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요법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중서의결합치료소아백혈병사로(中西醫結合治療小兒白血病思路) -중서의 결합으로 소아백혈병 치료에 대한 접근-

  • Seok Hyo-Pyeong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15 no.1
    • /
    • pp.71-75
    • /
    • 2001
  • 백혈병은 조혈계통의 악성 증식성 질환으로서 현재까지 주로 화학약물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약물요법은 백혈병 세포를 소멸시킬 수 있지만 또한 인체에 여러 가지 독성 반응 및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중서의결합으로 백혈병 치료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의학에서 소아 백혈병을 치료하는 경우 청열해독법(淸熱解毒法),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을 주로 사용한다. 청열해독법은 백혈병의 조기치료에 주로 활용되는데, 인체의 저항력을 증강시켜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안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감염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은 주로 화학약물요법의 유도 완화기 및 치료효과의 유지를 위하여 활용되는데, 이는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화학약물요법이 인체에 미치는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은 미세순환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며 골수의 조혈기능을 촉진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또한 일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는 백혈병 세포에 직접적인 억제효과를 보인다. 소아백혈병에 대하여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동안 중약을 같이 병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1. 유도완화치료(화학요법)단계: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대개 화학약물요법으로 인한 극심한 독성반응이나 주작용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약치료를 병행하면 신속하게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만약 구토나 설사와 같은 소화계 부작용이 나타나면 화위강역법(和胃降逆法)을 활용하고,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할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한 후 신체가 극도로 허약해지고 골수의 기능이 심하게 억제되는 경우는 주로 부정(扶正)시키는 중약을 사용하면서 익기양혈제(益氣養血劑)를 곁들이고 보조적으로 단삼(丹蔘), 당귀(當歸), 천궁(川芎), 계혈등(鷄血藤) 등과 같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를 사용하여 골수의 조혈기능을 회복시킨다. 2. 치료효과의 유지단계: 본 과정에서는 중약치료에 있어서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한다.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거사제(祛邪劑)를 중용(重用)함으로써 화학약물요법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화학약물요법이 끝난 뒤 부정(扶正)시키는 약물을 중용(重用)하여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백혈병세포를 억제시킨다. 3. 치료효과의 유지 및 강화단계: 치료효과의 유지단계에서는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에 입각하여 항암효과가 있는 중약을 활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산자고(山慈?), 청대(靑黛), 용규(龍葵)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육신환(六神丸)을 장기적으로 복용하여도 된다. 소아백혈병 치료에 있어서 중서의결합의 치료법을 활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내용에 주안점을 둘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약을 병행하여 투여하는 경우 사진합삼(四診合參)을 근간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병인(病因)을 살피어 치료에 임하도록 한다. 약물의 선택과 처방의 구성은 반드시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화학약물요법과 중약치료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변증(辨證)과 변병(辨病)이 서로 결합되고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하여 활용한다. 정체관(整體觀)에서 출발하여 환자를 관찰하는 동시에 특징적인 증후(證候)에 대한 변증논치(辨證論治)도 중요하며, 또한 백혈병 환자의 유형(類型)이나 임상 혈액검사 소견, 골수의 양상, 화학요법의 진행단계 및 환자의 연령과 체질 등을 충분히 가만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치료법을 선택하여야 중약요법과 화학약물요법의 협동적인 효과를 증폭시키고 백혈병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Methods of medical treatment in 『Euibangyoochui』 (『의방유취(醫方類聚)』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식치(食治)·금기(禁忌)·침구(鍼灸)·도인편(導引篇)을 중심으로-)

  • Ahn, Sang woo;Choi, Whan soo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14 no.1
    • /
    • pp.109-124
    • /
    • 2001
  • "Euibangyoochui" is a great medical encyclopedia composed of 91 symptoms and signs of diseases which classified 150 kinds of reference books. It consisted mainly of fifty thousands of herbal prescriptions and therapeutics but it deals with other treatments like diet therapy, precautions, acupuncture and moxibustion, physical and breathing exercises as well. Unlike other medical references, this book made up these treatments as independent chapters. We tried to catch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hapters.

