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디자인 평가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1초

메카트로닉스 산업용 일반 작업복 개발 - 춘하 및 동절기 작업복 평가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Work Clothes for the Mechatronics Industry through Evaluating Spring-Summer and Winter Suits' Clothing Performance)

  • 박진아
    • 복식
    • /
    • 제61권9호
    • /
    • pp.97-113
    • /
    • 2011
  • To develop the work clothes for the employees in the mechatronics industry i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on many aspects of the work clothes such as type, color, detailed design and function preference of the subject employees has been carried out in the study. The results throughout the survey highlighted certain functions such as extensibility, thermal and air permeability of importance for the work clothing performance. To improve the discomfort caused by some work motions (i.e. squatting down, ascending/descending the stairs, raising arms), more allowances were given to the measurements (i.e. body rise + 2cm and crotch depth + 1cm for squatting down pose; thigh circumference + 1cm and knee circumference + 1cm for ascending/ descending the stairs pose; chest circumference + 5~6cm and jumper length to the level of hip circumference line for raising arms pose) for work clothes patternmaking. The evaluation of the two types of spring/summer and winter work clothes' clothing comfort and wearer mobility suggested certain points to improve the clothing performance (e.g. ventilation slits on the back pleats, arm pits and collar band of the spring/summer suit using net material and lining for the winter suit using quilted thermal materials) and wearer mobility (e.g. pants hem buckles for the easy work motion), which also enabled to fulfill the workers' work clothes design preference.

Comparison of Commercial Functional Incontinence Panty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01-212
    • /
    • 2021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여성 요실금 팬티 제품의 패턴을 분석하여 흡수층과 전체적인 패턴의 형태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기능성 요실금 팬티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시판 12개 제품을 분해하여 치수, 패턴 등을 분석하고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외관, 의복압을 평가하였다. 요실금 팬티의 치수 및 패턴 비교 결과, 같은 호칭의 제품임에도 부위별 치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같은 브랜드 제품도 디자인 및 흡수량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3차원 시뮬레이션에 대한 외관평가 결과, 앞면, 옆면, 뒷면 등 모든 항목에서 제품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9번 제품이 옆면의 허리 맞음새를 제외하고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복압에 대한 평가에서는 팬티 제품의 특성상 1번, 2번, 8번 제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붉은색으로 표시되었다. 향후 실제 착의실험 및 요실금 팬티에 대한 사이즈 규격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차원 가상착의에 의한 남성 Jean Pants 패턴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terns for Men's Jean Pants by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Evaluation)

  • 홍은희;어미경;김경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3-237
    • /
    • 2015
  •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ttern making methods of men's jeans and to analyze sizes of parts while also evaluating the appearance and fit according to a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Five types of patterns are selected for the analysis. For the appearance evaluation, the study conducted a virtual clothing simulation, created a perspective drawing, and applied Clothing pressure to each test outfit. First, according to the pattern comparisons, A and D had the shortest crotch length, while B had the longest; B had the narrowest crotch width, while C had the widest; C had the greatest waist circumference, and B had the smallest; C had the greatest knee and hem circumference, while E had the smallest. Secon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evaluation, E pants had the highest rating overall for the waist, crotch, knee, and hem comfort; A pants had the highest rating for the yoke line end and placement; and C pants had the highest rating for the side seam lin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ease of the waist, hips, hem and thighs were important factors (in that order) in determ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jean pants.

