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행동

Search Result 50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Comparative Factor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College Girl Students' Make-up and Clothing Behaviors (여대생들의 화장행동과 의복행동 간의 요인별 비교 분석)

  • Park, Mi-Hyang;Park, Ok-Lyun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2 no.4
    • /
    • pp.519-5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factor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college girls' make-up and cloth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Make-up behavior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whether doing make-up or not, motives of initiating make-up, sources of make-up information and references and expenses for cosmetics purchase. 2.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factors of make-up behavior and the sense of comfort. In clothing behavior,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aesthetic sense and fashionableness. In make-up behavior, however, those college students who were more aware of others and considered make-up more important as a means of skin care and self-change regarded aesthetic sense, one of the sub-factors of clothing behavior, as most important.

  • PDF

Gender Differences of Mail-Catalog Shoppers in Shopper Tendencies, Patronage Motive Strength, and Patronage Behaviors (카탈로그 구매자들의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에 관한 성별 차이 연구)

  • Yoh, E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51-15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카탈로그 구매자들이 의복쇼핑과 관련한 변인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총 207명의 의류카탈로그 소비자들을 남성그룹 (N=97)과 여성그룹 (N=110)으로 나누어 카탈로그 의복쇼핑과 관련하여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을 비교하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유희적, 가격 중시, 편리성 중시 구매자 성 향을 높게 보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남성 에 비해 카탈로그 쇼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더 높게 나타내었고, 특히 편리성, 용이성, 유희성, 안전성, 경제성 면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유일한 항목은 카탈로그의 브랜드 구색이었다. 이처럼 카탈로그 의복쇼핑의 만족도에 관한 성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카탈로그를 통한 의복쇼핑 행동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의류 카탈로그 업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Relating to store service quality,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 -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관계)

  • Park, Eun-Joo;Kang, Eun-M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9
    • /
    • pp.153-1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tore service quality,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 and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s. Data were collected from 481 women living in Busan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perceived risk was emerged the relationship to the easy-of-care and prestige/brand royalty of apparel products in evaluative criteria. The lower scores of salesperson service and store atmosphere were the high perceived performance risk by consumers. But the color/style of apparel products influenced positively performance risk. The care risk was emerged the relationship to the easy-of-care. And the time convenience loss risk and socio-psychological risk was influenced by prestige/brand royalty of apparel products. 2. The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was influenced by care risk, performance risk and the store atmosphere.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risk were influenced partially by store service quality and evaluative criteria of apparel. When were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consumers were influenced by care risk that easy-of-care and change after cleaning, and performance risk that coordination and the cost of buying, and then, were influence by store atmosphere and interior.

  • PDF

A Study on Clothing Complaining Behavior : Taxonomy Cause and Type (의복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 불평행동의 분류법과 원인, 유형을 중심으로-)

  • 홍금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3 no.1
    • /
    • pp.90-110
    • /
    • 1999
  • Understanding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s plays a key role in post-purchase satisfaction customer retention and long-term customer relationship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1) the taxonomy of complaining behavior 2) causes and types of clothing complaining behavior according to sex. The subjects compoed of 250 male and 358 female consuemrs. Data were colleted through questionnaires employing the critical incident methodolog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lothing complaining behavior was fitted well into Singh(1998)'s three-factor model(i. e. voice/private / third-party complaining behaviors) these factors explained 53% of the total variances 75.1% of male and 65.2% of female group complained of poor instruental performance. The types of complaining behaviors were no action negative word-of-mouth to friends and associates n order. Most dissatisfied consumers didn't assert positive consumer's right. Marketer should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ir complaint receiving mechanisms to passive customers.

  • PDF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Fashion Innovativeness, and Shopping in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미국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가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8
    • /
    • pp.1069-10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으로 측정하였고, 의복에 관련된 변인인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점포내 쇼핑관심과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복태도와 유행혁신성은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특정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또 신체 특정부위(얼굴)에 만족하면 할수록 의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으며 유행혁신성의 정도가 높았다. 쇼핑의 경우 점포내 쇼핑관심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의 중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부적인상관계를 보였다. 즉 신체에 만족할수록, 또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할수록 점포내 쇼핑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반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카탈로그 쇼핑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Make-up attitude,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 Chung, Mi-Sil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9 no.1 s.43
    • /
    • pp.35-4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ke-up attitude,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56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ive factors of make-up attitude were identified: pursuit of confidence, aesthetics, sociality, fashion and attractiveness. 2) Five factors of make-up attitude had Positive correlation related to clothing behavior i. e. aesthetics, exhibition, dependence and sexual attractiveness. 3) The aesthetics and dependence of clothing were influenced by pursuit of confidence, aesthetics, sociality and fashion. The exhibition of clothing was influenced by pursuit of confidence, pursuit of aesthetics and self-esteem. The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was influenced by self-esteem, pursuit of aesthetics, attractiveness and fashion.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igh self-esteem and low self-esteem on aesthetics and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igh body satisfaction and low body satisfaction on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 PDF

The Effects of Body-Cathexis on Clothing Preferences (신체만족도가 의복 선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1
    • /
    • pp.107-11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의복이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힙(hips), 가슴(bust), 목(neck), 다리에 강조점을 두는 의복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는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예로 응답자가 체중부위에 만족하면 할수록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의복과 밝은 색상의 의복, 허리와 힙을 강조한 의복을 선호하였다. 이성적 행동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20대 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 정재은;남윤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6
    • /
    • 1998
  • 의복은 사람의 신체적인 특징에잘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식죽(1989)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에대한 욕구는 다면적이고 모든 기능을 동시에갖는 것이 요구되어진다고 하였고 정삼호(1988)는 성인여성들은 연려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체형변화를 의복으로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의복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복 착용 자가 의복을 통해얻는 심리적 만족도는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적 만족도는 체형과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재은,1992). 이에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 및 체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옥연(1984), 식죽(1988), Labat-Delong(1990), 김용숙 (1990), Shim(1991), 구자명.이명희(1994), 고애란.김양진(1996) 등은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간에 관련 이 있음을 밝혔으며, 임숙자(1986), 김양진.강혜원(1992)은 신체의 결함을 의복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김정숙(1984)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므로써 안정감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또한, Douty. Brannon(1984)은 여성은 마른것을 선호한다고 하였고 Clayton 등(1987)은 의복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복 유행성 지각이 다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심리 학적 입장에서 행하여진 연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Body Cathexis, Weight Control Behavior on Clothing Behavior (체중조절행동과 신체노출 의복행동 상관연구)

  • 이영주;임숙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1
    • /
    • pp.1491-150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argeting college women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body exposure in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1) 85.5% of the college women participated i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53.5% of them wanted to lose more than 3kg of their weight. 2) College women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and thar showed less body exposure in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eight control degree. The weight control parts and unsatisfied body parts were almost matched : thigh, abdomen, hip, calf, and weight. College women preferred clothing that exposed neck, legs and shoulder more than clothing that exposed many parts of their body at the same time. 3) exposure in clothing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eight control degree, except for the exposure of breast in clothing.

어머니의 의복소비성향이 유아복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송영진;이선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61-61
    • /
    • 2004
  • 현대 사회에 들어와서는 소비자의 성향이나 소비패턴의 다양화로 인하여 소비자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보다 중요한 변수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자녀를 둔 주부들의 경우 자녀의 의복 소비성향에서 다양한 성향들을 나타내는데, 이는 사회구조나 가족구조의 변화에 따라 소득의 향상, 주부의 사회진출이나 낮은 출산율 등의 영향으로 유아복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