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유형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6초

성격 유형별 선호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 행동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 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06-61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Clothing image preferences were measured using 28 adjectives of 5-point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female using questionnaire to prefer on clothing images,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and retail store types. The data analysed with crosstab analysis, t-test, MDS.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ual, sporty, fresh, youthful, western, and simple more than introversion types. Sensing and intu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inine and strong image. Sens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eminine style more than intuition types. Think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simple image more than feeling types. Judging and perceiv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ceful, lofty, and strong image. Judg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graceful and lofty style more than perceiving types.

  • PDF

소비자의 내적 특성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 의복탐색행동, 점포유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Impulse Buying Behaviors of Apparels)

  • 강은미;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86-597
    • /
    • 2001
  • 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tore types and impulse buying behaviors of apparels. We collected data from 469 consumers of women college student living in Pusan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chi$$^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consisted of the Change seeking, Risk seeking, Artistic seeking, Curiosity seeking and Unusual seeking. The exploratory behavior of apparels were divided into six factors; Particularity exploration, Innovation exploration, Store exploration, Brand royalty exploration, interpersonal exploration and brand-seeking exploration. Second, In comparison with the unimpulse-buying group, the impulse-buying group intended more then Change seeking, when apparel explored, Particularity exploration, Innovation exploration and Brand exploration. Impulse-buying group preferred the department store, unimpulse-buying group did the specialty store.

  • PDF

의복구매시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Seeking for the Purchase of Clothing)

  • 박혜선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1-122
    • /
    • 1998
  • 본 연구는 의복 소비자의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의 유형을 밝히고,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의 관계와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76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들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의복 소비자의 위험지각은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경제 및 성과위험, 심리적 위험, 시간손실 위험, 사회적 위험, 유행성 손실 위험이었다. 정보탐색은 광고, 점포내 관찰, 기억속의 정보, 주위의견으로 모두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의복 지출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 PDF

시베리아 문화권 민속복식의 색채문화에 관한 연구

  • 김문숙;김완주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9-69
    • /
    • 2003
  • 의복은 인간의 일상적인 필요에 따라 존재의 수단으로서 중요성을 가지며, 장식과 기능적인 디자인이 요구되는 예술의 한 부류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의복의 유형은 가치관, 언어, 종교 및 다른 감정적인 면과 더불어 그 사회의 문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시베리아 문화권의 의복을 살펴보면 인간과 동물세계의 우주론적 연계에서 자기 부족의 생존이 달려있는 동물의 영혼을 즐겁게 해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여 의복을 아름답게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 PDF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 김세희;이은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3호
    • /
    • pp.33-46
    • /
    • 2000
  •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의류 상품의 판촉에 초점을 맞추어, 판촉의 여러 방법 별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그 반응 경향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에 대한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과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거주 여성 4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판촉의 각 방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는 가격 할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디스플레이, 쿠폰, 사은품, 백화점 패션쇼, 경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 할인, 디스플레이, 사은품, 쿠폰, 백화점 패션쇼 등 5가지 판촉 방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판촉에 대한 반응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5개 집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들 중에서는 소비자 자신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만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판촉 태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은 의복 쇼핑 성향 및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 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증적 연구의 결과 판촉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별로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의류 상품의 판촉 전략 수립시 표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판촉 방법 선택이나 판촉 정보 전달 경로 등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를 들어, 신중/경제적 쇼핑 성향을 가지며 판촉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 전달 경로를 통해 가격 할인이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판촉 방법이 될 것이며, 쾌락/유행 지향적이고 상표/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잡지, 인적 정보, 카탈로그 등을 정보 전달 경로로 하여 디스플레이나 패션쇼를 통해 판매 촉진을 할 수 있을 것이다.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 PDF