  • PDF

의생활교육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 문희강;이예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989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의류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초 중등 의생활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맞는 의생활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가정교과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네 개의 학회지에서 의(衣), 패션, 청소년, 아동, 초 중 고등학생, 10대, 틴(teen), 트윈스(tweens), Y세대 등을 주제어로 의생활교육 관련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영역, 연구 주제, 연구방법을 살펴보고, 시기별 연구영역과 연구주제의 변화와 교육과정 개편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총 175개의 논문이 의생활교육 관련 논문으로 선별되었고, 이의 반이 넘는 전체의 38.3%의 논문이 최근 5년 동안 발표되어 의생활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영역별로 분류한 결과 발표된 논문 수는 교육내용(65.7%), 교수학습법 및 교재연구(16.6%), 교육과정 및 교과서(6.9%), 교과인식(6.3%), 복합영역(3.5%), 교육평가(1.1%) 순으로 교육내용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연구주제별 논문 수는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56%), 의생활단원전반(13.7%),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13.1%), 복합주제(5.2%), 의복과 환경(4.6%), 의복재료의 이해(2.3%), 의복디자인(2.3%), 복식문화(2.3%), 의복관리(0.6%)순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가 74.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실험연구(9.1%), 문헌연구(8.6%), 복합연구방법(5.1%), 사례연구(2.9%)였다. 시기별로는 교과인식 영역의 연구가 최근 5년간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요구의 변화에 부응하는 학습내용의 개발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반면 교수학습법 및 교재연구 관련 논문은 그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나 최근 들어 다소 감소하였는데, 의생활교육의 흥미와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영역의 연구가 좀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 관련 논문은 최근 10년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에 대한 논문은 그 비율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이는 사회적 요구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이며, 또한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중 특히 초등학교에서 문제가 되었던 기능과 제작에 편중된 교육내용을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보완하여 의복을 통한 자기표현과 올바른 선택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게 된 배경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의생활전반이나 두 가지 이상의 주제를 복합적으로 다룬 연구의 증가는 통합적 의생활교육이 강조되는 최근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과 맥을 같이 한다.

  • PDF

방향성 소재 디자인을 위한 향과 색의 복합 감성 연구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do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 우승정;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37-47
    • /
    • 2003
  • 본 연구는 감성이 인체의 감각기관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인체가 느끼는 복합감정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향이라는 후각적 감각과 색이라는 시각적 감각이 복합적으로 어떠한 감성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향과 색 감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감성평가 척도제작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하여 향, 색, 의복 색채에 중복되는 19쌍의 형용사 어휘를 채택하였고, 예비 조사를 통하여 향 관련 어휘 1쌍을 첨부하여 총 20쌍의 감성 형용사를 양극 7점 척도로 감성평가 척도를 작성하였다. 전문가 집단인 시각디자인 전공 남녀 각 15명씩을 대상으로 개별 실험을 통해 후로랄 향, 자스민 향, 라벤더 향, 모과 향의 네 가지 향에 대하여 연상되는 색상을 I.R.I Hue&Tone 색채 표에서 선택하게 하고, 향과 선택한 색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향과 색에 대한 감성구조는 '심미성', '낭만성', '개성', '강도', '자연성'의 다섯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향 종류별 선택 색상의 빈도 분석결과 차이를 보였고, 성별의 선택색상 역시 다르게 나타났다. 향과 색에 대한 감성 척도 평균값을 구하여 감성을 기존 연구에서 밝힌 종류별 향에 대한 감성과 비교한 결과 유사하였다.

  • PDF

중국 연변 지역 조선족 대학생의 의류 제품 평가 기준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of Korean-Chines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China)

  • 김순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11-123
    • /
    • 2003
  •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Yanbian, China. Questionnaire was used for measurement tools to study the subject of the thesis.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against 450 college students from May 17 to June 5, 2001. The data for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AS PC program for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age, t-test, and one way ANOVA. The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are affect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monthly expense for clothing. The result was showed as follow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based on gender showed almost no meaningful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Means on factors considered highly in selecting clothes was studied. The result shows that 'fit to the body, 'quality', 'color' and 'pattern' are considered most highly and 'harmony with other clothes', 'after service', design' 'easy to manage' and 'price' are considered relatively highly, but 'brand' and 'trendy fashion' were not considered highly.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ed only in one area-trendy fashion-among three different income level groups.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between 500 and 2,000yuan showed a highest tendency compared to those with above 2,000yuan and those with 500yuan. In terms of evaluation criteria for garment based on monthly expense for clothing, 'brand' is the only area which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Respondents with monthly clothing expense of above 100yuan showed a higher means than those with below 100yuan.

  • PDF

동작 적합성 평가를 위한 3차원 가상착의 프로그램 활용 방안 - 남성 진 팬츠를 중심으로 - (Utilization of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Program Proposed for the Evaluation of Movement Fitness - Focusing on the Men's Jean Pants -)

  • 김경아;어미경;홍은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66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by which movement fitness can be evalu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garment simulation program. To this end, five types of jean pants for men were evaluated on the program by setting the avatars to make particular movements to examine the level of pressure on each body part. To verify whether the clothing pressure measurement produces valid and reliable results, virtual garment simulation program was utili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ressure on body parts depending on the type of test garment and motion. In addition, the clothing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were in line with the appearance evaluation results suggested by a previous study. Based on this set of results, the nomological validity of the clothing pressure measurement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Moreover, we employed an appearance evaluation along with the clothing pressure measurem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program;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pressure measurements and appearance evaluation measurements, indicating that measuring clothing pressures may well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appearance evaluation.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make valuable contributions in facilitating the digitaliz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uggested 3D virtual fitting programs as a solution to the long-criticized problem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movement fitness in existing virtual garment simulation programs.

