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 선호디자인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어머니ㆍ딸 dayads를 중심으로 한 의복 선호ㆍ소유 연구

  • 김재숙;이소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5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Thibaut과 Kelley(1959)의 상호의존이론(a theory of interdependence)을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 중 가장 밀접한 어머니와 딸을 dyads로 하여 의복의 선호와 소유 사이의 관계를 아동과 청소년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피험자는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75명)과 고등학생(64명),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139명)로 편의 표집 방법에 의해 선정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의복의 측정 도구는 의복범주(2)×디자인의 복잡성(2)×여향성ㆍ남향성(2)의 요인설계로 하여 24종류의 의복 자극물로 구성되었으며, 자극물에 대한 타당성은 전문가 집단과의 토론 및 예비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중략)

  • PDF

20대 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 정재은;남윤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6
    • /
    • 1998
  • 의복은 사람의 신체적인 특징에잘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식죽(1989)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에대한 욕구는 다면적이고 모든 기능을 동시에갖는 것이 요구되어진다고 하였고 정삼호(1988)는 성인여성들은 연려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체형변화를 의복으로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의복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복 착용 자가 의복을 통해얻는 심리적 만족도는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적 만족도는 체형과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재은,1992). 이에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 및 체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옥연(1984), 식죽(1988), Labat-Delong(1990), 김용숙 (1990), Shim(1991), 구자명.이명희(1994), 고애란.김양진(1996) 등은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간에 관련 이 있음을 밝혔으며, 임숙자(1986), 김양진.강혜원(1992)은 신체의 결함을 의복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김정숙(1984)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므로써 안정감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또한, Douty. Brannon(1984)은 여성은 마른것을 선호한다고 하였고 Clayton 등(1987)은 의복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복 유행성 지각이 다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심리 학적 입장에서 행하여진 연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lothing Preference Analysis of Elderly Women for ZIGTECHnology Clothing Development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8
    • /
    • pp.89-98
    • /
    • 2020
  •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recognition patterns of elderly women's clothing preferences. For the type 1, knitted materials and natural materials were preferred, and pastel colors were preferred. The type 2 preferred pants that cover the body shape, look young, and have good simple activity. The type 3 was a type in which the waist was treated with a rubber band, the clothes were comfortable to wear and the loose style was preferred. The type 4 was simple and prefers a style with a raised neck and no fasteners, and a clothes that was comfortable to wear. Type 5 was a type that prefers a style that looks important and colorful and youthful in design or color. In order to develop ZIGTECHnology apparel for older wom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sign that can look aesthetically beautiful while covering the body shapes such as bending of the back and bending of the waist by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older wome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othing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movement functionality without obstacles to movement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behavior and movement of hands.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 이경림;박숙현;이영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65-67
    • /
    • 2003
  •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체형 부위별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선호하는 스타일이 아닌 자신의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의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장류 착용 경험이 많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인지도 및 만족도에 따른 아이템(재킷, 팬츠, 스커트)별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Clothing Behavior, and Purchase Behavior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Style of Adolescence in Seoul and Inchon (서울ㆍ인천 중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선호 스타일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 최수빈;조우현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5 no.3
    • /
    • pp.99-1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cathexis, preference in style,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Based upon the effect of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on adolescence clothing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classification of the future adolescence consumers for fashion marketing.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40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Inch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PSS. This study used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 PDF

Consumer Types Based on Preferred Design and Relationship to Lifestyle (II) -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Type to Preferred and Purchased Styles (선호디자인 감각에 따른 의복구매자 유형과 관련된 생활양식 특성에 관한 연구(II) -의복구매자 유형과 스타일 선호 및 구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Kim Young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3 no.4
    • /
    • pp.412-426
    • /
    • 198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consumer type to perferred and purchased Styles by clothing, life style, demographic, and information variables. Four consumer types were identified in study 1 (Kim, 1988). There were the casual, mannish, elegant, and feminine types. The present study used 20 line drawings representing the styles of summer '87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624 consumers $15\~69$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and analyzed by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and CROSSTABS. Descriptive profiles of the four categories were developed differently by clothing, life sty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sual and elegant types were preferred by middle-aged and married women, while mannish and feminine types were preferred by unmarried and younger women. The preferred design types of these groups were related more to preferences for clothing styles than purchased styles. All variables except occupation contributed to discriminate purchased sty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