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미론적 접근

Search Result 29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emantics of Uncertain Databases based on Linear Logic (선형논리에 기반한 불확실성 데이터베이스 의미론)

  • Park, Sung-Woo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7 no.2
    • /
    • pp.148-154
    • /
    • 2010
  • In the study of the formal semantics of uncertain databases, we typically take an algebraic approach by mapping an uncertain database to possible worlds which are a set of relational datab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semantics for uncertain databases which takes a logical approach by translating uncertain databases into logical theorie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our semantics is that it uses linear logic, instead of propositional logic, as its logical foundation. Linear logic is suitable for a logical interpretation of uncertain information because unlike propositional logic, it treats logical formulae not as persistent facts but as consumable resources. As the main result, we show that our semantics is faithful to the operational account of uncertain databases in the algebraic approach.

Scalable Random Access for SVC-based DASH Service (SVC 기반의 DASH 서비스를 위한 스케일러블 임의 접근 지원 방법)

  • Seo, Kwang-Deok;Lee, Hong-Rae;Jung, Soon-Heung;Yoo, JungJu;Jeong,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92-1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SVC 기반의 HTTP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케일러블 임의 접근 (random access)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SO MPEG에서는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기술을 표준화 하고 있는데, H.264/AVC 비디오에 대한 임의 접근 기능을 지원하는 구문론 (syntax)과 의미론 (semantics)은 현재 표준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SVC 비디오에 대한 임의 접근 기능에 대한 기술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SVC의 계층적 구조(layered structure)를 고려한 스케일러블 (scalable) 임의 접근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문론 (syntax)과 의미론 (semantics)에 대해 제안한다.

  • PDF

Cognitive Approach for Building Intelligent Agent (지능 에이전트 구현의 인지적 접근)

  • Tae Kang-S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5 no.2
    • /
    • pp.97-105
    • /
    • 2004
  • The reason that an intelligent agent cannot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 of its own perception or activity is caused by the traditional syntactic approach that translates a semantic feature into a simulated string, To implement an autonomously learning intelligent agent, Cohen introduces a experimentally semantic approach that the system learns a contentful representation of physical schema from physically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using its own sensors and effectors. We propose that negation is a meta-level schema that enables an agent to recognize its own physical schema, To improve the planner's efficiency, Graphplan introduces the control rule that manipulates the inconsistency between planning operators, but it cannot cognitively understand negation and suffers from redundancy problem. By introducing a negative function not, IPP solves the problem, but its approach is still syntactic and is inefficient in terms of time and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to represent a negative fact, a positive atom, which is called opposite concept, is a very efficient technique for implementing an cognitive agent, and demonstrate some empirical results supporting the hypothesis.

  • PDF

폐리의 지표성

  • Kim, Han-Seu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107-134
    • /
    • 2003
  • 지표성은 두 가지 다른 철학적 관심에서 연구되어왔다. 하나는 지표어가 어떤 방식으로 그것이 지시하는 바를 지시하는가를 이해하는 의미론적 관심이고, 다른 하나는 지표어가 인식체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행위 이론적 관심이다. 페리가 여러 문헌을 통해서 관심을 가져왔던 문제는 이 두 가지 철학적 관심을 모두 만족시키는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두 관심사가 서로 구별된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며, 왜 하나의 이론에서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변도 제시되지 않았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페리의 해결책은 의미론적인 것이고 는 이를 통해 행위이론의 문제도 함께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적 해결책은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 모두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페리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근원은 필자가 '의미론적 토대주의'라고 부르는 입장을 페리가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의미론적 토대주의를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제안이다.

  • PDF

Toward a Definition of Fitting (‘맞다’의 분석)

  • Chung, Dai-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302-306
    • /
    • 1989
  • 이 연구는 '맞다'가 의미론적 기본개념으로서의 진리에 대한 대체후보가 될 수 있는가의 물음을 배경으로 삼고 이 논문에서는 맞음의 개념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다음의 다섯가지를 일차적으로 고찰한다. (1) '맞다'에 대한 일상언어분석을 통하여 이것은 두자 리 관계술어라는 점을 보이고 (2) 단어의 표면적 다의성은 그 반대어인 '틀이다'의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동일한 뿌리를 가지고 잇다는 것을 주장한다. (3) 맞음은 대칭적 논리구조를 일반적으로 가지지만 화자의 관심에 의해 비대칭적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4) '맞다'라는 단어를 해명할 수 있는 세가지 후보를 필요충분조건적 해석, 의미론적 접근, 표준론적 고찰에서 탐구하여 보지만 (5) '맞다'에 대한 진화론적 해석이 의미론적 기초개념일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 PDF