A Study of Subjectivity about Virtual Fashion

  • Su-Joung C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89-202
    • /
    • 2024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가상의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상의류에 대한 인식은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제1유형은 가상의류 이용을 선호하고 가상의류가 맞음새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가상의류 신뢰 맞음새 파악형이었다. 제2유형은 가상의류가 디자인 파악에 도움이 되고 모든 쇼핑몰에 가상의류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쇼핑몰 도입 긍정 디자인 파악형이었다. 제3유형은 가상의류가 환경오염을 줄여주고 실제 입을 수 없는 가상의류를 구매하고 싶어하는 환경오염 감소 가상의류 구매형이었다. 제4유형은 가상의류가 실제의복과 유사하고 가상의류가 쇼핑을 즐겁게 해준다고 생각하는 실제 의복 유사 즐거움 추구형이었다. 유형에 따라 아바타의 치수조절, 의복 디자인 표현 강화, 아바타 꾸미기 아이템 구비, 판매용 가상의류 제작 등이 요구되었다.

의복유형과 헤어스타일이 남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thing Type and Hair Style on Men’s Impression Formation)

  • 임남영;강승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340-3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othing type and hair style on men’s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4×2×2×2 (clothing type×hair style×perceiver’s age×perceiver’s role) factorial design with between-subjects design. The stimuli of color photographs of male in his 20's model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881 men and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SPS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s factor analysis, t-test, and Cronbach’s a to measure the reliability.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our factors were derived to account for the dimensions of impression formation. These were dignity, activity, individual character, and social intercourse. Men evaluated individual character factor higher than women did. Dignity factor was evaluated higher by students, while social intercourse factor was evaluated higher by office workers. The clothing type of shirts/pants was evaluated to be more active and more sociable than of jacket/pants. Men wanted to exhibit natty image and women did elegant image through clothes.

  • PDF

착용자의 체형과 의복유형, 무채색 톤 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arer's Body Type and Clothing Type, Neutral Tone Combin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 팽숙경;강경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9_10호
    • /
    • pp.1207-12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wearer's body type and clothing type, neutral tone combin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The 7-point semantic). the stimuli are 90 pictures manipulated with wearer's body type, clothing type and neutral tone variation by computer simulation. The subjects are 54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in Kyung-nam. The result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Impression factor of the stimulus consisted of the 5 demensions(tenderness, cuteness, attractiveness, elegance, intrepidity). Wearer's body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five factors. Especially, it had the strongest effects on attractiveness. Clothing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nderness, attractiveness, intrepidity. Neutral tone combina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factors except elegance. In regarding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combination of clothing type and neutral tone combin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ractiveness, elegance, intrepidity.

성격유형별 의복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Clothing Life-Styl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on Personality Types)

  • 권보애;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27-938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difference of clothing life-style and to examine clothing buy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identif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60 female adults using a questionnaire to clothing lifestyl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actor analysis, one- 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shion-oriented', 'self-regulate-oriented', 'activity-oriented', 'economic-oriented', 'social-oriented', 'leisure-oriented' and 'conservationoriented' clothing life-styl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sychological types. Second, Extroverted(E) or Sensation(S) or Feeling(F) types regarded significantly higher in 'VMD', 'store atmosphere', 'famous brand name and store name' as criteria for store selection than combination types(IN, IT, NT) of Introverted(Ⅰ), iNtuition(N), Thinking(T). Third, Sensation Judgement types(SJs) of a patron temperament preferred a 'plan-oriented' life-style and considered 'famous brand name and store name' important. Sensation Perceiving types(SPs) of an artist temperament had an 'unplanned' clothing life-style and a significantly higher impulsive buying orientation than SJs.

유방 및 브래지어 유형에 따른 의복압과 주관적 감각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Depending on Breast and Bra Type)

  • 손부현;최진영;권수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86-60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in brassieres depending on breast type or bra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reast type. The flat type breast and drooping type breast have a lower subjective satisfaction. Satisfaction for 3/4WL is the largest; however, 1/2W having low preventing breast shake and no-wire bra having low bust-up or low arrange-breast are required enhancements in bra function. The results are useful to provide basic data and produce high-quality brassieres depending on breast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