  • PDF

Blind and Ultrasonography-guided Injection Therapy for Calcific Tendinitis of Supraspinatus (극상건 석회화 건염에 대한 맹검 주사요법과 초음파하 주사요법)

  • Moon, Young-Lae;Nam, Gi-Young;Noh, Kyung-Hwan
    •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 /
    • v.1 no.2
    • /
    • pp.86-90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blindly and ultrasonography (US)-guided during multiple needling and dextrose injection technique for calcific tendinitis of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We chose 36 symptomatic calcific tendinitis patients, whose age ranged from 27 to 69. Our procedures were multiple needling and injection of dextrose over the lesion of calcific deposits. The bind injection group were 19 patients whose age ranged from 27 to 64-year-old (mean 52.2), and the US-guided injection group were 17 patients ranged from 31 to 69-year-old (mean 49.0). We compare these groups by VAS (visual analogue scale) and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procedures.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VAS and ROM before procedure (p>0.05). Two group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 without limitation of shoulder function, however, the group under US-guided revealed better results than under blind (VAS:p=0.001, Flexion:p=0.000, Abduction:p=0.000, External rotation: p=0.016). Conclusion: Ultrasonography-guided procedure showed better results than blind, so the use of ultrasonography is more promising procedure.

  • PDF

Therapeutic Endoscopy-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Using Warfarin or Direct Oral Anticoagulant (와파린 및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의 치료 내시경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

  • Na, Hee Kyong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5
    • /
    • pp.271-273
    • /
    • 2018
  • 내시경 시술 전 일시적으로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과 혈전색전증의 위험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와파린은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agent, DOAC)보다 임상의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약역동학 특징과 좁은 치료적 범위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반면, DOAC는 약물의 모니터링 및 용량 조절 없이 정해진 용량으로 처방이 가능하며, 빠르게 작용하고, 반감기가 짧아 관리가 쉽지만 해독제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DOAC를 복용한 환자들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시술과 관련되지 않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유럽 내시경 가이드라인들에서는 저위험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는 와파린과 DOAC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고위험 시술의 경우에는 와파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서 헤파린 교량 요법(heparin bridging)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DOAC를 사용하는 환자들 또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는데, 와파린 및 DOAC의 헤파린 교량 요법과 관련된 출혈 및 혈전색전증 위험의 차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1) 와파린과 DOAC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의 출혈, 혈전색전증 및 사망의 위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2)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 중에서 시술별 위험을 비교하고, 3) 헤파린 교량 요법이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 대규모 국가 입원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술 전 와파린 또는 DOAC(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를 복용하고,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을 시행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총 16,977명을 확인하였다. 고위험 시술은 용종 절제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협착 부위의 풍선확장술, 내시경 지혈술, 내시경 정맥결찰술, 내시경 주사 경화요법, 내시경 괄약근절개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 경피적 위루술을 포함하였다. 일대일 성향 점수 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기저 질환, 병원의 규모, 시술의 종류, 약물의 종류를 매칭)을 시행하여 와파린군과 DOAC군에서 시술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또한 경구항혈전제와 헤파린 교량 치료 시행 유무에 따라, DOAC 단독군, 와파린 단독군, DOAC와 헤파린 교량 요법군,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요법군으로 나누어, 하위군(subgroup) 분석을 시행하였다. 5,046쌍이 성향 점수 매칭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와파린군에서 DOAC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다(12.0% vs. 9.9% p=0.02). 혈전색전증 발생률(5.4% vs. 4.7%)과 입원중 사망률(5.4% vs. 4.7%)은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OAC 종류별로 나누어 하위군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와파린군은 rivaroxaban군에 비하여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으며, rivaroxaban군, dabigatran군에 비하여 혈전색전증의 비율이 높았고, 입원 중 사망률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내시경 시술의 종류로 보정하였을 때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률은 DOAC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에서보다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 요법(bridging) 또는 DOAC과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높았다. 시술 종류 중에서는 위루관 삽입술에 비하여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 정맥류결찰술, 내시경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으며, 하부 내시경 점막절제술, 하부 용종 절제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제술 또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는 중등도 위험을 보였다.

