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역결정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Joint Model for Dependency Parser and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Parallelism (순환 신경망 병렬화를 사용한 의존 구문 분석 및 의미역 결정 통합 모델)

  • Park, Seong Sik;Kim, Hark 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76-279
    • /
    • 2019
  • 의존 구문 분석은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간의 의존 관계를 분석하고 문장의 구조적 정보를 얻기 위한 기술이다. 의미역 결정은 문장에서 서술어에 해당하는 어절을 찾고 해당 서술어의 논항들을 찾는 자연어 처리의 한 분야이다. 두 기술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기존 연구들은 이 상관관계를 이용하기 위해 의존 구문 분석의 결과를 의미역 결정의 자질로써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의미역 결정 모델의 오류가 의존 구문 분석에 역전파 되지 않으므로 두 기술의 상관관계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고 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포인터 네트워크 기반의 의존 구문 분석 모델과 병렬화 순환 신경망 기반의 의미역 결정 모델을 멀티 태스크 방식으로 학습시키는 통합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의존 구문 분석 및 의미역 결정 말뭉치인 UProbBank를 실험에 사용하여 의존 구문 분석에서 UAS 0.9327, 의미역 결정에서 PIC F1 0.9952, AIC F1 0.7312의 성능 보였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Structured SVM (Structural SVM 기반의 한국어 의미역 결정)

  • Lee, Changki;Lim, Soojong;Kim, Hyunki
    • Journal of KIISE
    • /
    • v.42 no.2
    • /
    • pp.220-226
    • /
    • 2015
  • Semantic role labeling (SRL) systems determine the semantic role labels of the arguments of predicates in natural language text. An SRL system usually needs to perform four tasks in sequence: Predicate Identification (PI), Predicate Classification (PC), Argument Identification (AI), and Argument Classification (AC). In this paper, we use the Korean Propbank to develop our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system. We describe our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system that uses sequence labeling with structured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on the Korean Propbank dataset reveal that our method obtains a 97.13% F1 score on Predicat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PIC), and a 76.96% F1 score on Argument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AIC).

Korean Semantic Role of subcategorization (한국어 서술어와 논항들 사이의 의미역)

  • Kim, Yun-Jeong;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43-148
    • /
    • 2014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장의 서술어와 공기관계에 있는 논항들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역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에 구축된 세종구구조말뭉치를 모단위로 하여 표준국어대사전의 문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의미역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 언어학 이론에서의 의미역을 정리하여 광범위한 의미역 판별기준을 세우고 이를 실제 말뭉치에 적용함으로써 자연언어적 처리가 가능하도록 정리하였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Case Frame and Subcategory of Predicate (한국어 격틀 사전과 용언의 하위 범주 정보를 사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Kim, Wansu;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98-201
    • /
    • 2015
  • 의미역 결정은 문장의 서술어와 그 서술어에 속하는 논항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UPropBank 격틀 사전과 UWordMap의 용언의 하위 범주 정보를 이용하여 의미역을 부착하였다. 실험 결과 80.125%의 정확률로 의미역을 부착하는 성능을 보였다.

  • PDF

Extending Korean PropBank for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and Applying Domain Adaptation Technique (한국어 의미역 결정을 위한 Korean PropBank 확장 및 도메인 적응 기술 적용)

  • Bae, Jangseong;Lee, Changki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6 no.4
    • /
    • pp.377-392
    • /
    • 2015
  •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SRL) is usually performed by a machine learning and requires a lot of corpus. However, the Korean PropBank used in Korean SRL system is less than PropBank. It leads to a low performance. Therefore, we expand the annotated corpus and verb frames for Korean SRL system to expand the Korean PropBank corpus. Most of the SRL system have a domain-dependent performance so, the performance may decrease if domain was changed. In this paper, we use the domain adaptation technique to reduce decreasing performance with the existing corpus and the small size of new domain corpus. We apply the domain adaptation technique to Structural SVM and Deep Neural Network. The experimental result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domain adaptation technique.

