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동작성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생체신호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 조하경;조현승;구수민;송하영;강다혜;이주현;이정환;이영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9
  • 최근 생체 신호 센싱 기능의 의류가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생체 신호 측정 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치명적인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심전도 센싱 의류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심전도 센싱 스마트 의류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 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 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4 가지 의류 타임을 기반으로 인체의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곁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동작 잡음을 최소화하는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Clothing Preference Analysis of Elderly Women for ZIGTECHnology Clothing Development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65세 이상 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노년 여성의 의복 선호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인식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1유형의 경우 부드러운 니트 소재와 천연소재, 파스텔 색상, 스커트 착용을 선호하였다. 제2유형의 경우 체형을 커버해주고 젊어 보이는 바지를 선호하였다. 제3유형은 착용감이 편안한 의복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단순한 스타일과 착용감이 편안한 옷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제5유형은 디자인이나 색상이 중요하고 젊어 보이는 스타일을 선호하는 유형이다. 노년 여성의 ZIGTECHnology의복 개발을 위해서는 등의 굽음, 허리의 굽음 등의 체형을 커버하면서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고, 움직임에 장애가 없는 동작 기능성을 고려한 의복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0~50대 여성의 연령 및 실루엣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의복적합성 (Body Satisfaction and Fitness Apparel Depending on Age and Silhouette in Women 20~50 Years of Age)

  • 권수애;최종명;손부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0-49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ody satisfaction and fitness apparel depending on age and silhouette. The subjects were 254 females 20~50 years of age living in Chungju South Korea. There are various body types in women over the age of 35, the low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regular type, the upp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and the rectangular body type. In addition, there is a lower satisfaction level in circumferences related with apparel fit, especially in the sleeve length, armhole, and crotch length. Therefore, a size system is needed that considers various body types in ready-to-wear clothing for middle-aged women. Design, color, and pattern are most important in clothing purchases by unmarried women, but the ease of laundry management and price discounts are the most significant for clothing purchases by married women. The upp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is unsatisfactory in the size-fit of sleeve length and shoulder width, but the low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is unsatisfactory in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hip, abdominal, girth of skirt, and crotch length. The rectangular body type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are unsatisfactory in movement comfort, especially in hip girth and crotch length. The upper part of the body-development type is unsatisfactory in the movement comfort of the chest and elbow girth.

팔 동작에 따른 소매유무별 블라우스의 착의 공극량 변화 (A Change of the Gap in Dressed Blouses with Above-elbow Sleeves and Sleeveless According to Arm Movements)

  • 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779-1785
    • /
    • 2010
  • The experiment is designed to create some useful data on the dressed shapes that contribute to simulating the adaptability of clothes. We studied the dressed shapes of blouse with above-elbow sleeves and sleeveless according to five types of arm movement (basic posture, reach forward 45, 90, and reach lateral 45, 90) in the stand-pos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ressed shape through 3-D measurement Vivid 910 and to investigate the width, depth, area distribution and gap of the shape of blouses on the section map with a software program for 3-D shape analysis, Rapid Form 2004.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atio of depth per width in the stand-posture was lower than other arm movements and the reach lateral was higher than the reach forward. The gap of the upper body was a briefed 4 factor; front, front-side, back, and back-side. It was higher than the sleeveless with a change of the gap in the dressed blouse with above-elbow sleeves by arm movements per stand-posture. The divisional gap shows the adaptability of clothes according to the types of blouse and arm movements in the change of the ratio.

체형별 남성상의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Basic Bodice Patterns According to Somatotypes)

  • Kim, Jinsun;Lee, Wonj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54-176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적합성과 기능성이 고려된 체형별 남성 상의 원형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인체계측자료와 측면체형 사진에 의해 선정하고, 체형은 굴신체형, 표준체형, 반신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체형별 실험 원형 패턴의 평가를 위하여 기존원형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의평가 결과 표준체형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적합하였으나, 굴신체형과 반신체형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앞길이와 등길이 뿐만 아니라 여유량과 윗 가슴둘레에 서 나타난다. 앞품과 뒤품은 외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증가된 옆품은 앞품과 뒤품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실험패턴은 기존패턴보다 각 체형에 더욱 적합하며, 체형 적합성과 동작기능성이 고려된 의복 제작을 위한 패턴설계는 인체의 구조와 동작연구에 의해 가능하였다. 2. 기본원형 패턴 설계를 위한 필요치수는 목뒤높이, 등길이, 앞길이, 윗 가슴둘레, 앞품과 뒤품이며, 체형분류의 기준은 윗 가슴둘레, 앞품, 뒤품, 앞길이, 등길이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가슴둘레 선은 [(B/2+B/10), 뒤진동깊이는 [(B/10+목뒤높이/10)]로 설정하고, 앞내림은 1.5cm로 하였다.

