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역결정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ootstrapping for Semantic Role Assignment of Korean Case Marker (부트스트래핑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격조사의 의미역 결정)

  • Kim Byoung-Soo;Lee Yong-Hun;Na Seung-Hoon;Kim Jun-Gi;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4-6
    • /
    • 2006
  • 본 논문은 자연언어처리에서 문장의 서술어와 그 서술어가 가지는 명사 논항들 사이의 문법관계를 의미 관계로 사상하는 즉 논항이 서술어에 대해 가지는 역할을 정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의미역 결정은 단어의 의미 중의성 해소와 함께 자연언어의 의미 분석의 핵심 문제 중 하나이며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적으로 유용한 자원인 세종전자사전을 이용하여 용언격틀사전을 구축하고 격틀 선택 방법으로 의미역을 결정한 후. 결정된 의미역들에 대한 확률 정보를 확률 모델에 적용하여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기본 모델에 대해 10% 정도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Automatic Transformation of Semantic Roles between PropBank and Sejong using Similarity Estimation based on Tree Level (레벨 기반의 유사도 계산을 이용한 PropBank 의미역과 Sejong 의미역 간의 자동 변환)

  • Youn, Young-Shin;Seok, Mi-Ra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221-224
    • /
    • 2014
  • 의미 표지 부착 작업은 구문 표지 부착된 문장의 술어-논항 구조를 파악하여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 작업을 통하여 생성되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는 의미역 결정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원이 된다.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로는 세계적으로 PropBank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한국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PropBank 의미역과 Sejong 의미역 간의 자동 변환이 필요하다. 이전에 제안되었던 이종 의미역 간의 자동변환 방법에서는 명사 계층의 구조 정보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명사 계층구조를 반영하여 한국어 PropBank 의미역을 Sejong 의미역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PropBank와 Sejong의 맵핑관계 중에서 1:N으로 맵핑되는 PropBank 의미역을 기준으로 명사 계층구조에서 변환 대상 의미역을 가지고 있는 단어와 변환 후보 의미역을 가진 단어들의 개념번호를 뽑아 두 단어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레벨 당 가중치를 주어 유사도 계산을 하여 유사도가 적은 값으로 의미역을 자동 변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0.8의 성능을 보인다.

  • PDF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Biaffine Average Attention Model (Biaffine Average Attention 모델을 이용한 의미역 결정)

  • Nam, Chung-Hyeon;Jang, Kyung-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5
    • /
    • pp.662-667
    • /
    • 2022
  • Semantic role labeling task(SRL) is to extract predicate and arguments such as agent, patient, place, time. In the previously SRL task studies, a pipeline method extracting linguistic features of sentence has been proposed, but in this method, errors of each extraction work in the pipeline affect semantic role labeling performance. Therefore, methods using End-to-End neural network model have recently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ural network model using the Biaffine Average Attention model for SRL task.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can focus on the entire sentence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redicate in the sentence and the arguments, instead of LSTM model that uses the surrounding information for prediction of a specific token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evaluation, we used F1 scores to compare two models based BERT model that proposed in existing studies using F1 scores, and found that 76.21% performance was higher than comparison models.

Assignment Semantic Category of a Word using Word Embedding and Synonyms (워드 임베딩과 유의어를 활용한 단어 의미 범주 할당)

  • Park, Da-Sol;Cha, Jeong-Won
    • Journal of KIISE
    • /
    • v.44 no.9
    • /
    • pp.946-953
    • /
    • 2017
  • Semantic Role Decision defines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ate and the argument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asks. The semantic role information and semantic category information should be used to make Semantic Role Decisions.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contains frame information that is used to determine the semantic ro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xtend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using word embedding and synonyms. The same experiment is performed using existing word-embedding and retrofitting vectors. The system performance of the semantic category assignment is 32.19%, and the system performance of the extended semantic category assignment is 51.14% for words that do not appear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of the word using the word embedding. The system performance of the semantic category assignment is 33.33%, and the system performance of the extended semantic category assignment is 53.88% for words that do not appear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of the vector using retrofitting. We also prove it is helpful to extend the semantic category word of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by assigning the semantic categories to new words that do not have assigned semantic categories.

