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복내기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lothing microclimate distribution on upper body for assessment of clothing comfort (의복의 쾌적성 평가를 위한 상반신에서의 의복기후분포)

  • 김양원;홍경희;박세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5-278
    • /
    • 2002
  • 의복의 쾌적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크게 미세공간의 온도, 습도, 기류인 의복내기후, 의복에 의해 피부가 받는 의복압, 의복과 피부와의 접촉감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인체의 상반신에서 의복기후분포를 파악하였다. 상반신에서 의복기후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남자 10명을 대상으로 25$\pm$1$^{\circ}C$, 습도 50$\pm$5%, 기류는 30cm/sec이하의 환경에서 의복기후를 측정하였다. 실험의복은 100% 면으로 된 긴 팔, 긴바지의 속내의를 착용하게 하였다. 측정결과 가슴에서의 의복내온도는 30.6~34.7$^{\circ}C$였고, 그 평균은 33.3$^{\circ}C$였다. 또한 의복내습도는 35.6~57.9%였고, 그 평균은 38.3%였다. 등에서의 의복내온도의 분포는 31.5~35.4$^{\circ}C$였고, 평균은 33.1$^{\circ}C$였으며, 의복내습도는 36.2~55.3%였으며, 평균은 38.8%였다. 상반신인 가슴과 등에서의 의복내온도와 의복내습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반신 전체의 의복내온도의 분포는 30.6~35.4$^{\circ}C$, 의복내 습도의 분포는 35.6~57.9%였다.

  • PDF

Seasonal changes in clothing microclimate (의복기후의 계절적 변동)

  • 김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4-168
    • /
    • 2001
  • 의복착용시의 쾌적성은 의복의 보온력 조절에 의해 의복내 기후를 형성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건강이나 쾌적성 평가의 측면에서 의복내기후가 체계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무실 환경에서 의복착용시 착용실험을 실시하여 계절적인 의복내기후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겨울 31.8$^{\circ}C$, 48.6%, 봄 33.5$^{\circ}C$, 47.9%, 여름 32.7$^{\circ}C$, 64.6%, 가을 31.9$^{\circ}C$, 43.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간의 차이는 의복내온도에 있어서 가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봄과 여름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의복내습도는 여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계절간에는 차이가 뚜렷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sponse and estimation of subjective sensation with cool biz (쿨비즈 복장에 의한 생리적 반응 측정과 주관적 감각평가)

  • Gang, Nu-Ri;Lee, Ji-Yeon;Na,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36-238
    • /
    • 2009
  •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냉방을 줄여 지구온난화 방지에 일조하고자 여름철에 가벼운 차림의 의복을 권장하는 쿨비즈 캠페인이 시작되었으나 이의 정량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온실가스 줄이기 및 직장인 등의 건강증진 등을 위하여 기후복장 적응형에 대한 범국민 인식 및 실천 필요를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쿨비즈에 의한 생리적 반응 측정 및 주관적 감각평가를 실시하였다. 1 차실험은 두 복장(전통의복,기후의복)의 피부온 측정실험으로, 환경온 25, $27^{\circ}C$, 상대습도 50% RH 에서 20 대 성인남성 4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피험자는 심신을 안정할 수 있도록 30 분간의 안정기를 가진 후에 60 분 동안 실험을 하였으며, 사무실 내 작업환경과 같은 분위기 조성을 위해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가벼운 대화나 컴퓨터 워드작업 및 설문을 응할 수 있도록 피험자 앞 책상 위에는 노트북을 설치해 두었고, 실험 진행기간 동안 피부온, 직장온, 습도, 발한량, 열화상 카메라,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 등과 같은 주관적 감각을 측정하였다. 2 차 실험은 동일 피부온 발현하는 환경온 찾기로 기준온도($27^{\circ}C$)에서 전통복장을 입고 온도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27^{\circ}C$ 기후 복장을 입은 상태의 피부온도와 동일해지는 실내온도를 측정한다. 착의 형태에 따른 피부온도 변화에서 환경온도 $25^{\circ}C$ 전통의복 기후의복에 의한 피부온도의 차이는 전통의복이 최소 0.3~최대 $1.6^{\circ}C$ 더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온도 $27^{\circ}C$에서 전통의복 기후의복에 의한 피부온도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전통의복이 최소 0.4~최대 $1.0^{\circ}C$ 더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감각평가에서도 기후의복보다 전통의복에서 온열감 습윤감 불쾌감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주관적 감각으로는 $25^{\circ}C$ 전통의복과 $27^{\circ}C$ 기후의복에서 중립적인 느낌을 나타냈다.

