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과학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3초

소재의 신장율에 따른 슬렉스 원형 연구

  • 정희순;이순원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12
    • /
    • 1998
  • 쾌적한 의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인간의 제반 특성에 적합한 의복 설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인체 인자에 근거하여 의복 원형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인간 특성에 적합한 의복의 설계를 위해 인체 인자와 함께 의복 인자를 병행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복 소재의 경우, 성유과학의 발달로 다양한 의복 소재가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의복 원형 연구에서는 광목으로 제한되어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광목이 원형 연구시 동작에 따른 체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여유분으로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는 하지만 이로 인하여 의복 원형의 여유 분 설정에 소재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 관해서는 아직 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최근 마른 체형의 선호와 함께 유행하고 있는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슬랙스 원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본 연구는 소재의 신장특성과 의복 설계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슬랙스 원형에 대한 연구를 보다 다양한 소재로 넓힘으로써 원형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의복구매동기와 의복구매행동에 대한 연구-여대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lothing Buying Motive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 박혜선;권정문;김천유;이한구;최헌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31-143
    • /
    • 1997
  • 본 연구는 서울 및 대전에 거주하는 20대 초반 여대생 352명을 대상으로 의복구매동기와 의복구매행동을 연구하였다. 여대생들의 의복구매동기를 요인분석한 결과, 유행 및 개성추구요인, 경제적요인, 지위요인, 광고 및 충동구매요인등 4개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여대생들의 의복구매행동을 요인분석한 결과, 정보원사용요인은 인적요인, 전파요인, 광고 및 관찰정보요인 3개 요인으로, 의복선택기준은 실용성요인, 디자인요인, 마케팅요인, 유행 및 지위요인등 4개요인으로, 점포선택기준은 상품요인, 서비스요인,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의복구매동기와 의복구매행동 상호간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돈과 전공에 따라서도 의복구매동기와 의복구매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 조선족 여대생의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구매동기 (Clothing Purchase Motivation by Clothing Attitudes for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 김순심;김현식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3-141
    • /
    • 2005
  • 본 연구는 연변 지역 조선족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구매동기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2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300부의 설문지가 중국 연변 지역의 여자 대학생에게 배부되어 248부의 설문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통계처리는 SA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요인분석, t-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자 대학생의 의복태도는 유행성, 유명상표지향성, 심미성, 정숙성의 네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 별로 요인의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의복태도에 따른 의복구매동기를 조사한 결과, 유행성${\cdot}$유명상표지향성${\cdot}$심미성${\cdot}$정숙성 네 요인 모두 각 요인 별로 평균값이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성요인에 높은 평균점수를 갖는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멋진 외모나 새로운 유행을 추구하기 위해 의복을 구입하는 동기가 높았고, 미적요인에 높은 평균점수를 갖는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실용적 이유보다는 사회적 모임이나 기분의 변화를 위하여 의복의 구매동기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의복태도는 중국조선족소비자의 경우에도 의복구매행동을 예측하는 좋은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시장세분화를 위한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재인식되어야할 섬유과학기술의 방향과 역할

  • 김지주;김공주;박병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85
    • /
    • 1995
  • 섬유와 인류의 관계는 실로 5,000년이 넘는다. $\ulcorner$섬유$\lrcorner$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ulcorner$의복$\lrcorner$만을 연상한다. 따라서 의복이 왜 그렇게 대단한 기술이며 과학이겠는가 하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다. 이는 의복이라는 단순한 개념의 섬유만을 상상하기 때문이다. 장구한 의복의 역사가 곧 섬유의 역사라고 생각하는 것 또한 무리는 아니다. 그런데 최근 우리의 경제부흥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산업이 섬유산업이라는 데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지금 세계의 섬유산업은 내실 크나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는 장구한 세월동안 축적되어 온 섬유기술이 새로운 첨단산업을 탄생시키고 새로운 산업분야를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섬유산업은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며, 섬유기술은 고차원적인 첨단기술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선진 제국들은 중요한 테크놀로지의 하나로 신소재공학 기술을 열어가고 있다. 그 예로서 항공, 우주, 해양, 원자력, 토목, 건축 분야 등에서 요구하고 있는 고강도 고탄성의 섬유, 내열, 방염, 내부식성인 즉 내환경성의 섬유, 일렉트로닉스 분야의 도전성, 압전성, 광전성, 방사선 차단성, 흡진성, 도광성의 특수기능섬유, 라이프사이언스분야의 생체적합성, 혈액적합성, 고분리기능성 등과 같은 바이오섬유, 이 모든 것들은 21세기 각 분야의 첨단공학을 실현시키는데 필요불가결한 것들이다.