Determination of Thematic Roles according to Syntactic Relations Using Rules and Statistical Models in Korean Language Processing (한국어 전산처리에서 규칙과 확률을 이용한 구문관계에 따른 의미역 결정)

  • 강신재;박정혜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8 no.1
    • /
    • pp.33-42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determination method of thematic roles from syntactic relations using rules and statistical model in Korean language processing. This process is one of the main core of semantic analysis and an important issue to be solved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t is problematic to describe rules for determining thematic roles by only using general linguistic knowledge and experience, since the final resul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views of researchers, and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rules to cover all cases. However, our hybrid method is objective and efficient by considering large corpora, which contain practical usages of Korean language, and case frames in the Sejong Electronic Lexicon of Korean, which is being developed by dozens of Korean linguistic researchers. To determine thematic roles more correctly, our system uses syntactic relations, semantic classes, morpheme information, position of double subject. Especially by using semantic classes, we can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our system.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Case Frame Dictionary and Subcategorization (격틀 사전과 하위 범주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Kim, Wan-Su;Ock, Cheol-Young
    • Journal of KIISE
    • /
    • v.43 no.12
    • /
    • pp.1376-1384
    • /
    • 2016
  • Computers require analytic and processing capability for all possibilities of human expression in order to process sentences like human beings.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thus forms the initial basis. When analyzing a sentence syntactically,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sentence into components, find obligatory arguments focusing on predicates, identify the sentence core, and understand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arguments and predicates. In this study, the method applied a case frame dictionary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Diction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we used a CRF Model that constructed subcategorization of predicates as featured in Korean Lexical Semantic Network (UWordMap) for semantic role labeling. Automatically tagged semantic roles based on the CRF model, which established the information of words, predicates, the case-frame dictionary and hypernyms of words as features, were used. This method demonstrated higher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method, with accuracy rate of 83.13% as compared to 81.2%, respectively.

Korean Semantic Tagged Corpus Construction working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 작업)

  • Lee, Min-Ji;Lee, Yoon-Jeong;Lee, Jung-Kuk;Kim, Jong-Dae;Park, Chan-Young;Song, Hae-Jung;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99-103
    • /
    • 2012
  • 의미 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은 문장 내의 술어-논항 요소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가 필요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이 데이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Proposition Bank(이하 PropBank) 말뭉치와 세종 용언 격틀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 표지 부착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표지 부착 작업은 말뭉치의 의존 관계를 사람이 파악하여 적절한 의미 역 태그를 다는 과정이고, 이 과정으로부터 얻은 말뭉치는 의미 역 결정을 위한 기계 학습 방법론의 훈련 자료로 이용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구문 표지 부착 밀뭉치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구문표지 부착 말뭉치를, 그리고 언어자원으로는 한국어 PropBank의 frame file과 세종 용언 격틀 사전을 사용한다.

  • PDF

Frame-semantics and Argument Disambiguation of Korean FrameNet using Bi-directional LSTM (중첩 분할된 양방향 LSTM 기반의 한국어 프레임넷의 프레임 분류 및 논항의 의미역 분류)

  • Hahm, Younggyun;Shin, Giyeo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52-35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프레임넷 분석기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국어 프레임넷 데이터를 가공하여 공개하고, 한국어 프레임 분류 및 논항의 의미역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프레임넷은 단어 단위가 아닌 단어들의 범위로 구성된 범위에 대해 어노테이션된 코퍼스라는 점에 착안하여, 어휘 및 논항의 내부 의미 정보와 외부 의미 정보, 그리고 프레임과 각 의미역들의 임베딩을 학습한 중첩 분할된 양방향 LSTM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프레임 분류에서 72.48%, 논항의 의미역 분류에서 84.08%의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프레임넷 데이터의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with Highway BiLSTM-CRFs (Highway BiLSTM-CRFs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59-162
    • /
    • 2017
  •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LSTM RNN)는 순차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딥러닝 모델이다. Bidirectional LSTM RNN(BiLSTM RNN)은 RNN의 그래디언트 소멸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를 해결한 LSTM RNN을 입력 데이터의 양 방향에 적용시킨 것으로 입력 열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자연어처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Highway Network는 비선형 변환을 거치지 않은 입력 정보를 히든레이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LSTM 유닛에 게이트를 추가한 딥러닝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Highway Network를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 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with Highway BiLSTM-CRFs (Highway BiLSTM-CRFs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Kim, Hyunki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59-162
    • /
    • 2017
  •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LSTM RNN)는 순차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딥러닝 모델이다. Bidirectional LSTM RNN(BiLSTM RNN)은 RNN의 그래디언트 소멸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를 해결한 LSTM RNN을 입력 데이터의 양 방향에 적용시킨 것으로 입력 열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자연어처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Highway Network는 비선형 변환을 거치지 않은 입력 정보를 히든레이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LSTM 유닛에 게이트를 추가한 딥러닝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Highway Network를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 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