  • PDF

미래병사체계를 위한 스마트 전투복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제1보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Battle Jacket for the Future Soldier System-Part I)

  • 우승정;이영신;최의중;김현준;이주현;박선영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77-290
    • /
    • 2005
  •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복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 미래병사체계의 한 부분인 스마트 전투복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래 전장은 정보의 습득과 전달이 승패의 핵심이 되는 정보전장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미래병사를 위한 스마트 전투복은 전투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각종 디지털 기기를 내장한 스마트 의류로서 전투복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착용성과 기기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파라서 인체와 의복, 디지털 기기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전투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기기를 병사 특유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치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병사의 체형을 예측하고, 미래 병사에게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각종 디지털 장치의 특성을 탐색하고, 동작과 인체의 구조를 연구하여 스마트 전투복의 최적 설계안이 도출되었다

  • PDF

유명브랜드 의류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소비감정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Cognitive Beliefs and Consumption Feelings As Predictors of Well-known Brand Apparel Purchasing Intention)

  • 정혜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248-260
    • /
    • 2002
  • 본 연구는 심미적, 상징적, 감정적 제품으로 특징지워지는 의류는 구매행동에 있어서 의류소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느낌은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인지적 요소와 아울러 감정적 요소도 소비자 행동연구에 포함되어야함을 주장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최근 상징적 제품으로 소비자들 사이에 커다란 호응을 얻고 있는 유명브랜드 의류를 중심으로 하여 1) 여대생들의 유명브랜드 의류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측면과 의복착용 시 경험하는 감정적 측면의 내용을 알아보고, 2) 이 두 요인의 유명브랜드 의류구매의도 예측력을 파악함으로써 의류소비자행동연구에서 소비감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덕성여자대학교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t-test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대생들의 유명브랜드에 대한 평가기준(인지적)은 디자인/브랜드 명성, 의복의 구성적 측면 그리고 실용성의 3차원으로 분류되었다. 2. 유명브랜드 구매의도집단은 비구매의도집단에 비하여 유명브랜드 의류에 대해 전반적으로 좀더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 명성과 스타일에 좀 더 긍정적 태도를 갖고 있다. 3. 여대생들의 유명브랜드 의류 착용 시 경험하는 느낌들은 즐거움/자신감, 능동적인, 후회의 3차원으로 밝혔다.

  • PDF

중등 "가정" 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 평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 (An analysis of examination items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teaching certification - Focusing on evaluation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 -)

  • 정상희;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5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10년간의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이하 '총 문항'이라 칭함)을 대상으로 분야별 출제 비율 분석, 평가 내용 요소(이하 '평가 요소'라고 칭함)에 따른 문항 분석, 임용 상세화 기준 개발 이전과 이후의 분야별 평가 내용 요소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학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30.9%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3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의 실제'(33.2%)가 가장 높았으며, '가정과교육의 본질'(3.2%)은 가장 낮았다. 둘째, 식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7.5%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조리원리 실습'(26.1%)이 가장 높았으며, '식생활 문화'(3.7%)는 가장 낮았다. 셋째, 의생활의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5%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비율을 보면 '의복 관리'(25.1%)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25.1%)이 가장 높았으며,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3.0%)은 가장 낮았다. 넷째, 주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1%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로는 '주거생활문화의 이해'(22.5%)가 가장 높고, '주거실내디자인의 이해'(10.7%)는 가장 낮았다. 다섯째, 소비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2.4%의 비중을 차지했고,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가정자원관리'(34%)가 가장 높았으며, '생애설계와 가정복지'(0%)에서는 전혀 출제되지 않았다. 여섯째, 가족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3.3%의 비중을 차지했고,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은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23.8%)가 가장 높았고, '결혼과 가족발달'(2%)은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임용 상세화 기준의 개발은 가정과 중등 임용 시험의 평가 영역별 내용 요소의 균등화와 다양화의 문제를 다소 완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