의복의 착의상태를 볼수 있으므로 2차원 정보를 얻을수 있는 사진촬영 결과에 비하여 활용성이 높으며 촬영거리에 따른 피사체의 왜곡이 없으므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패턴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B88사이즈의 허리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결과에서는 품, 배, 엉덩이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들 부분의 여유량 설정에 신중을 기하여야한다.

여성 점퍼슈트의 산업패턴 비교 분석 연구 - 동작에 따른 여유분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dustrial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 Focusing on the surplus according to the movement -)

  • 김민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2호
    • /
    • pp.226-242
    • /
    • 2022
  • For clothing items that combine the top with the bottom, such as a jumper suit, it is necessary to design original forms to develop clothes in various styles that can satisfy aesthetic and functional needs. Therefore, to determine the original forms of women's jumper sui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being sold in the market comparatively and evaluate their fitness. For the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obtained five types of women's jumper suits from local brands and compared the patterns' measured sizes, then conducted exterior evaluation on the surplus according to five different movements and analyzed the values of distortion of clothing pressure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basic posture, brands A and C received favorable results, while in the other movements, brand B, which had the biggest surplus on the bottom, was evaluated favorably. In conclusion, in the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a bigger surplus is added to either the crotch length or crotch girth rather than the top length, and the top and the bottom tend to have a different surplus according to the design. In addition, based on the values of body surface lengths according to the range of mov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dditional surplus be added to the length.

중년비만 여성용 재킷패턴의 여유량 분포에 따른 착시효과 (The Visual Illusion Using the Adequate Ease Distribution of Jacket Pattern for the Middle Aged Women of Obese Figure)

  • 손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9-483
    • /
    • 2008
  • Body image is important as it is related to self-esteem and can be enhanced by clothing and the degree of enhancement is related to clothing fi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find the adequate ease distribution of jacket pattern for the obese women who want to slenderize their shape by optical illusion.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visual appearance we collected and, at the same time, 3D clothing air volume was observed for the nine types of experimental jackets with different ease distribution.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jacket pattern for the obese women is that the front width of pattern is wider than what of back width in waist and abdomen. It was also noted that there was distance between clothing and skin in the girth around hip of jacket. 3D scanner clearly demonstrated the distribution of ease is useful to find the pattern variables responsible for the slender appearance of the obese women. The ready-to-made clothes for the obese women's clothing should be manufactured systematically in due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and scarcity of the obese women's body shape.

의복압 분석에 따른 중년 여성의 재킷비교평가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Jacket for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Clothing Pressure Analysis)

  • 이영숙;박은주;서추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85-495
    • /
    • 2003
  •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lothing pressure according to arms movements of 4 brands jacket for middle-aged women group by measuring clothing pressure of each br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jackets of 4 brands, in general, jacket C had the largest ease amount. while jacket A had a large ease amount in waist, hip areas compared with bust area. Also jacket B had a small ease amount in bust, waist areas and jacket D had a small ease amount in hip areas. Therefore the ease amount is different between each brand, each size even though jacket designs are similar. 2. It was found that clothing pressure was affected by arm movements than jackets. Since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arm movement for motion variation, it was recogniz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jacket and each movement at shoulder, waist parts existed with relation to this motion. 3. Part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size were bust point, abdomen point, center back point of abdomen level, angulus superior scapulae point and center back point of waist level. Also clothing pressure of size B91 was bigger than size B88 except Center back point of waist level. 4. Clothing pressure in shoulder point, front armpit point, back armpit point, upper arm point areas increased as the angle of the arms movement increased. Also, individual variation of clothing pressure in front armpit point, back armpit point, armpit point and upper arm point was large, and clothing pressure in abdomen point was high in M5(sitting posture).

3차원 가상 착장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별 니트 재킷의 맞음새 연구 -30~40대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s of Knitted Jackets According to Body types Using a 3D Virtual Try-On System -Focus on Adult Women in Their 30's and 40's-)

  • 도월희;박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32-1646
    • /
    • 2010
  •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fit preference of the knitted jacket according to body types for 30's and 40's adult women through a comparison of real and virtual fit. A five 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preference of real and virtual fi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ANOVA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17.0.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of the knitted jacket according to body types indicates that respondents preferred pattern 2 for body type N than the rest of the patterns; however, respondents preferred pattern 3 for body type A and H.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al and virtual fit preference. 3. It is necessary that the knitted jacket follow a similar size tolerance like a woven jacket. The results show that the next generation of virtual try-on systems need the development of a minus clothing ease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