The Use of Nafamostat Mesilate as an Anticoagulant during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for Children with a High Risk of Bleeding (출혈성 경향이 높은 소아환자의 지속성 신대체 요법시 사용되는 항응고제로서 Nafamostat mesilate의 사용)

  • Lee, Sang Taek;Cho, Heeye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8 no.2
    • /
    • pp.98-105
    • /
    • 2014
  • Purpose: Nafamostat mesilate (NM), a synthetic serine protease inhibitor, has been investigated as an anticoagulant for adult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bleeding, who need chronic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use of NM as an anticoagulant in pediatric CRR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deal dosage, efficacy, and safety of NM in pediatric CRRT.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40 pediatric patients who had undergone at least 24 h of venovenous CRRTs between January 2011 and October 2013. We divided the patients according to risk of bleeding. Those at high risk received no anticoagulation (group 1) or NM as an anticoagulant (group 2), while those at low risk received heparin (group 3). Results: Forty patients (25 male and 15 female; mean age, $8.2{\pm}6.6$ years) were enrolled. The mean duration of CRRT was 13.0 days, and the survival rate was 57.5%. The mean hemofilter lifespan was 39.3 h in group 1 and 11.3 h in group 3. In group 2, hemofilter lifespan was extended from 7.5 h to 27.4 h after the use of NM (P =0.001). The mean hemofilter lifespan with NM was greater than with heparin (P =0.018). No patient experienced a major bleeding event during treatment with NM. Conclusion: NM may be a good alternative anticoagulant in pediatric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bleeding requiring CRRT, and is not associated with bleeding complications.

Preoperative Chemotherapy in Advanced Stomach Cancer (Cons) (진행성 위암에서의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 치료 (in the View of Cons))

  • Oh, Sang Cheul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8 no.2
    • /
    • pp.65-69
    • /
    • 2008
  • Surgery is the only curative modality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There has been no drastic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with chemotherapy. Clinical trials have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benefit of the preoperative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The benefit of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or chemoradiotherapy has been demonstrated for other solid cancers such as breast cancer, esophageal cancer and rectal cancer. Despite the rationale of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evidence of positive results with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has not been clear. Recently the British Medical Research Council Adjuvant Gastric Cancer Infusional Chemotherapy (MAGIC) study demonstrated the survival benefit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However, this study had several problems with the use of a heterogeneous population of patients, the method of surgery and the use of perioperative chemotherapy. Further studies with new drugs are warranted to determine the rol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PDF

Educational Needs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focused on the content analysis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재가 폐암환자의 교육요구 :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Mo, Moon Hee;Jang, Hee Jung;Kim, Hye 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33-41
    • /
    • 2022
  •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 patients with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t a university hospital at D city.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rom July 2016 to September 2017 were analyzed using Krippendorff's method. As a result, 3 categories, 9 themes, 19 sub-themes, and 54 meaningful statements were derived. The three categories of educational needs were 'psychological needs', 'knowledge needs', and 'social needs'.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wanted to support prognosis and stress and receive accurate knowledge of side effects and information on social support systems through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the future.

糖尿病과 생藥

  • 박종희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 no.4
    • /
    • pp.248-255
    • /
    • 1992
  • 糖尿病 치료에는 인슐린 注射와 이외에 여러 가지 內服藥이 있지만, 이것들의 대부분은 血糖을 낮추기만 하기 때문에 現代醫學에서는 代謝異常을 正常化 藥物이 없기 때문에 食事療法이 糖尿病治療의 中心이 되고 있다. 糖尿病에 대한 漢方치료의 의미는 당뇨병 자체의 자각증상의 개선, 혈당강하 작용,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 합병증에 의한 자각증상의 개선, 식사요법의 보조이다. 糖尿病에 利用되고 있는 代表的인 處方은 防風通聖散, 八味丸, 生津湯, 人蔘湯加蘭草, 十全大補湯加蘭草가 있다.

