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색채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블라우스 종류에 따른 감성 및 최적 색채 톤 (Sensibility According to Blouse Type and Their Best-fit Color Tone)

  • 박기주;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123-134
    • /
    • 2014
  • 스타일이나 색채 톤과 같은 의복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은 섬유패션산업에서 소비자와 시장에 대하여 제품의 호소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호소력 높은 섬유패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의복의 감성과 적절한 용도의 관련성과 같은 상호관련 또는 복합적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색채 톤과 여성의 대표적인 의복 블라우스의 감성을 측정하고 블라우스 종류에 따른 최적의 색채 톤을 발견하는 것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블라우스 종류와 색채 톤 사이에 의미있는 연관성을 발견하였다.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종류는 셔츠 블라우스와 브라이트 톤이었다. 비비드 톤도 선호하였지만 블라우스로는 부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블라우스에는 색채톤 중에서 브라이트 톤이 가장 잘 어울린다고 답하였으며 각 블라우스 종류마다 1-2가지 최적 색채 톤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블라우스의 감성과 색채 톤의 감성 간에 깊은 상관이 있었으며 블라우스의 감성에 따라서 최적 색채 톤이 결정되었다. 이는 성별, 전공유무와 상관이 없이 거의 동일하였다.

성인남성의 의복색채선호와 색채관심에 관한 연구 -연령, 성격, 피부색을 중심으로- (A Study on Adult Men′s Color-Preference and Color Interest in Clothing -Focusing on Age, personality and Skin Color-)

  • 류숙희;김보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2호
    • /
    • pp.308-3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interest, the preference for clothing color, in men of their 20s and 30'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546 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PS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s factor analysis, t-test, x²-test, Scheffe test, and Cronbach's α to measure the reliability.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terest for clothing color was related to individual factors. (age, marriage status, personality). 2. men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neutral color, blue, yellow. 3. Men in their 20s and 30s liked monochromatic match in clothing color. 4. The preference for clothing color were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age, personality, skin color.

  • PDF

시베리아 문화권 민속복식의 색채문화에 관한 연구

  • 김문숙;김완주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9-69
    • /
    • 2003
  • 의복은 인간의 일상적인 필요에 따라 존재의 수단으로서 중요성을 가지며, 장식과 기능적인 디자인이 요구되는 예술의 한 부류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의복의 유형은 가치관, 언어, 종교 및 다른 감정적인 면과 더불어 그 사회의 문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시베리아 문화권의 의복을 살펴보면 인간과 동물세계의 우주론적 연계에서 자기 부족의 생존이 달려있는 동물의 영혼을 즐겁게 해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여 의복을 아름답게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 PDF

한국 성인남녀의 의복 선호색 (Color Preference for Clothing of Korean Adults)

  • 김영인;문영애;한소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64-975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lor preference for clothing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and to provide the useful data for the fashion color plan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ferences in hue and tone are different mainly by season. The most preferred colors in clothing are YR, B and Y. Y is preferred in spring, B and W in summe, YR in fall, Gy and Black in winter. The most preferred tones in clothing are pale tone in spring and summer, dark tone in fall and winter. The color preference for casual wear is more varied than the color preference for formal wear. The tones of low saturation are preferred for formal wear and the tones of high saturation are preferred for casual wear.

  • PDF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 연구 (A study on visual sensibility of color combination for clothing)

  • 은소영;이경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72
    • /
    • 1999
  • 본 연구는 의복배색에 의해 표현되는 다양한 감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성복을 대상으로 배색(2색배색)에 따른 시각적 감성의 구성요인, 시각적 감성의 차이, 시각적 감성 포지셔닝, 선호도ㆍ구매욕구ㆍ고급감ㆍ쾌감과 시각적 감성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은 서울ㆍ부산 지역의 20대 여성 8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배색연출, 배색방법, 지역에 따른 시각적 감성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의복 색채기획 및 감성을 바탕으로한 마케팅 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의복 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Fashion Image Segmentation of 20's Female Apparel Market and Apparel Color Preferences)

  • 김영인;고애란;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segment 20's female apparel market using consumer's fashion image preference in formal wear, and 2) to identify the group differences in seasonal color (hue and tone) and color image (image associate with lightness and chroma) preference as well as in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253 females in their late twenties living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 -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ur fashion image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using consumer's fashion image preference: Elegant image group, Sexy image group, Lively image group, and Romantic image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image groups in hue preference for spring clothes, tone preferences for spring and fall clothes. Color images are associated with lightness for spring and summer, and are associated with chroma for spring, summer, and fall. Group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were found in socio-economic status and average expenditure for formal jacket.

