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 패턴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33초

스포츠 클라이밍 웨어의 기능성 소매패턴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Sleeve Pattern of Sports Climbing Wear)

  • 임가빈;박주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85-598
    • /
    • 2017
  • Sports climbing requires more maximum body motion range than any other sport. This study examined what element affects the actions of sports climbers and suggest an ideal pattern archetype to maximize function based on mo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ed abstracted elements influencing clothing design by researching the body type of sports climbers and the motion of sports climbing.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climbing wear, this study also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sleeve patterns for sports climbing wear and general sports jackets, abstracting comparative parts that influence sports climbing wear design. To develop the final research archetype, research was done on 107 sports climbers in their 20s-30s that selected the top 3 brands and collected patterns as well. A research archetype was selected based on 3-D virtual clothing and developed into 4 different patterns with different sleeve cap heights. Appearance evaluation and a motion functionality evaluation were then conducted in order to select a final research archetype adequate for sports climbing based on evaluation finding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aesthetical problems of the final research archetype produced based on functionality that could suggest an archetype for a climbing jacket that could be visually satisfying through appearance evaluations and motion functionality evaluations.

농촌 작업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연구 (Study of Rural Workwear Practices and Preferences)

  • 나승정;강하은;김은우;김윤재;문세라;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49-350
    • /
    • 2023
  • 본 연구는 농업 작업능률 향상에 적합한 작업복 개발을 위해 농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작업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필요 기능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촌 작업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추출하고자 한다. 작업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작업복 미착용 시는 트레이닝복이나 아웃도어를 착용하였다. 작업복 색상은 검정과 남색 등 어두운 색을 주로 착용하였다. 동작 시는 엉덩이, 무릎 등이 당기고 상의가 올라가 허리가 나오거나 바지 뒤가 당겨 내려가는 경우가 많았다. 작업복은 통기성, 흡습성, 신축성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고 기능성, 활동성, 디자인, 작업효율성, 쾌적성 등의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동작 분석을 통한 작업복 패턴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일상생활용 디지털 의류

  • 이주현
    • 섬유기술과 산업
    • /
    • 제8권1호
    • /
    • pp.11-18
    • /
    • 2004
  • 급속한 반도체 기술의 발전은 획기적인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발전을 가져왔고 초고속 정보화를 가속화시켜 통신의 패러다임과 인류의 생활패턴을 바꾸어 놓았다. 또한 컴퓨터의 초소형 출력장치와 저장장치 및 센서나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입력 방식의 변화, 이동통신 발전 등을 통합한 새로운 컴퓨팅 시대를 요구하고 있다. 1990년대까지의 컴퓨터 기술은 대형컴퓨터에서 고정형태의 개인용 컴퓨터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노트북을 비롯한 여러 가지 형태의 휴대용 컴퓨터의 등장으로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는 포터블(portable) 시대를 지나 반도체와 통신 기술 등의 발전에 힘입어 몸에 지니는, 입고 다니는(wearable)웨어러블 시대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몸에 부착시키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컴퓨터와 네트워킹을 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의류를 필요하게 되었다.(중략)

  • PDF

어패럴 패턴캐드 간 패턴 제도 기능 비교 - 스커트 곡선 허리밴드와 소매 진동곡선 생성 과정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Pattern Method Function between Apparel CAD Systems - Focusing on Skirt Waistband and Sleeve Armhole line Generation Process -)

  • 김나래;한현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90-70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ser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and interfaces of each program, and to provide a bas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ient apparel CAD systems to compensate for each program's shortcomings by comparing the function of three apparel CAD systems: Yuka CAD, Opti-tex, and Style CAD. For this purpose, the skirt waistband and sleeve armhole line creation process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two criteria. 1)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principle and method between CAD systems. 2) When CAD system is used rather than paper drawing process, the process is shortened and convenience is high. In this study, pros and cons and supplement point of each CAD system are suggested by comparing the functions of the CAD system performing the selected drafting process by four criteria: icon, key, method, and characteristic poi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CAD systems differ in the basic principle and interface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kirt waistband method fun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and line is formed directly on the outline of the skirt and the band dart recognition function is the most efficient function and as a result of the analyzing the sleeve armhole line method fun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ve generation function using the shape of the actual curve measure and the length adjustment function through the automation of the dimension calculation is the most efficient function.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신한복 브랜드 치마 패턴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New Hanbok Brand Skirt Pattern for developing of customizing system)

