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망 지식베이스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Concept-Based Information Retrieval Model Using a Distributed Subject Knowledge Base (주제별 분산 지식베이스에 의한 개념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노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1
    • /
    • pp.47-69
    • /
    • 2002
  • The concept based retrieval model has shown a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of the simple matching function method or the P-norm retrieval method introduced to compensate the demerits of the Boolean retrieval model. However. it takes too long to create a semantic-net knowledge base, which is essential in concept exploration. In order to solve such demerits. a method was sought out by creating a distributed knowledge base by subjects to reduce construction time without hindering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Korean Semantic-Network based on Korean Dictionary (사전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의미망 구축과 활용)

  • 최호섭;옥철영;장문수;장명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48-450
    • /
    • 2002
  • 시소러스 의미망, 온톨로지 등과 같은 지식베이스는 자연언어처리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언어자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검색, 기계번역과 같은 특정 분야마다 다르게 구축되어 이러한 지식베이스는 실질적인 한국어 처리에는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시소러스, 의미망의 등의 구축 방법론적 문제를 지적하고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언어처리에 필요한 의미망의 구축 방법과 포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의미망 구축의 기반이 되는 지식은 각종 사전(dictionary)를 이용했으며, 구축하고 있는 의미망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TRI의 의미기반 정보검색과 언어처리의 큰 문제 중 하나인 단어 중의성 해소(WSD)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핀다. 그리하여 언어자인의 처리 방안 중의 하나인 의미망을 구축함으로써 언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어휘 데이터베이스 마련과 동시에 언어자원 구축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Using Machine Translation Agent Based on Ontology Study of Real Translation (온톨로지 기반의 지능형 번역 에이전트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 연구)

  • Kim Su-Gyeong;Kim Gyeong-A;An G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9-233
    • /
    • 2006
  • 기계번역(Machine Translaton, MT), 다국어 정보 검색, 의미 정보 검색 등에 대한 연구는 시소러스, 지식베이스, 사전 검색, 의미망, 코퍼스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맨틱 웹이 등장과 시맨틱 웹 기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위 연구들을 시맨틱 웹에 적용시킬 필요성도 제안되었다. 특히 한국어 시소러스, 워드넷(WordNet), 전자 세종 사전, 가도까와(Kadokawa) 시소러스와 같은 지식베이스가 개발되었으나 활용 분야에 따라 그 구축 방법론이 다르게 적용되어, 위 연구에 효과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지식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 사전과 가도까와 시소러스, 한/일 기계 번역 사전 그리고 전문 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한국어와 일본어 지식베이스를 위한 사전 온톨로지 서버를 정의하여 의미 정보를 구성하고, Semantic Web Rule Markup Language (이하 SWRL)을 이용해 구문 정보 규칙을 정의한다. 그리고 SWRL 기반 정방향 추론 엔진을 이용하여 번역에 필요한 추론 엔진을 구성하고 문장 구문형성 규칙 추론 엔진을 통해 사용자에게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장 구성 변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현재 기계 번역이 갖고 있는 다의성, 술부 어순의 차이, 경어체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많은 부분들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시맨틱 웹 기반 기술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Design of Knowledge Base for the Service of Collaboration Support between Researchers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를 위한 지식 베이스 설계)

  • Jung, Han-Min;Sung, Won-Kyung;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173-178
    • /
    • 2005
  • 지식 베이스는 대량의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고 철저한 설계에 기반하여 구축하여야 하는 부담이 큰 자원이다. 그렇지만, 지식 베이스 없이 다양한 응용 분야와 서비스를 만족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있어서 간과했던 것들의 하나는 응용 분야와 서비스를 명확히 하고, 해당분야에 안는 지식 베이스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휘의미망을 포함하여 시소러스를 범용 또는 여러 분야에서 구축하고 있으나 이들이 어떤 서비스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실히 분석하지 못함으로 인해 응용 시스템에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온톨로지 또한 근본적으로 분야와 활용 목적에 의존적이어서 이를 고려하여 설계를 하지만 시소러스나 용어 사전과 같은 기본적인 지식 베이스와의 연계를 통한 효율성 재고라는 측면에서 약점을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질의와 실 데이터간의 어휘 불일치 해소를 위해 시소러스를 설계 구축하고 온톨로지의 사례화 결과인 인스턴스와 연동시킴으로써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자원으로서의 지식 베이스 구축에 초점을 둔다.

