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행동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8초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7-10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의복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의복행동을 이해하구 초등학생에게 바람직한 의생활 교육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체적인 의복행동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의복행동의 하위 요인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의복자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복편이성, 의복관리성, 의복흥미성, 의복동조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의복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의복동조성, 의복흥미성, 의복관리성이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의복편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5학년은 6학년보다 의복관리성이 높게, 의복자립성은 낮게 나타났다. 한달 용돈이 2만원 이상인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의복동조성, 의복흥미성이 높게, 의복편이성은 낮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는 직업이 있는 경우보다 의복흥미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의복관리성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의복관리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의복을 잘 관리할 수 있다.

  • PDF

남녀노년층의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에 인구 통계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Jin, Sook-Hwang
    • 복식
    • /
    • 제37권
    • /
    • pp.5-15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설문지를 통하여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67명의 남성과 75명의 여성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의복 및 쇼핑과 관련된 변수로 의복태도, 유행의사 선도력, 기성복에 대한 만족, 쇼핑관심, 점포충성도가 사용되었으며, 인구통계적 특성은 수입, 결혼여부, 사회참여도, 학력, 나이, 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로 의복태도는 미혼일수록, 사회참여도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낱났다.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수입과 학ㄱ력이 높을수록 또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결혼여부, 학력, 성과 관련이 있었다. 즉 미혼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쇼핑에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유해의사선도력은 오직 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으며, 점포충성도 역시 학력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다. 남성과 여성 각각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는 남녀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이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 남녀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예로 남성에게 있어 결혼여부는 쇼핑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이나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이 쇼핑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업 종사자들은 노년층 남성 중 미혼자를, 노년층 여성 중 고학력자를 주요 표적으로 삼아 마케팅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의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행동 (The Environmental-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지예;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8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여, 환경친화적 의복 구매, 사용, 처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환경활동 경험은 보통 이상이며, 환경활동 경험 중 환경문제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환경친화적 가치관 중 환경보전 가치관이 가장 높게, 이타주의 가치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의복을 통하여 개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편안함과 가격을 추구했으며, 유행과 브랜드를 추구하는 성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의식 중 처분의식은 보통 이상이나 구매의식과 환경문제 인식은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의복이 유발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점을 감안해 의복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환경오염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환경친화적으로 의복을 소비하는 행동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사용과 처분 행동은 어느 정도 실행되나 구매 행동은 환경친화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그동안의 환경교육이 주로 자원 절약과 재활용 등 사용 및 처분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앞으로는 소비의 시작인 의복의 구매단계에서 환경친화적인 소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의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가격 추구 성향과 의복 처분의식은 의복 구매 사용 처분의 모든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A Teenager′s Materialistic Sense of Value on Their Clothing Behavior)

  • Lim, Sook-Ja;Lee, Mihyu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19-1727
    • /
    • 2001
  •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하여 준거집단이나 사회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으며, 의복과 외모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통적 가치관이 무너지고 소비 지향적인 물질주의 가치관이 팽배한 사회 분위기 속에 이들의 심리적 변수인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강남과 강북에 위치한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사용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MANOVA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의 의복착용행동에 영향을 미쳐,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의복 착용시 심미성을 더 중시하고 의복에 대한 관심과 의존도가 높으며, 의복을 또래집단과 비슷하게 입으려는 동조성도 더 높았으며 의복을 통해 과시하려는 경 향도 높았다. 그러나 의복착용시 정숙성은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이 의복을 구매할 때도 영향을 미쳐,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의 의복구매동기는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에 비해 더 충동적이고 과시적이며, 유행과 개성 지향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실질적이거나 실용적인 구매동기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주의 가치관에 따라 청소년의 의복 구매시 사용하는 정보원천과 즐겨 구매하는 장소도 차이가 나타나,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청소년이 물질주의 가치관이 낮은 청소년보다 의복 구매시 정보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정보원천을 사용하며, 다양한 구매장소를 활용하며, 더 비싼 의류제품을, 더 자주 구매하며, 쇼핑을 위해서도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이들의 의복관심과 의복착용 그리고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청소년의 의복동조 준거특성 및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연구: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 according to the clothing behavior conformity and the attitude toward the name-brand: In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area)

  • 신선미;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30
    • /
    • 2014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복행동과 관련하여 동조적 준거특성과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의생활지도와 가정 교과의 의생활 교육 영역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가져오는 일반적인 변수는 성적과 월 용돈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이 높고 월 용돈이 20만원이상이거나 5-10만원인 경우 유명브랜드를 더 선호하며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의 의복행동동조 준거그룹은 부모동조, 친구동조, 매스미디어동조의 세 요인이었으며 유명브랜드 요인은 네임이미지선호 요인과 품질선호요인이었다. 부모동조요인이 친구나 매스미디어동조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세 요인의 전체평균은 보통수준 이하였다. 의복행동 동조준거특성은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의 요인에 비해 더 큰 차이를 가져왔으며 친구와 매스미디어의 동조경향이 강한 그룹이 부모동조의 경향이 높은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유명브랜드를 선호하였다. 의복행동의 동조준거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보통수준일 때 친구와 매스미디어의 동조가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학교생활적응경향이 높았다. 또한 부모동조경향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그룹 또한 학교규율과 교우관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인 수준에서 의복행동 동조준거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이 유명브랜드를 선호하는 경우 학교규율적응은 낮았고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적응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학습적응에 있어서는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의 의복행동 동조는 극단적이지 않으며 보편적인 수준에서는 친구와 대중매체의 의복행동의 동조와 유명브랜드를 선호하는 태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주5일 근무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이선재;최정원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03
  • 주5일 근무제는 높아지는 생산력과 원활한 재생산을 담보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여, 한 나라의 경제발전단계가 양적 성장단계에서 질적 성숙단계로 전환하는 시기에 도입이 요구되는 중요한 제도적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관계를 밝혀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유형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마케팅의 기초분석자료로써 달라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변화를 인식하여 합리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 의류업계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여대생의 의복 행동 비교 연구

  • 임성경;한명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37-139
    • /
    • 2004
  • 의복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그 사회의 변화를 조절하는 집합적 요소로서, 그 시대의 사상이나 행위 및 관습 등 인간 행동의 변천과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반영해 주는 가장 가시적인 도구이다. 의복은 자신의 문화는 물론 다른 문화를 이해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므로,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의복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는 것이다. 문화의 다양성으로 각각의 문화는 다양한 의복 스타일을 갖게 되었다. (중략)

  • PDF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의복추구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 염인경;김미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86
    • /
    • 2003
  • 의복은 비언어적 상징으로서 의사를 전달하는 무언의 언어로 이용되어 사람들은 의복을 통해 자기를 나타내며 동시에 다른 사람을 지각하고 평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은 현대사회에 와서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미지라는 감정적ㆍ주관적인 요소로써 의류상품을 평가,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 이미지에 따른 실제 착용하는 의복이미지, 추구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의류산업체에서 의류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서울ㆍ인천 중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선호 스타일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Clothing Behavior, and Purchase Behavior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Style of Adolescence in Seoul and Inchon)

  • 최수빈;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9-1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cathexis, preference in style,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Based upon the effect of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on adolescence clothing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classification of the future adolescence consumers for fashion marketing.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40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Inch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PSS. This study used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