  • PDF

개인색채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 의복색 경향 (The Trend of Clothing Colors Fitted for Personal Color Types)

  • 박화순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5-24
    • /
    • 2002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lothing colors fitted for personal color types and to help consumers express individual characteristics by clothing colors suitable for themselves. The comparison of sixty three clothing colors with three personal color types. an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best clothing colors of each type have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Those belong to warm Personal Color Type don't have a variety of choices for clothing colors. so they should be careful of choosing clothing colors. They will do well to choose dark tone colors for their clothing. Those of Cold Personal color Type have a wide range of choices for clothing colors. They have an advantage of expressing themselves in various ways. Neutrals, Blue and Yellow have been found to go well with them. Those of Mixed Personal Type are advised to wear bright and pale tone colors such as Purple, Green, and Red. It will be desirable that the choice of clothing colors should conform to each personal color for the tones of clothing colors should conform to each personal color for the tones of clothing colors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 color types.

영향 변인에 따른 색채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차이 -유행 몰입도, 연령, 신체 치수 및 신체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 by Influential Factors -Focusing on fashion involvement, age, body size and body-cathexis)

  • 이명희;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8-199
    • /
    • 2003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general &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POA) by influential factors(fashion involvement, age, body-size and body- cathexis). We collected data from 303 females in the ages of 20's and 40's living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fashion involvement was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coordinating fashion involvement, opinion-leading fashion involvement, and innovating fashion involve 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involvement groups in the color preference and POA.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s and POA by ages and body-size were found. But in the analysis based on body-cathexis, no noticeable variance between different groups were found.

고구려의 관복 제도

  • 정완진;남윤자;조우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8-28
    • /
    • 2004
  • 본 연구는 문헌사료와 고분벽화를 토대로 고구려 관복 제도의 변천과정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의 관복 제도를 살펴보면 의복은 유고제를 유지했으며 관등 고하에 따른 유고의 색채나 소재상의 규제는 보이지 않는다. 신분표시의 기능은 주로 관모가 담당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문헌에 나타난 3세기-7세기까지의 고구려 관모 제도를 고분벽화를 참조하며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회화에 표현된 한국전통 복색(服色)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 이미경;김혜연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43
    • /
    • 2001
  • 색상특성은 각 계열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 으로 고명도.저채도 중심으로 황색계열과 청색계열 은 고명도 위주의 분포특성을 보였다. 이어 반하여 적색계열은 비교적 색조의 영역이 넓었으며 고채도 의 분포특성이 두드러졌다. 자색계열은 저명도.중 채도, 녹색계열은 고명도.저채도 중심이었다. 남.녀복의 색조유형으로서 여복에서는 white보다는 tone 중심의 색조특성이 나타났으며. 남복에서는 white를 제외한 tint의 색조유형이 많았다. 이는 당시대인의 백색지향 의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음양오행론의 배색원리에 의해 검토한 결과 여복 은 상생이 남복보다 낮게 집계되었으며, 반대로 파버 비렌의 색채조화의 배색원리에 의한 검토 철과는 남 복보다 여복의 적용수치가 높았다. 이것은 감각적인 색채조화 보다는 의례적인 성향이 좀 더 징한 남복이 서구의 색채조화의 척도에 적합하지 않은 결과로 추측된다. 전통복의 배색특성은 남녀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 이고 있었다. 여복의 기본 복식구조인 저고리/치마 는 백/청색계열, 백/황색계열과의 배색이 중심으로서 면적대비 및 명도대비에 의한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저고리의 배색은 유채색과 백색계열 의 배색으로 채도대비의 성향이 강했다. 남복은 황/백색계열. 백/청색계열로 명도의 차가 크지 않았다. 포/띠의 의복 구성에 있어서는 흑색 또 는 적.자색 등의 세조대(細條帶)로 인해 채도대비, 면적대비, 명도대비의 배색효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한 한국인의 색사용의 특정은 복식의 전면에 등장하는 백색지향과 음양오 행설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백색위주의 색사용은 인공미가 배제된 자연미의 추구에 기인한 것으로 토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들을 담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 으로 한국전통 복식의 배색특성을 주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회화자료를 근거한 것으로 풍속화의 변색 및 탈색에 의해 당시대의 정확한 색채규명이 어려우며, 실물작품이 아닌 도판을 통한 측 색으로 색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연구의 한계 점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