  • PDF

Automatic Mapping of Korean Wordnet "KorLex" to Semantic Classes of Sejong Dictionary (세종 의미 부류와 KorLex 명사 어휘 의미망 자동 맵핑)

  • So, Gilja;Yoon, Aesun;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92-96
    • /
    • 2009
  • 인간이 가진 개념을 지식베이스화하려는 시도 중 하나로 의미망이 구축되고 있다.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어휘 의미망 중 프린스턴 대학의 WordNet을 대역한 KorLex는 1,2단계에서 한국어 어휘의미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념 및 의미구조를 재구조화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KorLex의 동의어 집합을 구성하는 어휘 의미에는 논항정보를 따로 구성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세종 전자 사전 격틀정보내의 선택제약조건(selectional restriction)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미 부류와 KorLex의 명사 어휘 의미망을 자동 맵핑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KorLex에서 세종 전자 사전 격틀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emantic Retrieval Engines (시맨틱검색엔진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2
    • /
    • pp.141-160
    • /
    • 2011
  • This study suggested knowledge base and search engine for the libraries that have the largescaled data. For this purpose, 3 components of knowledge bases(triple ontology, concept-based knowledge base, inverted file) were constructed and 3 search engines(search engine JENA for rule-based reasoning, Concept-based search engine, keyword-based Lucene retrieval engine) were implemented to measure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concept-based retrieval engin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llowed by ontology-based Jena retrieval engine, and then by a normal keyword search engine.

A Concept-based Semantic Network for Information Sharing in Multidatabase Systems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정보공유를 위한 개념-기반 의미망의 구축)

  • Lee, Jeong-Uk;Baek, Du-Gwo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2
    • /
    • pp.188-203
    • /
    • 2001
  •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multidatabase system)에서 여러 요소 데이터베이스(component database)에 대한 통합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미 이질성(semantic heterogeneity)이 탐색되고 해결되어져야 한다. 즉,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각 요소 데이터베이스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의미를 이해하고 의미적으로 동등한 또는 유사한 정보들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실세계의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여러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요소 데이터베이스간의 의미 이질성을 탐색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가 갖고 있는 개념간 의미관계에 기반한 의미망(semantic network)을 구축한다. 또한 의미질의어(semantic query languag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키마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여로 자율적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Rule Editor for Representing Knowledge using a Rule-Format (지식의 규칙형태 저작을 위한 규칙편집기)

  • Go, Young Cheol;Jang, MinSu;Sohn, Joo-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77-580
    • /
    • 2004
  • 본 논문은 지식의 규칙 표현을 위한 저작도구인 규칙편집기에 대하여 기술한다. 지식표현방법은 인간의 일상언어와 컴퓨터와의 표현구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2]. 이러한 지식표현방법에는 규칙, 프레임, 의미망, 그래프 등이 있다[2]. 본 논문에서는 지식을 규칙의 형태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표현하고자 하는 지식의 영역은 비즈니스 도메인으로 한정한다. 비즈니스 지식이란 기업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제반 지식인 업무처리 절차, 규정 등을 의미하며, 현재 대부분의 기업이 운영하는 기존 응용 시스템은 프로그램 소스의 일부분으로 비즈니스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 응용 시스템은 경영 상황 및 업무의 변경 등에 따른 비즈니스 지식의 잦은 수정 요구로 시스템의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과 수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응용 프로그램에서 비즈니스 지식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비즈니스 지식처리기술이 기업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도입되고 있다. 코드 속에서 분리된 비즈니스 지식은 규칙의 형태로 표현되고, 이들 규칙은 독립된 지식베이스에서 관리된다. 본 논문에서는 코드에서 분리된 비즈니스 지식을 규칙의 형태로 표현하기 위한 규칙편집기 개발과 개발된 편집기의 기능 및 특징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Construction of Answer Sets using Automatic Categorization (자동분류를 이용한 정답문서집합 구축)

  • Chang, Moon-Soo;Oh, Hyo-Jung;Jang, Myung-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494-499
    • /
    • 2001
  • 최근의 인터넷 정보검색은 방대한 정보의 수용과 지능적이고 개인화된 검색 결과 요구라는 사뭇 상반된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계적으로 키워드를 매칭시켜 나오는 문서를 사용자에게 맡기는 식의 검색은 더 이상 환영을 받지 못한다. 우리는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의미기반 정보검색에 필요한 개념망과 정답문서집합으로 구성된 지식베이스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구조의 개념망과 연결되는 정답문서집합을 유동적인 인터넷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 자동으로 구축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자동구축은 문서분류(document categorization) 기술을 활용하여 개념어에 문서를 할당하는 방법과 속성에 문서를 할당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이루어진다. 제시한 방법은 실험을 통하여 기본적인 속성 할당에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일부 미할당 문서에 대해서는 클러스터링과 같은 다른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