  • 차수정;안명숙;허승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269-27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신한복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해 신한복 치마 패턴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판 6개 신한복 브랜드의 치마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같은 디자인의 free사이즈 치마임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치수로 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마길이는 17cm, 허리벨트길이는 29cm, 허리벨트폭은 4.5cm, 끈길이는 72.7cm, 치마길이는 17.0cm, 치마폭은 90.5cm의 차이를 나타냈다. 같은 신한복 치마임에도 브랜드에 따라 치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어 치수규격의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성인여성의 신체치수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신한복 치마 패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몸통 유형별 요실금 팬티 패턴 연구 (A Study on the Incontinence Panty Pattern by Torso Type Using 3D Simulation)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29-3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0대, 50대, 60대 여성의 하반신 몸통 관련 부위 유형에 따라 요실금 팬티 패턴을 제작하여 하반신 몸통 유형별 요실금 팬티 패턴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유형 1의 패턴은 가장 길이가 길고 폭은 두 번째로 넓은 형태를 나타냈고, 유형 2는 길이가 가장 짧고 좁은 형태를 나타냈다. 유형 3은 길이가 가장 짧고 폭은 가장 넓은 형태를 나타냈으며, 유형 4는 가장 폭이 좁고 길이가 두 번째로 긴 형태를 나타냈다. 가상착의에 대한 평가결과, 유형 2가 앞면, 옆면, 뒷면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형 3은 허리와 복부, 엉덩이와 넙다리둘레가 가장 크고, 하반신이 짧은 비만 체형으로 다른 체형과 같은 방식으로 패턴을 제작하였을 시 다리둘레와 엉덩이부위의 감싸는 분량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여성용 바지 패턴 설계를 위한 3차원 밀착 패턴 여유량 부가와 레플리카 조합 방법 (Methods of Merging a 3D Replica and Ease Distribution for Woman's Pant Patterns)

  • 오염군;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43-455
    • /
    • 2012
  • In this research, a woman matched to the average Korean standard size specification of 21-24 years of age was scanned using Cyberware. Rapidform 2004 was used to separate the body zone into fit zone, action zone and design zone,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lower body. Each divided body zone expanded radially using 'offset' by 1.60mm at the cross section of the waist, and 6.36mm at the hip level. Resultant ease values were 1cm and 4cm along the waistline and hipline (respectively), as recommended in previous research. 2C-AN program and Yuka CAD was used to develop a pant pattern from the enlarged 3D body surface blocks. A total of five pants were constructed using conventional fabrics for light weight formal pants. The appearance of the experimental pants were evaluated by five clothing-major evaluators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addition, functional aspects of the experimental pants were also evaluated by wearer while performing five postures for the measurement of ease of m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regional offset and suggested 3D to 2D pattern development generate reasonably good pant patterns. Among the pattern block arrangements, the method B was evaluated as the best way to generate formal pants from the tight-fit pattern, which fit smoothly over the lower body for maintaining ease of movement.

오픈 소스 기반의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사용성 연구 (Open Source Based Knitting Machine Pattern Program Interface Usability Study)

  • 박지훈;남원석;장중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09-118
    • /
    • 2020
  • 최근 현대사회는 소비자의 개성과 개인 맞춤형 의류에 대한 니즈가 늘어가고 있다. 저비용으로 사용자가 직접 의류를 생산하는 니팅기는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니팅기의 조작과는 별개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의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연구에 앞서 문헌조사를 진행하였고, 사용빈도가 높은 세 가지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집단토론을 통하여 도출한 9가지 사용성 평가 원칙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9가지 평가 원칙인 가시성, 간결성, 조작성, 일관성, 정확성, 유연성, 직관성, 오류인지, 보충 설명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Needs) 파악을 통하여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성 개선의 방향성과 대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홀치기 염색기법을 활용한 날염 디자인 개발에 관한연구 -CAD를 이용하여- (A Study on the Print Design Development Utilizing Tie-Dyeing Technique -Using CAD-)

  • Seo, Myung-Hee;Yang, Suk-Hya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694-1700
    • /
    • 2002
  • 본 연구는 염색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질오염을 줄이고 또한 홀치기 염색기법에 의해 제작된 패턴을 모티브로 하여 수작업에서 얻지 못한 다색 의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새로운 느낌 의 홀치기 문양 표현과 3D 모델링을 통하여 텍스타일디자인이 상품화 되었을 때의 효과를 CAD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가장 일반적인 실로 묶기, 전통적인 손바느질 느낌이 나는 시침질, 현대적 느낌이 강한 깡통에 의한 묶기와 기하학적 효과가 나는 접기 등의 홀치기염색 기법으로 수작업 한 다음 CAD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치기염색기법에 의해 제작된 패턴을 모티브로 하여 수작업에서 얻지 못하는 다색사용가능성이 주메뉴의 색정리, 색4전개, 색 바꾸기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였다 둘째, 다양한 색을 얻기 위해서 홀치기염색의 수작업에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지 만 CAD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작업 이 몇 가지 메뉴의 사용으로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셋째, CAD를 통한 홀치기 염색패턴의 새로운 이미지 효과를 얻기 위해 Solarize와 Intensity Direct, Effect/Emboss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질감과 새로운 이 미지 의 홀치기염색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위의 작업 과정을 통하여 수작업에서 발생 하는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었다. 다섯째, 이상에서 얻어진 염색패턴을 3D모델링을 통하여 상품의 제작과정과 소비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의 효과를 미리 볼 수 있음으로 인해서 생산자의 실패율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여섯째, CAD를 이용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텍스타일산업 분야에 충분히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