  • PDF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Functional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 조하경;송하영;조현승;구수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67-474
    • /
    • 2010
  • 최근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동작 잡음에 의한 노이즈를 최대한 줄여 정확한 생체 신호를 측정 가능케 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향 요인별 고려 사항을 반 영하여 3-리드(lead)방식의 은사 자수의 직물 전극을 개발하고,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각 재모듈화형 의류 타입별 인체 동작에 의한 영향과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연속-부착형', '삽입-분리형'의 두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의류 디자인 모형의 모듈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동작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및 피드백 제품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Sensing and Feedback Product Design for Movement Monitoring)

  • 조현승;양진희;이강휘;이정환;박서연;최형익;전학수;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65-176
    • /
    • 2018
  • 본 연구는 시 청각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의류형 웨어러블 동작 센싱 및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 센서 제조 및 이를 적용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직물기반 동작 센싱 모듈 설계, 아동의 운동 흥미 유발을 위한 시 청각 피드백 시스템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SWCNT 기반의 동작 센싱용 신축성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이를 의복의 사지 관절 부위에 부착한 스포츠웨어를 디자인하였으며, 센싱 모듈을 설계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관절 동작 실험을 통해 센싱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악세서리 형태로 개발된 피드백 제품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웨어를 착용한 아동의 동작에 따라 빛과 소리로 반응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아동의 운동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아동용 스포츠웨어 및 악세서리 제품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창원국가산업공단 근로자들 작업복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작업분야별 작업복 기능성 및 동작요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rking Clothes in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Considering Clothing Performance and Motion Factors in Work Places-)

  • 박진아;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71-1583
    • /
    • 2008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working clothes in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o analyze the industrial workers' satisfaction with and preference to the working clothes in terms of the clothing performance and work motion factors. 1 major companies in machinery, automotive, industrial engineering, shipbuilding and rolling stock industries located i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firms. Approximately 900 work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e research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 employees were divided into 4 work groups, i.e. the $1^{st}$ work group: managerial, general affairs, sales, production planning; the $2^{nd}$ group: quality assurance, material planning and distribution, product inspection; the $3^{rd}$ group: electric, facilities, machinery, vehicles; and the $4^{th}$ group: cutting, pressing, rolling, welding and coating. (2) The significant work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ed by all work groups were air ventilation, noise and dust factors and in particular, the most dissatisfied factors evaluated by manufacture workers were insulation, noise, dust and vibration. (3) According to the employees' work motion evaluation, the work motion diversity and frequenc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work intensity. Besides, manufacture workers more frequently wore the working clothes even during the off-duty hours comparing to the evaluation of the other work groups. (4) The most important clothing performance factors considered by manufacture work groups were perspiration absorption, stretch, air permeability, tactile sense softness, soil proof in order.

슬랙스 동작 적합성 평가의 정량적 평가 기준 설정 (Establishing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Mobility test of Slacks)

  • 김선영;남윤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0-90
    • /
    • 2016
  • This study presents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y mobility test, conducted in the process of a slacks fit test. This study quantified the subjects' evaluation on the wearability of slacks to provide objectiv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for existing mobility tests. The subjects were women of standard bodytype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wearing slacks designed to test their mobility based on differences in ease in waist girth, hip girth, crotch length and knee length. A qualitative evaluation tested the wearability of slacks. Clothing pressure and gap area between the body and slacks were measured based on a quantitative evaluation. The clothing pressure and the gap area between the body and slacks (which reflect the results of the wearability test)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s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Clothing pressure tended to increase as the ease of slacks decreased; however, clothing pressure standards, that induce discomfort, differed by body parts. The hip, crotch, and knee area were relatively less sensitive despite the waist and the abdominal area sensitivity to clothing pressure. This study suggests the minimum ease for the appropriate wearing comfort of slacks by region and motion as standards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mobility tests. These was reset in accordance to the limits of clothing pressure when the minimum ease was considered as wearable but exceeded the clothing pressure limits.

미래병사체계를 위한 스마트 전투복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제1보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Battle Jacket for the Future Soldier System-Part I)

  • 우승정;이영신;최의중;김현준;이주현;박선영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77-290
    • /
    • 2005
  •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복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 미래병사체계의 한 부분인 스마트 전투복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래 전장은 정보의 습득과 전달이 승패의 핵심이 되는 정보전장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미래병사를 위한 스마트 전투복은 전투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각종 디지털 기기를 내장한 스마트 의류로서 전투복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착용성과 기기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파라서 인체와 의복, 디지털 기기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전투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기기를 병사 특유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치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병사의 체형을 예측하고, 미래 병사에게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각종 디지털 장치의 특성을 탐색하고, 동작과 인체의 구조를 연구하여 스마트 전투복의 최적 설계안이 도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