  • PDF

Detachable Liner and Insulation of Outdoor Clothing (착탈식 라인어와 아웃도어 의복의 보온성)

  • Kim, Chil-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56-176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시스템 내 에서 착탈이 가능한 라이너 가 있을 때 얼마만큼의 보온성 이 증가되는가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섬유조성 과 두께를 가지는 3개 의 의복앙상블을 선정하여 움직일 수 있는 마네킨을 사용하여 14$^{\circ}C$로 조절되어 있는 인공기후실에서 보온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라이너 사용 후 보온성이 증가되었는데 그 정도는 라이너 의 두께 와 섬유조성에 따라서 다르며 약 0.5 clo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착탈 가능한 라이너의 사용으로 추운기후에 어느 정도 적응 할 수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comfort in wearing sportswear in Raniy environments (강우환경 하에서의 스포츠웨어 착용시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

  • 권오경;김진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94-199
    • /
    • 2001
  • 쾌적한 스포츠웨어는 기능성에 있어서 자연환경의 변화조건과 인체의 운동 및 활동에 맞추어 열절달 및 수분전달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환경조건 및 강우환경조건하에서의 형상기억 투습방수직물 소재의 스포츠웨어 착용에 따른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스포츠웨어를 제작하여, 인공기후실에서 환경조건변화에 따른 온열생리학적 특성 및 주관적 감각을 측정, 그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평균피부온은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가 낮게, 변동폭이 많게 나타났다. 변화경향을 운동부하를 기점으로 온도의 상승이 나타났고, 운동 2단계에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직장온은 일반환경조건에 비해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의 미세한 상승을 보였다. 의복내 기후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슴부위보다 등부위의 온·습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강우환경조건에서의 의복내 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등부위의 온·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고 혈압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 비례하여 상승하고, 최저 혈압에는 큰 영향없이 나타났으며, 변화경향은 의복내 온도의 경향과 역으로 나타났다. 평균혈압은 일반환경조건에서 6.9mmHg 높게 나타났다. 심박수는 일반환경조건에서 4.4beats/min 높게 나타났다. 강우환경조건의 주관적 감각의 평가에서, 신체에 직접 가해지는 빗물 등으로 인해 불쾌감이 증가하였고, 운동 후에는 일반환경조건과 달리 냉감이 증가하였으며, 습윤감은 최고치에 달하였다.

  • PDF

The Distribution of Clothing Microclimate on the Upper Body (상반신에서의 의복기후분포)

  • Kim, Yang-Weon;Hong, Kyng-Hi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5 no.4
    • /
    • pp.647-650
    • /
    • 2006
  • The factors affecting clothing comfort are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velocity of clothing microclimate which is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between the skin surface and the innermost garment, clothing pressure and clothing texture to the sk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clothing microclimate on the upper body. All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volunteered male subjects in the controlled climate chamber laboratory in which the temperature was $25\pm1^{\circ}C$, the relative humidity $50\pm5%$, and the air velocity 30cm/sec. All subjects should wear long-sleeved inner wear and pants woven in 100% cotton.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at 16 sites on the chest and 16 sites on the back was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stribution of the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on the upper body was $30.6\sim34.7^{\circ}C$ on the breast and $31.5\sim35.4^{\circ}C$ on the back. While a mean temperature on the chest was 33.3$^{\circ}C$, it was 33.1$^{\circ}C$ on the back.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 of Clothing Materials and the Openness of Garment on the Microclimate of the Skin Simulating System (의복재료와 개구부 요인이 의복내 미세기후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 유화숙;김은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0 no.6
    • /
    • pp.1084-109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clothing materials and the opening of the garment on the microclimate of the skin simulating system during the coupled heat and moisture transf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size and location of openness of the garment, openness was simulated by removing parts of the spacer ring of the modelling system. To evaluate the changes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f air layer in the system, buffering indice, Kd and Pr, and efficiency of openness were determined. When the openness was imparted to the system, the transport rate of heat and moisture increased abruptly; at the total openness of 26.4%, which simulated the openness of neck, armhole and waist, Kd increased at least more than three times of the closed system. As the openness increased, the effect of clothing materials decreased gradually to lose its effect at the 60% openness and approached the value of nude. Temperature regulating index showed, however, higher value than nude which was apparently due to the still air layer.

  • PDF

A Study on Quantitative Wear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Heat Tolerance in Summer (Part I) -20's Females' Optimal Wearing: Focus on Inside Clothing Temperatures in Pre-summer- (여름철 내열성 증진을 위한 정량적 착의훈련의 효과 (제1보) -20대 여성의 적정착의 온도 설정: 의복내 온도를 중심으로-)

  • Lee, Hyo-Hyun;Choi, Jeong-W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6 no.3
    • /
    • pp.259-268
    • /
    • 2012
  • This study suggests quantitative guidelines for inside clothing temperatures to improve the heat tolerance of 20's females in summer. First, the inside clothing temperatures ($T_{cl}$)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in daily use.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cor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s, clothing items worn, clothing weight, and activities during an experiment designed to determine the comfort zone of $T_{cl}$. In a thermally neutral state, the comfort zone of $T_{cl}$ was decided on a mean value $T_{cl}{\pm}1{\sigma}$. Seco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wear clothing that would enable them to feel 'slightly warm but still comfortable'. The rest of the processes were the same as previous steps that were designed to understand the way and degree of clothing control. The comfort zone of $T_{cl}$ was dec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vious step. The two comfort zones were combined and named the combined comfort zone of the definitive comfort z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mally comfortable $T_{cl}$, Hcl were $34.0{\pm}1.1^{\circ}C$, $40{\pm}9%%RH$ and the thermally comfortable ambient climate was $25.0{\pm}1.6^{\circ}C$, $53{\pm}7%$RH. 2. When subjects were asked to wear 'slightly warm but still comfortable', there were difference in thermally comfortable $T_{cl}$, clothing weight and clothing layer by subject. 3. In this study, the optimal $T_{cl}$ was decided on the mid-point of the definitive comfort zone of $T_{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