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처리

Search Result 3,52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Processing Korean Passives for Database Semantics (데이터베이스 의미론을 위한 한국어 피동형의 전산적 처리)

  • Hong, Jung-Ha;Choe, Seung-Chul;Lee, Ki-Y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411-418
    • /
    • 2000
  • Hausser (1999)와 이기용 (1999a, 1999c)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이용하여 자연언어의 의미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 의미론을 제안하였다. 특히 이기용 (1999c)에서는 수형도(tree), 논리 형태(logical fomulas), 자질 구조(feature structure)와 같은 다양한 언어 표상 형식들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표상 형식인 테이블 형식으로 전환 가능함을 보임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의미론에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편, Lee (2000)에서 제시한 데이터베이스 의미론 모형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end-user)를 연결하는 언어 정보 처리 시스템(LIPS;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을 제안하였다. 이 언어정보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언어 자료를 처리하여 그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이 논문은 한국어 '이, 히, 리, 기' 피동형을 전산처리를 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의미론에서 핵심 요소인 언어정보 처리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 이 목적이다.

  • PDF

Th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s of Ambiguos Morpheme in Korean Words : Centered in Aphasics. (한국어 중의적 형태소 표상양식과 처리 특성 : 실어증 환자를 중심으로)

  • 정재범;편성범;김태훈;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51-156
    • /
    • 2002
  • 중의적인 단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로, 첫째 문맥에 맞는 의미가 먼저 활성화된다는 가설과 둘째, 여러 뜻 중에 상대적인 빈도에 따라 많이 쓰이는 의미가 먼저 활성화되고, 그것이 문맥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다른 관련된 의미를 찾는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문맥에 상관없이 모든 의미가 활성화 된 후 문맥을 고려하여 문맥에 적절한 의미를 선택한다는 가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먹을', '감을' 등과 같이 2가지 의미의 품사가 다른 중의 어절과 '쥐어', '감어' 등과 같이 어절 문맥('어')이 주어진 어절의 의미 활성화가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점화어휘 판단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SOA 150ms 조건에서 점화자극어절과 관련된 의미가 품사와 관련 없이 모두 활성화되었다. SOA 1000ms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쓰이는 체언의 의미는 계속 활성화 되어 있는 반면, 용언의 의미 점화량은 감소하였다. 명칭성 실어증 환자인 SDK의 경우 SOA 150ms 조건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특성을 보였으나 1000ms 조건에서는 달랐다. 다른 명칭성 실어증 환자인 BIS과 전반성 실어증 환자인 PSB는 SOA 150ms 조건과 1000ms 조건에서 일반인과 아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실어증 환자의 타잎에 따라 형태소의 처리나 중의적인 의미 활성화가 일반인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 2에서는 어절 문맥이 있는 '먹어', '쥐어', '감어' 등과 같은 어절을 사용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SOA 150ms 조건일 때 어절문맥의 영향으로 용언의 의미만 촉진적 점화효과가 있었고, 체언의 의미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SOA 1000ms로 지연시켰을 때는 용언뿐만 아니라 체언의 의미도 촉진적 점화효과가 있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중의적인 한국어 어절의 경우에도 모든 의미가 활성화되나 어절 문맥이 존재할 때는 어절 문맥의 제약으로 어절 문맥에 맞는 한 가지 의미만 활성화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어절이 분석된 형태가 아닌 어절 형태로 심성 어휘집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실어증 환자의 경우 실험 1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수준이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여주었다.

  • PDF

말 실수와 의미 및 음운 정보 처리: 실험식 유도 말실수의 분석

  • Go, Hye-Seon;Lee, Jeong-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14-122
    • /
    • 1996
  • 그림자극의 명명에 있어서 이름의 의미유사성, 음운유사성, 그리고 처리부담(말속도, 기억 부담)이 말 실수 오류수와 명명 시간에 주는 영향을 알기 위해 2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의미(유사/상이), 음운(유사/상이) 변인에 추가하여 실험 1에서는 말속도(330ms, 385ms, 770ms)의 변인이, 실험 2에서는 인지적 부담(높음/낮음)의 변인이 조작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 의미유사성과 음운유사성, 그리고 인지적 처리 부담이 말 실수의 양과 그림자극 명명 시간이 증가시킴이 드러났다. '의미유사' 조건 및 '음운유사 조건'과 '의미-음운 모두 유사' 조건간의 말실수의 양의 차이는 말 산출 과정에서의 어휘 인출 과정에 대한 '독립적 2단계 모형'과 '활성화 상호작용 모형' 중 전자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 PDF

A Semantic Case Scheme and a Feature Set for Processing Prepositional Phrases in English-to-Korean Machine Translation (영한 기계변역에서의 전치사구 처리를 위한 격의미 체계와 의미속성 집합)

  • Kang, Won-Seog;Seo, Jung-Yun;Kim, Gil-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177-180
    • /
    • 1994
  • 영한 기계변역에서의 전치사구 처리는 자연어 처리의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전치사구의 격의미는 그에 대한 한국어 표현에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본 논문은 영어의 전치사구에 대한 한국어 표현을 선택하기 위한 격의미 체계를 정의하고 그 격의미 체계를 실험한다. 이 격의미 체계는 전치사구에 대한 한국어의 격의미를 분별함으로 보다 좋은 한국어 격조사를 선택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각 격의미의 구분을 위한 의미속성 집합도 정의한다. 이 의미속성 집합은 WordNet의 시소러스에서 제공한 상하위 관계와 변환표를 근거로 자동적으로 추출된다. 의미속성 집합의 자동획득은 격의미 체계의 표현과 기계변역의 성능 평가에 일반성을 부여한다. 격의미 체계와 의미속성 집합의 자동 획득은 영한 기계변역은 물론 한국어 생성과 자연어 처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Comparison of Semantics for Handling Exceptions (예외사항을 처리하는 의미 구조 비교)