  • PDF

Effect of Antibiotic Combination Therapy on Metallo-${\beta}$-Lactamase Producing Imipenem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etallo-${\beta}$-lactamase를 생성하여 Imipenem에 내성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제 병합요법의 효과)

  • Hong, Seung-Bok;Kim, Hong Chul;Lee, Jang-Won;Son, Seung-Yeol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4 no.4
    • /
    • pp.339-345
    • /
    • 2008
  • This study was to detect MBL (metallo-${\beta}$-lactamase) among glucose non-fermenting Gram-negative bacill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and to search antimicrobial combination therapy against MBL producing Pseudomonas aeruginosa. Among fifty one isolates of Gram-negative bacilli with reduced imipenem susceptibility ($MIC{\ge}8{\mu}g/ml$), nine isolates have shown positive results in MBL detection test. They were seven Achromobacter xylosoxidans subsp. xylosoxidans and two P. aeruginosa. The results from EDTA-DDST coin-cided with those of PCR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which showed the presence of $bla_{VIM-2}$. The combination of aztreonam (AZT) and piperacillin-tazobactarn (TZP) or AZT and amikacin (AN) screened by one disk synergy test showed no synergistic effect. Triple antibiotic combination therapy with AZT, TZP and AN, however, was shown to be effective and the most synergistic after 8 hrs of exposure. This result strongly suggest that the triple combination therapy of AZT, TZP, and AN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 caused by MBL producing Gram-negative bacilli.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the Seciuence of Adi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llowing Curative Resection of Stage II, III Rectal Cancer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루 방사선치료와 화학요법의 순서에 대한 고찰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 중간 결과 보고-)

  • Kim Kyoung Ju;Kim Jong Hoon;Choi Eun Kyung;Chang Hyesook;Ahn Seung Do;Lee Je Hwan;Kim Jin Cheon;Yu Chang Si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8 no.1
    • /
    • pp.17-25
    • /
    • 2000
  • Purpose : To evaluate the side effects,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patients with stages II and III rectal cancer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were randomized to 'early radiotherapy group (arm I)' or' late radiotherapy group (arm II)', then we inten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equence of th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6 to March 1999, 313 patients with curatively resected stages II and III rectal cancer have been randomized to' early' or' late' radiation therapy group and received combined chemotherapy (5-FU 375 mg/m$^{2}$/day, ieucovorin 20 mg/m$^{2}$, IV bolus daily Dl-5, 8 cycles) and radiation therapy (whole pelvis with 45 Gy/25 fractions/s weeks). Arm I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1 with first cycle of chemotherapy and arm II received radiation therapy from day 57 with third cycle of chemotherapy after completion of first two cycles. Preliminary analysis was peformed with 228 patients registered up to Jun 1998. Two out of the 228 patients were excluded because of double primary cancer. Median follow-up period was 23 months. Results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11 patients (9.7$\%$) for arm I and 9 patients (8$\%$) for arm 1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 p=0.64). However, distant metastasis was found in 22 patients (19.5$\%$) for arm I and 35 patients (31.0$\%$) for arm II and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 p=0.046). And neither 3-year disease-free survival (70.2$\%$ vs 59.2$\%$, p=0.2) nor overall survival (89.4$\%$ vs 88.0$\%$, p=0.47)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ncidence of leukopenia during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was 78.3$\%$ and 79.9$\%$ respectively but leukopenia more than RTOG grade 3 was only 2.1$\%$ and 6.0$\%$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diarrhea more than 10 times per d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for arm I than for arm II (71.2$\%$ vs 41.6$\%$, p=0.02) but this complication was controlled with supportive cares. Conclusion : Regardless of the sequenc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rectal cancer, local recurrence rate was low with combined chemoradlotherapy. But distant metastasis rate was lower in early radiation therapy group than in late radiation therapy group and the reason is unclear. Most patients completed these treatments without severe complication, so these were thought to be safe treatments but the treatment compliance should be impro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