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류제품

Search Result 842, Processing Time 0.084 seconds

Influence of Country-of-Origin on American Consumers' Evaluation of Apparel Products Made in Korea (원산지 표시가 미국소비자의 한국산 의류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Ann Fairhurs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8 no.5
    • /
    • pp.704-715
    • /
    • 1994
  • 본 연구는 원산지 표시 (country-of-origin)가 미국 소비자의 한국산 의류상품 평가와 제품 이미지 (product image)에 비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소비자 특성과 원산지 표시의 영향, 의류 상품의 제품이미지와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였다. 미국 전역의 성인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여 284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과 중국, 한국산 의류제품과 중국간 의류제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산 의류와 중국산 의류는 모두 저가의 위신성이 낮고 대량 생산되어 부분처리가 떨어지는 평범한 제품이라고 인식라고 있었다. 한국산 의류는 유행색의 사용이나 유행성에서는 많이 뒤떨어지지 않으나, 위신성과 부분처리에서 특히 낮게 평가를 받았다. 라이프스타일, 점포유형에 따른 쇼핑빈도, 성별, 교육정도, 소득수준, 인종에 따른 제품 이미지 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50세 미만의 연령층이 50세 이상치 연령층보다, 결혼한 사람이 걸혼하지 않은 사람보다(독신, 이혼 등) 좀 더 긍정적인 제품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전업주부의 제품이미지가 더 긍정적이었다. 의류제품이 다주 어떤 제품보다도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나타나서, 한국산 의류제품의 이미지 향상은 섬유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산업계와 정부, 단체가 모두 힘을 모아서 노력하여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였다.

  • PDF

The Effect of Textile and Apparel Import on Competing Domestic Production (섬유 및 의류 수입이 국내 생산에 미치는 영향)

  • 홍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273-282
    • /
    • 1997
  • 본 연구는 Pelzman and Martic (1981)의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disequilibrium domestic output equation)을 이용하여 수입 섬유 및 의류 제품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섬유 및 의류 제품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에서 Pelzman and Martin (1981)은 특정 기간 동안 미국 내의 생산량은 7가지의 변수 즉, (1) 생산 근로자의 평균시간 임금, (2)자본의 사용 가격, (3) 수입품의 비교 가격, (4) 실질 여유 소득, (5) 섬유 및 의류제품의 국내 가격, (6) 섬유 및 의류 제품의 재고량, (7)섬유 및 의류 제품의 수입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을 만족하는 정부 기관의 통계자료가 다 없기 때문에 수정된 국내 산출 방정식을 만들어서 분석하였다. 이 수정된 국내 산출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입 섬유 및 의류 제품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섬유 및 의류 제품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된 결과로는 국내 의류 및 섬유 생산 수준은 재고 변화보다는 가격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리고 국내 의류 및 섬유 생산 수준은 수입 의류 및 섬유의 수입량과는 역관계이다. 이것은 수입 의류 및 섬유의 증가는 국내 의류 및 섬유 생산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이 불균형 국내 산출 방정식이 다른 나라의 분석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홈쇼핑 매체별 소비자 인식 비교

  • 천종숙;양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1a
    • /
    • pp.327-338
    • /
    • 1999
  • 본 연구는 카탈로그와 케이블 TV, 인터넷 홈쇼핑 정보전달 매체별로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기대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홈쇼핑의 정보전달 매체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카탈로그 홈쇼핑사 회원 219명, 케이블 TV 홈쇼핑사 회원 213명, 네티즌 972명이었다. 매체별 이용자의 분포는 카탈로그와 케이블 TV 홈쇼핑의 경우 여성과 기혼자가 많았고 직업은 주부와 사무직이 많았다. 반면 인터넷 이용자는 남성과 미혼자가 많았고 직업은 사무직이 많았다. 학력은 세 매체 모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대졸 이상으로 교육수준이 높았다. 설문조사 결과 의류 홈쇼핑에 대한 매체별 소비자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1. 케이블 TV 홈쇼핑 이용자들은 케이블 TV를 통해 판매되는 의류제품이 디자인, 색상이 다양하며, 제품의 소재나 품질, 치수에 대한 정보도 충분하다고 느끼며 의류의 품질 신뢰도와 구매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통신판매를 이용해서 의류를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은 구매를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구매의사도 높으며 통신판매에 대한 신뢰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케이블 TV 홈쇼핑을 통해 의류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이 의류제품 정보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감과 품질 신뢰성이 가장 높았다. 3. 매체와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케이블 TV를 이용하는 여성은 의류제품의 다양성, 충분한 제품정보, 품질의 신뢰성, 구매의사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케이블 TV를 이용하는 기혼자와 고소득자가 다른 집단보다 의류제품의 다양성, 제품정보와 품질 신뢰성, 구매의사에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케이블 TV 홈쇼핑은 카탈로그와 인터넷에 비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품과 소개방식으로 의류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의류제품 구매 경험이 있고 고소득층이며 기혼인 여성들을 만족시킬만한 다양한 상품을 구비하고 자세한 제품정보를 제공하며 품질에 대한 신뢰를 심어 주어 긍정적인 구매의사를 갖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 Lee, Sun-Jae;Kim, E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Hedonistic Motives in Apparel Buying Process (의류제품의 쾌락적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 Park, Eun-Joo;Ha, Soo-Jee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7
    • /
    • pp.303-320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donistic motives experienced by consumers in the apparel buying process. We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by 32 women living in Pusan and to examine the hedonistic motives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process. It was conducted and analysed by the Spradley's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donistic motives in apparel buying process, consisted of four components at least, such as Symbolism, Conformity, Distinction, and Impulsiveness. Symbolism represented the social-psychological aspects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process, such as occupation, role, and self-image etc. Conformity in the apparel buying process was usually influenced by mass-media, and companions. Consumers had strong needs of distintion for self-actualization and self-esteem in apparel buying process. The impulsiveness in apparel buying process were related to the antecedent moods, affection, tastes, price, display, and sales person or accompanied friends. We found that the hedonistic motives in the apparel buying process connected with the emotional responses and were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apparel buying process. They provide informations about hedonistic motives of apparels to consumer behavior researchers and retailers related to apparel products.