  • PDF

의복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 황진숙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5-17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섹시스타일에 대한 선호, 타이트한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강조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은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 PDF

기하학적인 의복시뮬레이션에서 가상원통을 이용한 의복 3차원모델의 고속 관통검사와 수정 (High-Speed Penetra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the 3-Dimensional(3D) Cloth Models Using a Virtual Cylinder in Geometrical Cloth Simulation)

  • 최창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10호
    • /
    • pp.521-52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가상원통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의복시뮬레이션에서 발생하는 의복 3차원모델의 관통을 고속으로 검사하고, 의복 3차원모델을 수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의복을 개인 캐릭터에 기하학적으로 맞추는 경우, 의복이 인체를 국부적으로 관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방법은 인체모델과 의복모델을 둘러싼 가상원통을 설정하고, 가상원통을 이용하여 관통지점의 후보들을 한 번에 압축하여, 후보 중에서 관통지점을 찾는 방법이다. 관통된 부분에서는 의복모델의 꼭지점을 밀어내거나 삼각형을 분할하여, 의복모델을 기하학적으로 수정한다. 이 방법은 바운딩볼륨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관통후보를 압축하는 물리적인 방법에 비해 고속처리가 가능하다.

성인여성의 의복가치관과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Value and Influencing Factors of Women)

  • 정수진;최수경
    • 감성과학
    • /
    • 제11권1호
    • /
    • pp.23-3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의 차이를 조사하고,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의 변인이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분석과 $Scheff{\acute{e}}$검증을 하였으며,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의 변인이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사이의 성인여성 436명이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미디어접촉도는 신체만족도, 욕구, 의복가치관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입과 직업유무는 의복가치관의 어떠한 하위변인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의복가치관은 인구통계적 변인, 신체만족도, 욕구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소년들의 애니메이션 이용현황과 사회적 가치관.의복행동에 대한 연구 (The Usage of Animation and Social value.Clothing behavior of Adolescents)

  • 김태경;채진미;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8
    • /
    • 2009
  • 청소년의 애니메이션의 이용도를 조사하고 사회적 가치관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사회적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애니메이션의 개발 및 청소년의 올바른 자기 이미지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수도권 지역의 4개교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의 이용도, 사회적 가치관, 의복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7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청소년들 애니메이션을 보기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매체는 인터넷이었으며, 이용 횟수는 일주일에 $2{\sim}3$회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가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주로 시청하는 애니메이션의 장르는 전체적으로는 액션 공상과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라 선호 장르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액션 공상과학, 명랑 코믹, 드라마 순정의 순서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드라마 순정, 액션 공상과학, 명랑 코믹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애니메이션의 이용도와 사회적 가치관의 관계는 주로 시청 장르에 따라서 공동체 생활과 물질주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가치관과 의복행동의 관계에 있어서는 의복 동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동체 의식과 물질주의로 나타났고 유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물질주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시청하는 애니메이션의 장르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관 요인인 공동체 의식과 물질주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가치관은 의복 행동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청소년들의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애니메이션의 개발과 보급이 확대되기를 바라며, 동시에 청소년들의 적절한 의복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PDF

의복구매시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Seeking for the Purchase of Clothing)

  • 박혜선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1-122
    • /
    • 1998
  • 본 연구는 의복 소비자의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의 유형을 밝히고,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의 관계와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76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들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의복 소비자의 위험지각은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경제 및 성과위험, 심리적 위험, 시간손실 위험, 사회적 위험, 유행성 손실 위험이었다. 정보탐색은 광고, 점포내 관찰, 기억속의 정보, 주위의견으로 모두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의복 지출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 PDF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소비자의 의복 맞음새(Fit)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Determinant Characteristics Affecting Consumers' Evaluation of Clothing Fit)

  • 황수현;박주연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101-11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비자 맞음새 평가의 주요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NS에서 수집된 소비자의 2,000여건의 의복 맞음새 평가 후기로부터 의복 맞음새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의미연결망 분석과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츠'와 '스커트'가 많은 맞음새평가어를 공유하며 다양한 형태로 평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의복의 길이가 가장 많이 평가되었다. 인체부위 중 '허리'는 다양한 의복의 맞음새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의복 맞음새평가어 중 '넓은', '큰', '와이드한', '긴'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 맞음새 평가에 사용된 언어의 구조적 관계와 의미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의복 맞음새의 향상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