Hierarchical Learning for Semantic Role Labeling with Syntax Information (계층형 문장 구조 인코더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Kim, Bong-Su;Kim, Jungwook;Whang, Taesun;Lee, Saeb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199-202
    • /
    • 2021
  • 의미역 결정은 입력된 문장 내 어절간의 의미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며, 핵심 서술어에 따라 상이한 의미역 집합들이 존재한다. 기존의 연구는 문장 내의 서술어의 개수만큼 입력 문장을 확장해 순차 태깅 문제로 접근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입력 문장에 대해 구문 분석을 수행 후 추출된 문장 구조 정보를 의미역 결정 모델의 자질로 사용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학습된 구문 분석 모델의 파라미터를 전이하여 논항의 위치를 예측한 후 파이프라인을 통해 의미역 결정 모델을 학습시킨다. ALBERT 사전학습 모델을 통해 입력 토큰의 표현을 얻은 후, 논항의 위치에 대응되는 표현을 따로 추상화하기 위한 계층형 트랜스포머 인코더 레이어 구조를 추가했다. 실험결과 Korean Propbank 데이터에 대해 F1 85.59의 성능을 보였다.

  • PDF

Semantic Role Assignment for Korean Adverbial Case Using Support Verb Phrase and Concept Similarity (기능동사 구문과 개념 유사도를 이용한 한국어 부사격의 의미역 결정)

  • Shin Myung-Chul;Lee Yong-Hun;Kim Mi-Young;Chung You-Jin;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51-45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 있어 '에, 로'를 격표지로 하는 부사격에 대한 의미역 결정 모델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의미역 결정은 의미 분석의 핵심 과정 중 하나이고 자연언어처리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와 언어학 논저를 참고해서 의미역 결정에 유용한 자질들을 정리하였고 SVM을 이용하여 의미역 결정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와 차별적으로 기능동사 구문의 처리와 지배소 개념의 유사도 보정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한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성능 평가 결과 개념(Concept)만을 사용한 기본 모델에 비해서 평균 $9\%$의 정확률 향상을 보였다.

  • PDF

Semi-automatic Semantic Role Labelling Tool based on Korean Case Frame (한국어 격틀사전 기반 의미역 반자동 부착 도구)

  • Kim, Wansu;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251-254
    • /
    • 2014
  • 의미역 결정은 문장의 서술어와 그 서술어에 속하는 논항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문제로, 기계학습에 의한 의미역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의미역 부착 말뭉치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 격틀 사전을 사용하여 각 서술어의 논항의 의미역을 제한하여 작업자가 빠르게 의미역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역 반자동 부착 도구(UTagger-SR)를 개발하였다.

  • PDF

Unsupervised Semantic Role Labeling for Korean Adverbial Case (비지도 학습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부사격의 의미역 결정)

  • Kim, Byoung-Soo;Lee, Yong-Hun;Lee, Jong-Hyeo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2
    • /
    • pp.112-122
    • /
    • 2007
  • Training a statistical model for semantic role labeling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nually tagged corpus. However. such corpus does not exist for Korean and constructing one from scratch is a very long and tedious job. This paper suggests a modified algorithm of self-training, an unsupervised algorithm, which trains a semantic role labeling model from any raw corpora. For initial training, a small tagged corpus is automatically constructed iron case frames in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Using the corpus, a probabilistic model is trained incrementally, which achieves 83.00% of accuracy in 4 selected adverbial cases.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
    • Journal of KIISE
    • /
    • v.44 no.1
    • /
    • pp.36-43
    • /
    • 2017
  • Syntactic information represents the dependency relation between predicates and arguments, and it is helpfu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emantic Role Labeling systems. However, syntax analysis can cause computational overhead and inherit incorrect syntactic inform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exclude syntactic information and use only morpheme information to construct Semantic Role Labeling system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nd-to-end SRL system that only uses morpheme information with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 model by extending the LSTM RNN that is suitable for sequence labeling problem.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odel has better performance, as compare to other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