Study on the Illocutionary Effect-Based FIPA-ACL Semantics (언표내적 효과 기반의 FIPA-ACL 의미론 연구)

  • Koo, Ja Ro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1
    • /
    • pp.29-34
    • /
    • 2016
  •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research on multi-agent systems is the definition of agent communication languages(ACLs) and the specification of a proper formal semantics of ACL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llocutionary effect-based FIPA-ACL semantics which overcomes the two traditional semantic approaches. The key idea of this new semantics is based on the semantic concepts of success and satisfaction conditions of illocutionary acts in speech act theory, and the common ground theory-based framework. As case studies using this new semantics, we define the primitive speech acts of FIPA-ACL such as inform and request. For the strengths of the proposed approach we illustrate our new semantics on an e-commerce agent purchase negotiation. Also, we compare this approach with two traditional semantic approaches for ACLs.

Semantic Aspects of Negation as Schema (부정 스키마의 의미론적 양상)

  • Tae, Kang-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1
    • /
    • pp.23-28
    • /
    • 2002
  • A fundamental problem in building an intelligent agent is that an agent does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its perception or its action. One reason that an agent cannot understand the world is partially caused by a syntactic approach that converts a semantic feature into a simple string. To solve this problem, Cohen introduces a semantic approach that an agent autonomously learns a meaningful representation of physical schemas, on which some advanced conceptual structures are built, from physically interacting with environment using its own sensors and effectors. However, Cohen does not deal with a meta level of conceptual primitive that makes recognizing a schema possible. We propose that negation is a meta schema that enables an agent to recognize a physical schema. We prove some semantic aspects of negation.

Improved Multi-modal Network Using Dilated Convolution Pyramid Pooling (팽창된 합성곱 계층 연산 풀링을 이용한 멀티 모달 네트워크 성능 향상 방법)

  • Park, Jun-Young;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84-86
    • /
    • 2018
  • 요즘 자율주행과 같은 최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촬영된 영상 장면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기계학습 기술이 발전하면서 카메라로 찍은 영상에 대한 의미론적 분할 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FuseNet은 인코더-디코더 구조를 이용하여 장면 내에 있는 객체에 대한 의미론적 분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신경망 모델이다. FuseNet은 오직 RGB 입력을 받는 기존의 FCN보다 깊이정보까지 활용하여 RGB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특징지도와의 요소합 연산을 통해 멀티 모달 구조를 구현했다. 의미론적 분할 연구에서는 객체의 전역 컨텍스트가 고려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여러 계층을 깊게 쌓으면 연산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의 합성곱 방식을 벗어나 새롭게 제안된 팽창 합성곱 연산(Dilated Convolution)을 이용하면 객체의 수용 영역이 효과적으로 넓어지고 연산량이 적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컨볼루션 연산의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중 하나인 팽창된 합성곱 연산을 이용해 의미론적 분할 연구에서 새로운 멀티 모달 네트워크의 성능 향상 방법을 적용하여 계층을 더 깊게 쌓지 않더라도 파라미터의 증가 없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네트워크의 전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Ontological Approach for Effective Semantic Conveyance in Manufacturing Systems (제조시스템에서 효율적 의미전달을 위한 존재론적 접근 방법)

  • Leem, Young-Moon;Ryu,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5.11a
    • /
    • pp.319-323
    • /
    • 2005
  • 최근 들어 제조가 발생되는 모든 분야에서 정보의 의미론적 전달방법 및 체계를 정형화하는 작업이 표준화와 더불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제조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간결하고 정확한 문제 진단에 대한 정보전달은 비용의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시스템에서 최적화된 정보전달을 위한 상황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제 제조공정이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복잡한 정보의 흐름, 표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자, 관리자, 경영자 모두가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형화된 틀을 만드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제조 현장에서 공정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검사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XML-based Modeling for Semantic Retrieval of Syslog Data (Syslog 데이터의 의미론적 검색을 위한 XML 기반의 모델링)

  • Lee Seok-Joon;Shin Dong-Cheon;Park Sei-K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2 s.105
    • /
    • pp.147-156
    • /
    • 2006
  • Event logging plays increasingly an important role in system and network management, and syslog is a de-facto standard for logging system events. However, due to the semi-structured features of Common Log Format data most studies on log analysis focus on the frequent patterns.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 can provide a nice representation scheme for structure and search of formatted data found in syslog messages. However, previous XML-formatted schemes and applications for system logging are not suitable for semantic approach such as ranking based search or similarity measurement for log data. In this paper, based on ranked keyword search techniques over XML document, we propose an XML tree structure through a new data modeling approach for syslog data. Finally, we show suitability of proposed structure for semantic retrie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