  • PDF

Differences between Purchase Behavior and Perception of Organic Clothing Goods on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오가닉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행동과 인지도의 차이)

  • Park, Hea-Ryung;Park, Mi-ryung;Cho, Shin-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3742-375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consumers' perception level and purchase behavior of organic clothing goods with. According to their purchase experience of organic clothing goods, it was found that organic textile products for women like sanitary pad were most and purchase frequency of organic clothing goods was mostly once. Among reasons to purchase organic clothing goods, 'for my health' was most. Non-purchase reason was mostly 'I don't know what organic goods are'. Therefore, there were significant awareness differences of organic clothing goods in "health efficiency" between the purchasing group and the non-purchasing group.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awareness differenc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ganic clothing goods in sex, age, and "health efficiency" of related major items and in "high quality recognition" and "health efficiency" of residential areas.

The Consumers' Evaluative Criteria of Quality on The Organic Clothes and Their Purchase Intention (오가닉 의류제품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과 구매의도)

  • Park, Hea-R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1
    • /
    • pp.8001-801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find evaluative criteria of quality on the organic clothes with college student consumers, categorize them, establish the basis of evaluation criteria, and examine the roles of each attribut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quality evaluation and their purchase intention. College students' evaluative criteria of quality factors of organic clothes were three factor; "aesthetic symbolism", "mainterance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As a result, first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evaluation criteria of organic clothes in sex, major and pocket money among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college student consumers' experience of purchasing organic clothes considered "aesthetic symbolism", "mainterance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more important compared to non-purchase group.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between future purchase intention group and non-repurchase intention group according to evaluation standard of organic cloth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ality" between the two groups.

Production Model Development of Mass Customized Clothing - Focused on Clothes for Middle-aged Women -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의 생산모델 개발 -중년여성복을 중심으로-)

  • 김소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3
    • /
    • pp.29-47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대량생산의 장점인 낮은 가격대 창출과 주문생산의 장점인 고객지향을 추구하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 방식에 따른 의류제품의 생산모델을 개발하였다. 특히 체형이 매우 다양한 시기에 있어 이러한 고객지향적 의복이 더욱 필요한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성복에서 얻을 수 없는 인체적합도가 높은 의복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델은 소비자 체형파악과 체형별 패턴제작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기 때문에 의류제조업체의 패턴제작과정을 용이하게 해주고, 모든 생산이 주문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재고부담을 감소시키게 된다. 생산모델은 크게 5 단계로 나뉜다. 1 단계는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어 선택을 하는 단계이고, 2 단계는 소비자의 신체치수 계측 및 입력, 체형판별의 단계이다. 1) 단계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주문서를 작성하여 본사로 전송하고. 4 단계에서는 제품을 생산한다. 그리고 5 단계는 제품의 배송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 실질적으로 검증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의 생산과정은 주문단계에서 패턴의 수정 단계까지이며, 이후의 마커제작에서 배송단계까지는 생산설비상의 문제 때문에 설명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의류제품에서 특히 중요한 단계는 고객에 대학 접근방법과 가봉 없이도 인체적합도가 높은 의복을 생산하는 것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ing Type in Internet (고등학생의 의복쇼핑성향과 인터넷에서 의류제품 구매유형에 관한 연구)

  • Lee, Eun-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1
    • /
    • pp.101-116
    • /
    • 2008
  • Most who were polled stated that they use the internet everyday. Also, it is undeniable that Internet has become one of the popular shopping markets with the spatial-convenience and time-saving it provides. With the growth of Internet and Internet shopping malls, effects on clothing purchasing of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Internet clothing purchasing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685(male 354, female 331)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SPSS 11.5 for Windows Program. Thes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x^2$ test, t-test, One-way Anova, Duncan' multiple rang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ix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fashion hedonic shopping brand ostentation time convenience economic esthetics orientation. The clothing purchasing type in Internet had 3 factors(convenience active impulse buying economic pursuit).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lothing purchasing type in Internet shopping mall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a school recor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variables had positive correlations except of hedonic shopping economic orientation with clothing purchasing type in Internet. As a conclusion, high school students' shopping orientation and purchasing type of apparel in Internet shopping mall constituted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could affect directly Internet purchase behavior of adolescents. These results should b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 PDF

Effects of Consumer Tendencies and Positive Emotion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Apparel (의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대한 소비자성향과 긍정적 감정 영향)

  • Park, Eun-Joo;Kim,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6
    • /
    • pp.980-990
    • /
    • 2008
  • This study tested how impulse buying behavior for apparel was related to hedonic consumption and impulse buying tendencies and emotion in the context of shopping. A total of 29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college students during scheduled clas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 correlation matrix with maximum likelihood was estimate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tendencies of hedonic consumption and impulse buying, positive emotion, and impulse buying behaviors by LISREL 8.53. Findings showed that impulse buying behaviors for apparel could be classified into planned, reminded, and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typologies. Hedonic consumption and impulse buying tendenc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ositive emotion. Posi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anned, reminded, and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for apparel. This study suggests that positive emo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mpulse buying behaviors relevant to hedonic and impulse buying tendenci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apparel retailers are discussed.