  • Han, Jungl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831-1833
    • /
    • 2010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예외사항은 체계적으로 검사하고 처리해야한다. 예외사항의 의미구조를 잘 표현하면 프로그래밍언어의 신뢰성을 증진할 수 있고, 설계와 표준화, 최적화 및 번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된 작용식을 사용하여 예외사항을 처리하는 방법을 자바 프로그램의 예제를 통하여 제시한다. 다른 의미구조들과 제시된 작용식을 판독성(Readability), 지능성(Intelligibility), 모듈성(Modularity), 확장성(Extensibility), 융통성(Flexibility)의 다섯 영역에서 비교하여 본 작용식의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e Repetition Effects of LDP Stimulus Words on Word Completion Tasl and Cued-Recall Task (처리깊이에 따른 학습단어의 반복제시가 단어완성검사와 단서 회상검사에 미치는 효과)

  • Kim, Mi-Ra;Lee, Man-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7 no.3
    • /
    • pp.115-134
    • /
    • 1996
  •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for words with processing theory.From experiment 1 to experiment 3,in a study phase,subjects first viewed stimulus words and were required to rate likeness of words of semantic processing task and to count lines of words of perceptual processing task.In a test phase,subjects were tested by implicit word completion task and explicit cued recall task.In experiment 1,levels of processing (LOP)effects were examined.Lop effects were obtained on the explicit memory tasks but not on the implicit memory tasks.In experiment 2,repertition of perceptual processing task influenced onlu implicit memory task.In experiment 3,bepertiotion of semantic processing task affected both implicit memory task and explicit memory task.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petition effect of stimulus words are explanied better in dual process theory than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theory.

  • PDF

Formal Semantics for Processing Exceptions (예외 처리를 위한 형식 의미론)

  • Han, Jung-La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7A no.4
    • /
    • pp.173-180
    • /
    • 2010
  • To specify a formal semantics is to do a significant part for design, standardization and translation of programming languages. The existing studies of a formal semantics for Java have a weak point to describe a clear and practical semantics for an efficient translation.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for a formal semantics to specify a static and dynamic semantics clearly in order to do an efficient transl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improved Action Equation that specifies a formal semantics for Java to extend the research using Action Equation. The Action Equation is a practical and accurate specification that describes object-oriented programming features and handles exceptions. The specified Action Equation is compared to other descriptions, in terms of readability, modularity, extensibility, and flexibility and then we verified that Action Equation is superior to other formal semantics.

Semantic-based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using Fuzzy Value (퍼지 값을 이용한 의미 기반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 Hong, Sung-Yong;Nah, Yun-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547-1550
    • /
    • 2003
  • 의미기반 멀티미디어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대한 의미정보가 필요하며, 이러한 의미정보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자체보다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의미 해석이 중요하다. XML은 내용정보나 의미정보의 상호연관성을 표현하기에 적절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조화하여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XML을 사용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정보에 따른 의미성을 부여하여 나타내기 위해 퍼지데이터 사전 적용 기술을 사용한다. 의미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현되는 데이터는 거의 애매한 표현법을 많이 사용하므로, 퍼지 집합관계를 적용하여 의미 판단의 기준으로 적용한다 따라서, 인간에게 좀 더 친숙하고 편리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며, 의미성을 함축한 의미기반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XML을 활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스키마 구조와 의미성을 반영한 XQL에 의한 검색기법을 제안한다.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웹 상품 카탈로그 이미지나 광고 이미지에 대하여 의미기반 검색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애매모호한 표현의 질의에 대하여 검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의미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검색에 대한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of subcategorization (한국어 서술어와 논항들 사이의 의미역)

  • Kim, Yun-Jeong;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43-148
    • /
    • 2014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장의 서술어와 공기관계에 있는 논항들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역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에 구축된 세종구구조말뭉치를 모단위로 하여 표준국어대사전의 문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의미역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 언어학 이론에서의 의미역을 정리하여 광범위한 의미역 판별기준을 세우고 이를 실제 말뭉치에 적용함으로써 자연언어적 처리가 가능하도록 정리하였다.

  • PDF

SEMANTIC INTERPRETATION OF KOREAN EXTERNAL NEGATION (국어 외부부정의 의미해석)

  • Lee, Ik-Hw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65-72
    • /
    • 1989
  • 이 논문은 국어 부정문의 의미분석을 위하여 바람직한 의미이론을 제안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국어의 내부부정 (internal negation)은 물론 외부부정 (external negation)에 상응하는 문장부정의 통사구조가 있다는 것을 논의를 통하여 입증한다. 그러고, 이러한 부정문의 의미를 표상하기 위하여, 부정문 대한 기존의 이론을 수정, 보완할 것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의 부정논리에 입각한 전통에 일치하는 몬테그 (Montague)의 부정문 규칙이 국어의 부정문 처리에는 만족스럽지 못한 점을 지적한다. 그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정된 규칙을 제안한다. 이어서 최근에 발전된 상황의미론(situation semantics) 에서 국어의 문장부정을 다루는데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지적하고, 이러한 문제를 처리 할 수 있는 이론적 대안을 마련한다. 특히 국어의 외부부정이 야기시키는 중의성의 문제를 잘 다룰 수 있는 바람직한 의미론을 세운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부정문에 대한 보편적 통사-의미론의 기틀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